• 제목/요약/키워드: Sesame Leaf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38초

충남 일부지역 초등학생의 김치에 대한 기호도 및 식행동 조사 (Preference and Dietary Behavior for Kimchi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hungnam)

  • 오수진;최미경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03-212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preference, intake frequency and eating behavior for kimchi as well as analyze the differences by gender among fourth to sixth grade students (n=410) in a Chungnam region. Approximately 64% of the students liked the spicy taste of kimchi, 75.9% liked the saltiness, and 48.5% liked well-fermented kimchi. The disliking factors of kimchi were its sour taste (38.5%), strong scent (20.1%), and salty taste (15.4%). The most preferred type of kimchi was Baechukimchi, followed by Kkakduki, Yeolmukimchi, and Chonggakkimchi. Further, the most frequently consumed type of kimchi was Baechukimchi, followed by Kkakduki, Chonggakkimchi and Yeolmukimchi. Oisobaki, welsh onion kimchi, sesame leaf kimchi, Gatkimchi, Nabakkimchi and Baekkimchi were rarely consumed. About 34% of the students consumed 5 to 7 pieces of kimchi per meal, and 84.1% enjoyed eating kimchi, mostly because of its good taste (61.3%). The reason for not eating kimchi was because other side dishes are more delicious (30.2%). About 80% of the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prepared kimchi at home. Moreover, 74.3% of the students eat kimchi much more at home than at school. Improvements to be made for kimchi at school were as follows: less salty (34.9%), less spicy (27.6%), and sweet (22.5%). In conclusion, students enjoyed eating kimchi because of its good taste. Further, they showed preference for Baechukimchi, Kkakduki, and Yeolmukimchi and consumed them frequently. Because kimchi appears to be more preferred and more frequently consume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enu using kimchi along with the proper eating guidance for helping students consume various types of kimchi at school or at home.

식품 부패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는 천연 항균성물질의 검색 (Screening of Natural Antimicrobial Plant Extract on Food Spoilage Microorganisms)

  • 이병완;신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00-204
    • /
    • 1991
  • 31종의 식물에서 필요 부위를 선정하여 75% 에탄올이나 물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로서, 일반적으로 식품의 부패 혹은 변질에 관여한다고 알려진 Bacillus subtilis, Lactobacillus plantarum, Leuconostoc mesenteroides, Pseudomonas fluorescens, Bacillus cereus 등 5종의 세균과 Saccharomyces cerevisiae 등 1종의 효모를 대상으로 항균성을 시험하였다. 실험대상 6종의 모든 미생물에 대하여 항균성을 나타낸 것은 황백의 에탄올 추출물이었으며 산초, 참깨묵, 지치, 졸참나무는 효모를 제외한 5종에 대하여 댓잎, 오동나무, 리기다는 B. subtilis 및 S. cerevisiae 혹은 L. mesenteroides 및 S. cerevisiae 또는 L. mesenteroides 및 P. fluorescens, B. cereus를 각각 제외한 4종에 대하여 항균성을 나타냈고, 균종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었지만 황백이 가장 높은 항균성을 보였다. B subtilis, L. plantarum 및 L. mesenteroides에는 황백이, P. fluorescens에는 황백과 오배자가 disc diffusion method에서 가장 높은 항균성을 보였다. 에탄올 추출물과 물 추출물을 비교한 결과 거의 대부분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성이 높았으나, 균종에 따라서는 일부 물 추출물에서 항균성을 따로 보이거나 더 높은 경향이 있기도 하였다. 이상과 같이 천연물 중에도 상당한 항균성물질이 존재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 PDF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한 한국인의 식품 기호도에 관한 조사연구 (Survey on Food Preference in Gyeongnam Area)

  • 이주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38-352
    • /
    • 1999
  • This research was carried to investigate the food preference of students, from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high school, university and industrial workers on Jinju, Sacheon and Jinyang by age and sex.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In case of rice as the stationary food, plain white boiled rice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among all the groups. Most of groups liked most of one-dish meals such as kimbab, fried rice with kimchi, dumplings and bibimbab, especially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other hand, high percentage of industrial workers disliked the western food such as pizza, hamburger and sphagetti. Most of subjects liked jajangmun, nangmun and bibimgooksu as noodles. As the side dishes generally they prefer the soup to stew. Male prefer the soup with beef and female prefer soup with vegetables. Stew with kimchi and stew with soybean paste showed high preference among most of groups. Most of broil food showed high preference, and students prefer meat to fish as broil cooking materials especially younger students. As a general they liked soybean sprout, spinach and wild sesame leaf as namul cooking method and they liked korean cabbage kimchi, chonggak kimchi, kackdoogi and dongchimi as kimchi. As a dessert subjects liked most of fruits and they liked yoghurt, fruit juice, milk, sikhae and soda as drinks generally. On the other hand snacks such as cooky, candy, cake, corn, rice cake, sweet potato have the lowest percentage preferance as a dessert, but students from elementary schools showed the highest preferance to sweet such as cooky, cake and candy than any other group. These food preferance results showed some nutritional problems especially young age students. They should eat more green-yellow vegetables, liver food and dried small sardine and they should reduce snacks such as candy and cooky and soda drink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nutrition education by parents, teachers and dietician together to improve their food habits and their health.

  • PDF

수도권 일부 학령기의 영양지수를 이용한 식행동 및 채소 선호도 조사 (Food Behavior Using the Nutrition Quotient and Vegetable Preferenc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 김영아;김형숙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7권2호
    • /
    • pp.67-76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urvey was to investigate the food behavior and vegetable preferenc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s of, South Korea. Five hundred and eighty students (277 male and 303 female) studying in grades 5~6 participated in the survey. We assessed food behavior by evauating the Nutrition Quotient (NQ). Through a questionnaire, which consisted of 20 food behavior checklist items. These items were grouped under five factors: balance, diversity, moderation, practice and environment. All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The average NQ score weighted using the five factors was 61.32 points. Among the five factors, moderation showed the lowest score, whereas environment showed the highest score. The average score of the vegetable preference was 3.36 points out of a total of 5 points. The vegetable preference was found to be highest for bean sprouts and followed by tomatoes, lettuce, spinach, Chinese cabbage, sesame leaf, pumpkin, carrot, radish, chives, lotus roots, onions, broccoli, sweet peppers, and eggplant. The results of vegetable preferences by NQ grade were 4.13±0.63 points for the high grade, 3.68±0.75 points for the medium-high grade, 3.41±0.82 points for the medium-low grade, and 2.94±0.78 points for the low grade.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NQ and vegetable preferences (r=0.477, P<0.001). If vegetables with high preference are frequently provided in school meals, it might contribute to improving overall food behavior.

농작물(農作物)에 대(對)한 납(Pb)의 흡수(吸收) 및 피해경감(被害輕減)에 관(關)한 연구(硏究) -IV. 밭작물(作物)의 납 흡수이행(吸收移行)과 석회(石灰) 및 인산(燐酸)의 영향(影響) (Studies on lead uptake by crops and reduction of it's damage. -IV. Effects of application of calcium and phosphate materials on lead uptake by upland crops)

  • 김복영;김규식;한기학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26-433
    • /
    • 1988
  • 토양(土壤)에 납의 농도(濃度)를 0, 150, 300mg/kg로 처리(處理)하고 콩, 팥, 땅콩, 감자, 고구마, 옥수수, 참깨, 들깨에 대(對)한 납흡수량과 콩과 들깨에 대하여는 소석회(消石灰)와 인산(燐酸) 2 배양(倍量)을 증시(增施)하여 납 흡수량(吸收量), 수량(收量), 토양중(土壤中) 납 함량(含量)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작물별(作物別) 납 흡수량(吸收量). ${\circ}$ 무처리(無處理) : 참깨>옥수수>고구마>들깨>감자>콩=팥=땅콩 ${\circ}$ 150mg/kg처리(處理) : 참깨> 옥수수>감자>고구마>콩>들깨>땅콩>팥 ${\circ}$ 300mg/kg처리(處理) : 참깨>감자>들깨>옥수수=콩>땅콩>고구마>팥 2. 작물부위별(作物部位別) 납함량(含量) : 뿌리>줄기>잎>곡립(穀粒) 3. 토양중(土壤中) 납함량(含量) 증가(增加)에 따라 각작물(各作物) 모두 납함량(含量)이 증가(增加)하고 수량(收量)은 감소(減少)하였다. 4. 소석회시용(消石灰施用)으로 납함량(含量)이 감소(減少)되나 인산증시(燐酸增施)는 들깨는 감소(減少)되나 콩은 경향이 없었다. 5. 토양중(土壤中) Pb/Ca+Mg당량비(當量比)가 감소(減少)함에 따라 콩과 들깨 모두 잎과 곡립(穀粒)의 납함량(含量)이 감소(減少)되었다. 6. 소석회시용(消石灰施用)으로 콩과 들깨가 증수(增收)되나 인산(燐酸)은 감수(減收)되었다. 7. CaO함량(含量)은 토양중(土壤中) 납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할수록 잎과 줄기에서 증가(增加)하나 뿌리에서는 감소(減少)하는 경향이며 $P_2O_5$ 함량(含量)은 모두에서 증가(增加)하는 경향이었다. 8. 시험후(試驗後) 토양(土壤)의 1N $NH_4$ OAC가용성(可溶性) 납함량(含量)은 150mg/kg처리(處理)에서는 26~50ppm, 300mg/kg처리(處理)에서는 42~70ppm이었고 시험토양(試驗土壤)의 pH는 소석회(消石灰)>인산(燐酸)>무시용(無施用) 순(順)으로 높았다.

  • PDF

참깨의 개화.등숙에 관한 연구 IV. 적엽처리가 참깨의 등숙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Flowering and Maturity in Sesame (Sesamum indicum L.) IV. Effects of Foliage Clipping on the Seed Maturity)

  • 이정일;강철환;손응룡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65-173
    • /
    • 1985
  • 참깨의 초형에 따른 비닐피복과 작기 그리고 적엽시기와 적엽부의별 적엽이 참깨의 동화기관과 종실의 결실.등숙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후기등숙불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코자 일련의 시험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개화 후 25일 하위엽 적엽에 따른 천립중 변동은 분지형은 단경형보다, 비닐피복구는 무피복 보다, 맥후작은 단작 보다 천립중 감소가 컸다. 단경형 단작 하위적엽에서는 상위삭 천립중이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맥후작과 분지형에서는 감소되었다. 2. 하위적엽에 의한 등숙립 비율변동은 분지형은 단경형 보다, 맥후작은 단경 보다 등숙립 비율의 감소가 컸으며 비닐피복 간에는 대차 없었다. 단경단작 25% 적엽에서 상위삭의 등숙립 비율은 무처리대비 약 6%의 증가를 보였으며 맥후작과 분지형에서는 감소되었다. 3. 개화 후 30 일.단경형.하위 25% 적엽에서 무처리에 비하여 약간의 등숙률 증가를 보였으나 분지형에서는 감소되었으며 상위적엽에 의하여 등숙률이 크게 떨어져 이 시기의 동화중심엽은 상위엽으로 추정되었고 단경형보다는 분지형의 하위엽이 등숙후기까지도 엽의 활력을 잘 유지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개화 후 10 일 적엽구에서는 단경.분지형 공히 큰 폭으로 등숙립 비율이 떨어졌다. 4. 하위 50 % 적엽에서 상위엽의 엽록소 함량은 같은 위치의 무처리 엽에서 보다 39%가 더 증가되었으며 상위 50% 적엽에 의하여 하위엽의 엽록소 함량은 무처리 대비 66%가 증가되어 한 쪽엽 적엽에 의하여 반대에 위치한 엽의 엽록소 함량이 증가하는 보상작용이 인정되었다. 5 하위 50% 적엽에 의하여 광합성은 무처리에 비하여 58 %의 증가를 보였으나 상위 50 % 적엽에서는 Omg$CO_2$/d$m^2$/hr로서 잔존 하위엽에서 생성한 동화양분은 그 엽의 자체의 호흡에 의한 소모도 충족시키지 못하여 생식생장 후기 상위적엽에 의하여 광합성 작용은 치명적 손상을 받을 뿐만 아니라 잔존 하위엽의 광합성 기여도는 낮을 것으로 인정되었다. 6. 수확지수에서는 하위 25% 적엽에 의하여 무처리 대비 28%의 증가를 보인 반면 상위 50% 적엽에서는 무처리에 비하여 13% 감소되었다. 7. 하위 50% 적엽에서 잔존 엽면적은 같은 위치의 무처리엽 면적에 비하여 48 %가 증가되었으나 상위적엽에서는 5% 증가에 그쳐 적엽에 의하여 신생 상위엽의 엽면적 증대는 큰 반면에 노쇠한 하위엽의 엽면적 증대는 거의 없었다. 8. 적엽에 따른 수량차는 분지형이 단경형에서 보다, 맥후작이 단작에서 보다 무처리에 비하여 감수폭이 터 컸으며 비닐피복 간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9. 단경.단작 하위 25 % 적엽에서 비닐피복과 무피복 공히 수량이 무처리에 비하여 각각 5 %와 8 %가 증가하였으며 타 적엽구에서는 감수되었다. 10. 개화 후 10 일 적엽구에서는 무처리에 비하여 34 % 감수된 반면 개화 후 30 일 적엽구에서는 무처리 대비 24 % 감수에 그쳐 개화 후 10일 엽에서의 동화물질 생산 기여도가 개화 후 30 일 엽에서 보다 더 높았던 것으로 인정되었으며 개화 후 10 일에는 단경.분지형 공히 하위 50 % 적엽구에서 가장 많은 감수를 보여 이 시기의 광합성 활동 중심엽은 하위엽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서울, 경남지역 승가(僧家)의 식생활(食生活)에 관한 조사연구 -I. 식이패턴과 특별식 중심으로- (A study on eating habits of the Buddhist Priesthood in Seoul and Kyongnam -I. Dietary pattern and special food-)

  • 조은자;박선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11-118
    • /
    • 1994
  • 1. 식사패턴 (1) 일상식 승가의 식사첫수는 일일삼식(一日三食)의 규칙적인 식사로 대용식은 거의 없었고, 소수의 사찰에서는 흰죽, 과일, 미싯가루, 조과, 찜, 우유등을 사용하기도 하였으며, 병인식으로 칠일약(七日藥)이 아닌 주로 흰죽 종류가 이용되었다. 사찰에 늘 상비하고 있는 양념류는 간장, 된장, 깨소금, 참기름, 식용유등을 필수로 하였고, 제피가루, 고추가루, 산초, 인공조미료 등을 일부 상비하고 있었다. (2) 접대식 스님과 일반손님의 접대식으로는 반상(飯床)차림이 가장 일반적이었고, 그외에 다과, 떡, 국수등으로 접대하였으며, 대소 행사시 내객을 위한 음식으로는 비빔밥, 찰밥, 오곡밥, 약밥, 떡국, 콩국수등 단체급식하기 쉬운 음식이었다. (3) 행사식 사찰의 대소 행사식은 육류사용이 제한되는 외에는 대체로 일반세시식과 같았으며, 일반세속과 다른 점은 산채비빔밥과 음료로서 송차가 준비되는 것이었다. 불전공양식(佛前供養食)은 대부분이 오공양(五供養)으로 하였으며 제사음식은 밥, 탕국, 나물, 전, 떡, 과일, 과자등 일반 세속의 제사음식과 같이 하는 경우가 많았다. 2. 특별식 떡류는 찌는 떡, 치는 떡, 빚는 떡, 지지는 떡의 4종류중 사용빈도로서는 치는 떡이 가장 많았으며, 찌는 떡으로서는 팥시루떡이 가장 많이 이용되었다. 고물과 속으로 사용되는 부재료로서는 팥, 녹두, 콩이 많았으며, 쑥이 배합된 떡도 있었다. 조과류로서는 약과, 강정(산자), 다식, 정과, 양갱등으로 종류가 매우 다양하였다. 음청류로는 농후음료류, 엽차류, 냉음청류, 약이복식류와 유(乳) 및 유(乳)제품류로 분류하였고, 조과류와 함께 다양하게 사용되었으며, 솔잎차와 같은 약한 알콜성음료도 이용되어 여름철에는 약수에 간장이나 죽염을 타서 사찰에 오신 손님을 접대하기도 하였다. 3. 저장식품 승가의 저장식품으로는 장아찌류에는 산채가, 김치류에는 엽경채류가, 말림류에는 산채류가, 부각류에는 산채와 해조류가 많이 사용되었고, 묵말림과 같은 특이한 저장식품이 많이 사용되었다.

  • PD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Organic Liquid Fertilizer with Oil Cake and Rice Bran as Affected by Microorganism and the Ratio of Molasses

  • An, Nan-Hee;Kim, Yong-Ki;Cho, Jung-Rai;Jee, Hyeong-Jin;Lee, Byung-Mo;Yoon, Jong-Chul;Choi, Ji-Wo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579-584
    • /
    • 2013
  •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inorganic components during fermenting process of organic liquid fertilizers according to the type and ratio of microorganism and the amount of molasses when producing organic liquid fertilizers using sesame oil cake and rice bran. To select appropriate microorganisms, liquid fertilizers were produced through a 90-day fermentation process by adding mag-ggeo-li, yogurt, dried yeast, and leaf mold. The pH in liquid fertilizer was decreased, and then increased in all microorganism samples except the mag-ggeo-li sample. The EC was rapidly increased in all samples until the $10^{th}$ days after production, and showed no changes after the $60^{th}$ days in dried yeast and after the $30^{th}$ days in the other samples. The concentration of $NH_4$-N was generally increased with time. The concentration of $P_2O_5$ was rapidly increased until the $10^{th}$ days after production and was maintained at about 1% regardless of the type of microorganism.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liquid fertilizers according to the ratio of selected dried yeast, the pH was decreased until the $30^{th}$ days after producing the liquid fertilizers, and then was increased regardless of the ratio of dried yeast. The EC was increased with time and showed no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amount of dried yeast. The concentration of $NH_4$-N was increased with time and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dried yeast.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liquid fertilizers according to the ratio of molasses, the pH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molasses. The EC and concentration of $P_2O_5$ were no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molasses. When 3% molasses was added, the content of $NH_4$-N was 2.6 mg $L^{-1}$ at the beginning and was at 3,025 mg $L^{-1}$ on the $90^{th}$ days.

보육시설 유아들의 식행동과 식품기호도 조사를 통한 식단개발 및 평가 (Menu Development and Evaluation through Eating Behavior and Food Preference of Preschool Children in Day-Care Centers)

  • 신은경;이연경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4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evaluate food menus after investigating eating behaviors and food preferences of preschool children. Parents of the preschool children In 2 Gumi City day-care centers completed questionnaires in July 2003, which were used to assess eating behaviors and food preferences of their preschool children.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s led to the development of the menus. Menus (n=10) were developed for five different categories (two menus were developed for each category) including general menu, unbalanced menu, anemia menu, obese menu, and traditional menu. The preschool children(n=656) evaluated the menus as they were provided with each them throughout October 2003. The five score scale method was used to evaluate taste, smell, looks, texture and general preference of each menu. Results in eating behaviors showed that 70.7% of preschool children had unbalanced eating behaviors. No gender based differences in eating behaviors were found, but in regard to food preferences boys tended to prefer carbonated drinks more than girls. Results indicated that among all menus, fruit ranked highest $(3.97{\pm}0.65)$ for food preference, and vegetables ranked lowest for food preference $(2.46{\pm}0.68)$. Food preference in regard to cooking process indicated the highest preference was for fried foods $(3.80{\pm}0.68)$ and the lowest preference was for raw vegetables $(2.61{\pm}1.27)$ and namul $(2.85{\pm}1.13)$. Preference for taste ranked the highest $(4.30{\pm}0.91)$ but preference for looks recorded the lowest $(3.95{\pm}0.89)$. Of all the foods in the menus, steamed tofu rated the highest for individual food item preference, while tuna sesame leaf rice rated the lowest preference. Statistical analysis of interrelationships among food taste, smell, looks, texture and general preference were significant (p<0.0l). Result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various factors including food taste, smell, looks, and texture influence the food preferences of preschool children.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by developing a variety of appetizing menus for use at home and in day-care centers, containing varied food items and cooking methods, preschool children will be encouraged to increase their food preferences and to establish appropriate eating behaviors.

식품(食品)의 열특성(熱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第) 1 보(報) : 한국고유식품(韓國固有食品)의 열특성(熱特性)- (Studies on the Thermal Properties of Foods -I. Thermal Properties of Some Korean Foods-)

  • 장규섭;전재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12-121
    • /
    • 1982
  • 식품제조중(食品製造中) 가열(加熱) 및 냉각(冷却) 등(等), 주요(主要)한 인자(因子)가 되며 열처리장치(熱處理裝置)를 설계(設計)하는데 기본자료(基本資料)가 되는 식품(食品)의 열전도도(熱傳導度)와 열확산도(熱擴散度)를 측정(測定)할 수 있는 장치(裝置)를 제작(製作)하여 아직까지 조사(調査)된바 없는 한국식품(韓國食品)의 열특성(熱特性)을 측정(測定)하였는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두부를 비롯한 12종(種)의 한국식품(韓國食品)의 비열(比熱)을 측정(測定)한 결과(結果), 도토리묵이 $0.856\;kcal/kg{\cdot}^{\circ}C$로 가장 높았고, 청국장이 $0.606\;kcal/kg{\cdot}^{\circ}C$로 가장 낮았다. 2. 열전도도(熱傳導度)는, 초기온도(初期溫度) $20^{\circ}C$에서, 깻잎이 $0.451\;kcal/m{\cdot}h{\cdot}^{\circ}C$로 가장 높았고, 녹두묵이 $0.304\;kcal/m{\cdot}h{\cdot}^{\circ}C$로 가장 낮았으며, 이들의 열전도도(熱傳導度)는 측정온도(測定溫度)가 높을수록 높은 값을 보였다. 3. 열전도도(熱傳導度)는 $20^{\circ}C$에서 고추장이 $0.0877\;cm^{2}/min$로 가장 높았고, 녹두묵이 $0.0518\;cm^{2}/min$로 가장 낮았으며 온도(溫度)가 높을수록 높은 값을 나타냈다. 열전도도(熱傳導度), 비열(比熱), 밀도(密度)로부터 산출(算出)된 계산치(計算値)와 측정치간(測定値間)의 오차(誤差)는 잔여율(殘與率)이 1.655%로 높은 부합도(附合度)를 나타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