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rvice orientation

검색결과 582건 처리시간 0.029초

Evaluation of the Use of Inertial Navigation Systems to Improve the Accuracy of Object Navigation

  • Iasechko, Maksym;Shelukhin, Oleksandr;Maranov, Alexandr;Lukianenko, Serhii;Basarab, Oleksandr;Hutchenko, Oleh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3호
    • /
    • pp.71-75
    • /
    • 2021
  • The article discusses the dead reckoning of the traveled path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video data stream coming from the optoelectronic surveillance devices; the use of relief data makes it possible to partially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of the first method. Using the overlap of the photo-video data stream, the terrain is restored. Comparison with a digital terrain model allows the location of the aircraft to be determined; the use of digital images of the terrain also allows you to determine the coordinates of the location and orientation by comparing the current view information. This method provides high accuracy in determining the absolute coordinates even in the absence of relief. It also allows you to find the absolute position of the camera, even when its approximate coordinates are not known at all.

How to Measure Relationship Value in Principal-Retailer Context

  • PRASETYA, Prita;NAJIB, Mukhamad;SOEHADI, Agus W.
    • 유통과학연구
    • /
    • 제19권1호
    • /
    • pp.37-47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s to review existing research on the definition,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relationship values to guide future research. This study specifically measures the relationship value between principals and retailers, which is still not widely discussed in previous research. Besides, to broaden our knowledge of the value-based determinants of competitive advantage, satisfaction, and retailer loyalty in business-to-business relationship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research assessed three alternative models of the relationship value construct's dimension structure and then tested for reliability, validit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earch sample is 185 retailers-data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product-based values and relationship-based values positively influenced competitive customer advantage, satisfaction, and loyalty. Conclusions: Relationship value construct can be measured and consist of five dimensions: product quality, delivery performance, customer orientation, service support, and personal interaction. They are key factors that mainta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cipal and retailers. This study indicates that principals must invest more time and effort in building valuable relationships with their retailers. Finally, the value of relationships is a determinant of retailer performance: satisfaction and loyalty.

Online Food Delivery App Distribution and Determinants of Jakarta's Gen Z Spending Habits

  • INDRIYARTI, Eko Retno;CHRISTIAN, Michael;YULITA, Henilia;RUMINDA, Marthaleina;SUNARNO, Sunarno;WIBOWO, Suryo
    • 유통과학연구
    • /
    • 제20권7호
    • /
    • pp.73-86
    • /
    • 2022
  • Purpose: Conside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increasing number of online food delivery applications (OFDA),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distribution of the presence of Indonesian OFDA and to measu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spending habits of OFDA user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wo hundred and nine OFDA users from Jakarta's Generation Z were surveyed via a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SMART PLS 3.0. Results: OFDAs were introduced into Indonesia in the recent past with varying degrees of popularity determined by the number of downloads. Users' intention to use was not determined by the speed of the introduction of an OFDA. This study also reveals that previous experience of the service, the orientation of time and price saving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pending habits. A moderating role of the saving variable on time and price was not demonstrated.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in COVID-19 pandemic conditions, the spending habits of Generation Z are not based on impulse, thrift, or extravagance. The pandemic shaped specific motivations in spending habits, namely prioritizing need.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cluding the small sample size and the use of internal variables.

Virtual Internship Experience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tudents During the Pandemic

  • Daniel Jr. Soriano Balbin;Russell Battad Dolendo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11권3호
    • /
    • pp.58-78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discover the notable experience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tudents in a virtual internship program. It employed qualitative descriptive research design by thematically analyzing the monthly internship journal of the interns. Using Colaizzi's method to identify themes from their experiences, the study revealed that interns expected to gain knowledge and skills on operations, services, and new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 libraries. Orientation was found helpful in identifying the things interns needed to prepare. The interns faced issues from procrastination and technical difficulties, which they coped with employing avoidance strategies. Overall, the internship was viewed as an opportunity to learn and navigate the online digital system of the library despite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pandemic. They realized their capacity and reflected on which competencies need improvement. In conclusion, students still learned the necessary knowledge and skills of a librarian; experienced the challenges faced in an actual library and were provided with various opportunities and realizations regarding the practice of librarianship. This study proposed a three-stage framework that outlines the involvement of the supervising instructors, librarians, and interns in the internship program from the preparation to the process and post-assessment.

Effects of Digital Shadow Work on Foreign Users' Emotions and Behaviors during the Use of Korean Online Shopping Sites

  • Pooja Khandagale;Joon Koh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33권2호
    • /
    • pp.389-417
    • /
    • 2023
  • Social distancing required the use of doorstep delivery for nearly all purchas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Foreign users in Korea are forced to participate in superfluous tasks, leading to an increase in their anxiety and fatigue while online shopping. This study examines how digital shadow work stemming from the language barrier can affect the emotions and behaviors of foreign shoppers that use Korean shopping sites. By interviewing 37 foreign users in Korea, this draft examined their experiences, behaviors, and emotional output, classifying them into 14 codes and seven categories. Using grounded theory, we found that online shoppers' emotions, feelings, experiences, and decision making may be changed in the stages of the pre-use, use, and post-use activities. User responses regarding shadow work and related obstacles can be seen with the continue, discontinue, and optional (occasional use) of Korean online shopping sites. Pleasure and satisfaction come from high efficiency and privileges, whereas anger and disappointment come from poor self-confidence and pessimism. Furthermore, buyer behavior and product orientation are identified as intervening conditions, while the online vs. offline shopping experiences are identified as contextual conditions. In conclusion, language barriers and other factors make online shopping difficult for foreign shoppers, which negatively affects their psychological mechanisms and buying behaviors. The implications from the study findings and future research are also discussed.

지상파 DMB 단말에서의 3D 컨텐츠 최적 서비스를 위한 경계 정보 기반 실시간 얼굴 수평 위치 추적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al-time Tracking Method of Horizontal Face Position for Optimal 3D T-DMB Content Service)

  • 강성구;이상섭;이준호;김중규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8권6호
    • /
    • pp.88-95
    • /
    • 2011
  • 모바일 단말과 같은 임베디드 환경은 범용 컴퓨터에 비하여 연산 성능이 현저히 낮다. 따라서 기존 얼굴 및 추적 알고리즘은 모바일 환경에서 적용하기에는 복잡도가 높아 검출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모바일 단말에서의 실시간 적용에는 적합하지 않다. 모바일 단말에서 실시간 시선 추적은 사용자와 단말 간의 양방향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단방향 서비스에 비해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된 실시간 시선 추적 기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지상파 3D DMB 컨텐츠의 품질 향상을 위하여 단말에서 사용자 얼굴의 수평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에지의 방향성을 이용하여 얼굴의 좌/우 경계 지점을 추정하며 컬러 에지 정보에 의하여 얼굴의 수평 위치 및 크기를 최종적으로 판단한다. 소벨 연산 과정에서의 경사도 벡터를 수직 방향으로 크기 투영한 데이터에서 얼굴의 경계 후보 지점들이 선택되며 정확한 판단을 위하여 평활화 방법 및 탐색 방법을 제안하였다. 일반적인 얼굴 검출 알고리즘은 멀티스케일의 특징 벡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모바일 환경에서는 검출 시간이 오래 걸리지만 본 알고리즘은 수평 위치 검출이라는 제약 조건 하에서의 단일 스케일에서의 검출 방법이므로 기존 얼굴 검출 방법에 비하여 빠른 검출이 가능하다.

관찰 가능한 달의 위상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설명 유형과 특징 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Explanation Types and Characteristics in Description of Observable Lunar Phases)

  • 신윤주;안유민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94-207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실제 관찰의 맥락을 강조한 달의 위상 변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초등 예비교사의 설명 유형과 그 특징을 파악하여 초등 교사 양성 프로그램에서 고려해야 할 부분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초등 예비교사 30명이 관찰 가능한 달의 위상을 설명한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달의 위상 변화에 대해 현상의 관찰과 이에 대한 과학적 추론에 바탕을 두기 보다는 달의 위상별 출몰 시간표를 도입하여 설명하는 경우가 많았다. 둘째, 태양이 뜨면 달이 보이지 않거나 또는 달이 떠 있다면 무조건 달을 관찰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유형의 대안 개념이 확인되었다. 셋째, 달을 관찰할 수 있는 시각과 방위에 대해서는 태양의 위치와 무관하게 관찰할 수 있다거나 남중할 때 관찰할 수 있다고 설명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달을 관찰하는 날짜는 음력으로 상정하여 접근하는 방식도 볼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교육학적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문화역사적 활동이론(CHAT)을 활용한 과학교사의 교육실습 지도 분석 (Analysis of Science Teachers' Guidance of Teaching Practice Using the CHAT)

  • 김민환;김다애;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13-126
    • /
    • 2020
  • 이 연구에서는 과학교사의 교육실습 지도 과정을 CHAT을 활용하여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사범대학의 부설학교에서 근무하는 2명의 과학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교육실습에 참관하며 지도 과정과 수업을 관찰하였고, 관련 문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교육실습의 전, 중, 후에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지속적 비교 방법으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과 지도교사의 수업 중 생활지도 또한 중요하였으며 교과 오리엔테이션은 실습 전에도 추가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었다. 예비과학교사와의 분업은 지도교사의 업무 부담을 덜기도 하였다. 성적에 민감한 학생들과 같이 공동체 요소의 영향으로 학생 평가를 지도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두 교사의 교육실습은 상호협력적으로 이루어져 예비교사만이 아니라 지도교사, 학생들 모두에게 긍정적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두 교사의 활동체계에서는 구체적인 지도 방식의 부재와 예비교사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인한 모순이 나타났다. 이는 두 교사의 교육실습 지도에 어려움을 가져왔고, 나아가서는 예비교사들이 실습 중에 겪는 어려움으로 이어지기도 하였다. 두 교사는 대안적 방법으로 모순을 해결하고자 하였으며 교육실습 지도를 위한 표준화된 지침, 지도교사들이 서로 협력할 수 있는 환경, 사범대학과의 긴밀한 연계 등을 요구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실습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광합성 실험에서 나타난 초등 예비교사들의 반성적 사고와 실험 수행 능력 분석 (The Analysi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and Experiment Performance Ability on Photosynthesis Experiment)

  • 김동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4권4호
    • /
    • pp.502-518
    • /
    • 2015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과학교과서에 수록된 광합성 실험을 초등 예비교사들이 직접 수행하고 그 실험결과와 자신의 반성을 담은 탐구과정상의 어려움과 해결책을 탐구보고서에 작성하도록 하였다. 10개조의 탐구보고서와 발표자료를 바탕으로 초등 예비교사들의 반성적 사고와 실험 수행 능력을 분석하였다. 반성적 사고에 대해서는 10편의 탐구보고서에서 '지식', '과정', '지향', '태도' 4가지 유형과 관련된 총 108개의 진술 문장을 추출하였다. 분석 결과 광합성 실험을 통해 획득한 '지식'에 대한 반성적인 사고에 대한 내용이 가장 많았다. 지식유형에서도 실험을 통해 새롭게 알게 된 것이나 기존의 개념이해가 변화한 내용에 대한 반성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실험 수행 능력은 10개조 중 반성적 사고 4가지 유형을 합산하여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한 개 조와 가장 낮은 빈도를 보인 한 개 조의 탐구보고서를 '실험준비 및 안전사고 예방', '실험 수행', '실험결과 정리 및 일반화', '실험결과 보완 및 피드백' 4단계에 따라 분석하여 56개의 문장을 추출하였다. 분석 결과 '실험결과 보완 및 피드백' 단계에서 두 조 간에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최하위 조의 경우 '실험결과 정리 및 일반화' 단계의 '컴퓨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대체 시약 및 재료 탐색', '대체 실험법 고안' 능력과 관련된 내용은 탐구보고서에서 찾을 수가 없었다.

중등 예비 화학교사의 수행평가 개발 과정에서 나타나는 교과교육학 지식(PCK) 요소의 특징 (The Characteristics of the PCK Components of Pre-Service Secondary Chemistry Teachers Considered in Developing Performance Assessment)

  • 노태희;이재원;강석진;한재영;강훈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91-299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예비 화학교사의 수행평가 개발 과정에서 나타나는 교과교육학 지식(PCK) 요소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예비교사 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이들은 수행평가 워크숍 후 구상 단계, 구체화 단계와 조별 논의 단계를 거쳐 수행평가를 개발하였다. 활동 과정에 대한 녹음 및 녹화와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개별적인 개발 단계에서 나타난 PCK 요소는 과학 평가에 관한 지식에 편중되어 있었다. 교육과정, 교수 전략, 학생에 관한 지식의 비중은 낮았으며 학생에게 제공되는 피드백도 고려되지 않았다. 구상 단계보다 구체화 단계에서 평가의 공정성과 객관성을 중시하는 전통적 평가 지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PCK 요소 사이의 연계는 구상 단계에서 과학 교수 전략에 관한 지식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구체화 및 조별 논의 단계에서 PCK 요소 사이의 연계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조별 논의에서 나타난 PCK 요소의 특징은 구체화 단계와 유사하였다. 조별 논의를 통하여 예비교사들이 고려하지 못했던 일부 PCK 요소가 보완되었으나 논의가 주로 전통적 관점에서 이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