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rvice Development Methods

검색결과 1,523건 처리시간 0.029초

The clinical utilization of radiation therapy in Korea between 2009 and 2013

  • Kang, Jin-Kyu;Kim, Mi-Sook;Jang, Won-Il;Seo, Young Seok;Kim, Hee Jin;Cho, Chul Koo;Yoo, Hyung Jun;Paik, Eun Kyung;Cha, Yu Jin;Song, Hyun Jin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4권2호
    • /
    • pp.88-95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clinical utilization of radiation therapy (RT) in Korea between 2009 and 2013.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open claims data from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The subjects were patients who had diagnostic codes C00-C97 or D00-D48 according to the 10th revision of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with procedure codes indicating RT treatment. Results: The total number of patients who received RT in 2009, 2010, 2011, 2012, and 2013 were 45,571, 49,593, 54,671, 59,172, and 61,485, respectively. Among them, the total numbers of male and female patients were 20,780/24,791 in 2009, 22,711/26,882 in 2010, 24,872/29,799 in 2011, 27,101/32,071 in 2012, and 27,941/33,544 in 2013. The five cancers that were most frequently treated with RT between 2009 and 2012 were breast, lung, colorectal, liver, and uterine cervical cancers. However, the fifth most common cancer treated with RT that replaced uterine cervical cancer in 2013 was prostate cancer. The three leading types of cancer among the male patients were lung, colorectal, and liver cancers, whereas in female patients, they were breast, uterine cervical, and lung cancers. The type of cancer most commonly treated by RT was cancer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in patients aged 20 years or less, breast cancer in patients aged 30-50 years, and lung cancer in patients aged 60 years or more. Conclusion: Data from this study provided the clinical utilization of RT in Korea between 2009 and 2013.

PoC BoX시스템이 적용된 모바일 환경에서 단말로의 효율적인 전송을 위한 RTSP 기반 미디어 표현 및 구조 생성 방법 (Media Expression and Structure Generation under RTSP for Effective Transmission on Mobile Environment with PoC Box system)

  • 이성준;김대원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1142-1154
    • /
    • 2009
  • 이동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새로운 단말 서비스들이 계속 생겨나고 있다. 그 중 기존 무전기 개념을 이용한 그룹통화 및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인 PoC (Push-to-talk over Cellular)는 표준 제정이 활발하게 논의되어 1.0을 지나 2.0 및 2.1 버전이 새로이 정의되고 있다. 이 중 기존의 음성사서함과 유사하며 PoC 클라이언트를 대체하는 기술인 PoC Box가 새롭게 논의되고 있으며, PoC Box 기술 중 가장 큰 이슈는 PoC Box에 저장되는 정보의 처리와 미디어를 전송하는 부분이 다. 본 논문에서는 PoC 클라이언트 사용자가 PoC Box에 저장된 미디어를 동적 제어하는 내용과 방법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이를 통해 저장된 미디어에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의 재생위치나 재생범위를 둘 수 있게 하여 효율적 전송을 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구현하여 PoC Box에 적합한, RTSP를 이용한 동적 제어의 방법과 각 미디어의 생성, 표현, 그리고 처리 방법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비교, 분석해 본다.

  • PDF

발톱 크롬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 요인과 크롬 수준과 이상지질혈증과의 연관성 분석 (Independent correlates of the toenail chromium level an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chromium level and dyslipidemia)

  • 강예지;이유진;손자경;박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1권1호
    • /
    • pp.40-49
    • /
    • 2018
  • 본 연구는 SELEN 코호트 연구의 기반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성인 남녀의 발톱 크롬 수준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파악하고, 크롬 수준과 이상지질혈증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면류, 채소류, 과일류가 발톱 크롬 수준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주었으며, 교란인자를 보정한 후 크롬 수준과 주요 이상지질혈증간의 유의적인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발톱 크롬 농도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내어 제시하게 된 바,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최초의 크롬 관련 영양 역학연구의 결과로서 그 의의가 크다. 또한 국내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본 연구 결과는 크롬의 한국인 영양 섭취 기준 개정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향후 크롬 섭취 및 체내 크롬 농도와 이상지질혈증과의 명확한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한국인 크롬 식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대규모 코호트 연구와 임상시험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예술가인가 교육가인가?: 문화예술교육사 국가자격증 취득희망자의 정체성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Artists or Educators?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Collective Identity of Future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ACEIs))

  • 김인설;박칠순;조효정
    • 문화경제연구
    • /
    • 제17권2호
    • /
    • pp.185-216
    • /
    • 2014
  • 2012년 2월에 개정된 "문화예술교육 지원법"을 근거로, 문화예술교육사 국가자격증 제도가 집행된 지 2년이 지났다. 문화예술교육사 국가자격증 취득희망자들은 누구이고, 어떠한 동기와 목적을 가지고 자격증 취득을 희망하고 있으며, 문화예술교육사로서 자신을 어떻게 정의내리고 있을까? 이 연구의 목적은 위의 질문에 대한 답을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찾고자 하는데서 시도되었다. 즉, 정책목표 상에 명시된 것이 아닌 실제로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을 취득하고자 하는 이들이 '나는 누구이고, 무엇을 하는 사람인가?'에 대한 답을 통해 이들의 집단 정체성(collective identity)을 파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n=172)들은 수도권의 한 문화예술교육원에서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취득을 위한 교육생들로 구성되었으며, 현상학적 분석을 정교화 하기 위한 주요도구로 질문지법(questionnaire method)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의 분석틀로 제임스 마샤(James E. Marcia)의 정체성이론을 사용하였다.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희망자의 대다수는 정체성의 획득이 아닌 유예와 유실 사이에서 상당히 다양한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아직 문화예술교육사의 개념과 정체성이 취득희망자 사이에서조차 모호하다는 것을 암시한다. 문화예술교육사에 대한 양질의 양성과정과 함께 이들이 실제로 자격증 취득 후 진출할 수 있는 활로가 담보되어야만 문화예술교육사의 개념과 정체성 확립이 실질적으로 존립할 수 있다는 것이 이 연구의 주요 시사점이다. 이들의 정체성에 대한 이해는 정책의 성공과 지속성 외에도 문화예술교육인력의 사회 경제적의미를 탐구하는 기초연구로 활용 가능하다.

LDA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인공지능 관련 국가R&D 연구동향 분석 (A Study on Analysis of national R&D research trend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using LDA topic modeling)

  • 양명석;이성희;박근희;최광남;김태현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47-55
    • /
    • 2021
  • 특정 주제분야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은 대부분 논문, 특허 등 문헌정보를 대상으로 한 키워드 추출을 통해 토픽모델링 기법을 적용하여 주요 연구주제와 연도별 추이 등을 살펴보는 방식을 활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에서 제공하는 인공지능 관련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정보를 대상으로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토픽모델링 기법을 활용하여 연구주제와 관련된 토픽들을 추출·분석하여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연구주제와 투자방향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NTIS는 국가연구개발사업·과제정보를 비롯하여, 논문, 특허, 보고서 등 연구를 통해 생성된 주요 연구개발성과에 이르기까지 방대한 양의 국가R&D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NTIS 통합검색에서 인공지능 키워드와 관련된 분류 검색을 수행하여 검색결과를 확인하고, 최근 3개년 과제정보를 다운로드 받아 기초데이터를 구축하였다. 파이썬에서 제공하는 LDA 토픽모델링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기초데이터 (연구목표, 연구내용, 기대효과, 키워드 등)를 대상으로 관련 토픽과 주제어를 추출하고 분석하여 연구투자방향에 대한 인사이트를 도출하였다.

50세 이상 성인의 대상포진 예방행위 관련변인들 간의 구조분석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mong Variables of Preventive Behavior to Herpes Zoster for Adults over 50 Years Old)

  • 오향옥
    • 대한보건연구
    • /
    • 제44권4호
    • /
    • pp.67-82
    • /
    • 2018
  • 연구목적: 본 연구는 50세 이상 성인의 대상포진 예방행위 관련 변인들을 분석하고자 시도된 구조분석 연구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표적 모집단은 B시의 노인 건강대학 프로그램 참가자, C시의 종합복지관의 취미교실 프로그램 참가자. C시의 지역사회 거주자 중 5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하여 응답자의 연령이 50세 이하인 7명과 불성실한 응답내용 8부를 제외한 225부를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 기간은 2016년 6월 15일부터 동년 7월 15일까지 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IBM사의 SPSS statistics 18.0과 AMOS versio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처리하였다. 연구결과: 모형검증 결과, ${\chi}^2=365.785$(df=193, p<.001), $CMIN/DF({\chi}^/df)=1.90$, GFI=0.88, AGFI=0.84, NFI=0.88, TLI=0.93, CFI=0.94, RMR=0.07, RMSEA=0.06 이었으며, 50세 이상 성인의 대상포진 예방행위에 대한 태도와 지각된 행위 통제는 대상포진 예방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 중 가장 큰 총효과를 나타낸 것은 대상포진 예방행위에 대한 태도이었다. 결론: 50세 이상 성인의 대상포진 예방행위 수행을 높이기 위해서는 태도의 변화를 유도하고, 지각된 행위통제를 강화하여 예방행위 수행을 높이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전략이 필요하다.

무인항공 경사사진을 이용한 3차원 모델 생성 및 정확도 평가 (3D Model Generation and Accuracy Evaluation using Unmanned Aerial Oblique Image)

  • 박준규;정갑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587-593
    • /
    • 2019
  • 공간정보 관련 분야는 위치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센서 및 자료처리 기술의 발달로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와 연관된 각종 산업과 사회적 활동에서 수요가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누구나 보기 쉽고 이해가 빠른 3차원 공간정보의 구축과 활용은 관련 서비스의 품질과 신뢰도 향상에 필수적인 요소라 할 수 있다. 최근에는 3차원 공간정보 구축 기술로 3D 레이저 스캐너가 많이 활용되고 있지만 3D 레이저 스캐너는 대상물의 규모가 크거나 형상이 복잡한 경우, 데이터 취득이 되지 않는 음영지역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장비의 이동 및 설치 횟수가 많아질수록 작업의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무인항공기를 이용하여 경사사진을 취득하고, 자료처리를 통해 대상물의 3차원 모델을 생성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를 선정하고, 무인항공기를 이용해 경사사진을 취득하였으며, 자료처리를 통해 0.02m의 간격을 가지는 포인트클라우드 형태의 3D 모델을 생성하였다. 3D 모델의 정확도 평가 결과는 최대 0.19m, 평균 0.11m로 나타났으며, 축 방향에 따른 편차의 경향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향후, 촬영 및 자료처리 방법에 따른 정확도 평가와 카메라 종류에 따른 3D 모델 구축과 정확도 평가 및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3D 모델의 정확도를 개선할 수 있을 것이며, 포인트클라우드 형태의 3D 모델은 거리 및 면적의 측정, 단면 생성, 대상물의 도면화 등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여 공간정보 서비스 및 관련 업무의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제4차 산업혁명과 장애인 일자리 추이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Job Transition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 나운환
    • 재활복지
    • /
    • 제22권3호
    • /
    • pp.23-39
    • /
    • 2018
  • 제4차 산업혁명과 기술혁신은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일자리 요인을 복잡하고 어렵게 만들 것이기 때문에 이 연구는 일자리 구조에 영향을 주는 기술요인을 분석하고 나아가 노동시장의 변화와 산업별 취업자의 추세변화를 통해 제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장애인 일자리 개발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FGI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4차 산업혁명의 일자리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기술적 요인은 인공지능, 사물인터넷과 네트워킹, 3D프린팅, 빅데이터 구축이며, 둘째, 산업혁명으로 인한 기술혁신은 일자리 구조에 큰 영향요인이었으며 산업혁명과 기술혁신이 진전되면서 1, 2차 산업에서 3차 산업으로 일자리가 급격히 이동하였으나 장애인의 경우는 이러한 추세와는 다른 양상을 보였으며 특히, 2, 3차 산업에서 의미 있는 변화추세가 없으며 이 같은 원인은 장애인 구직자에 대한 기술혁신과 산업변화에 따른 역량개발 기회가 제한된 결과로 분석되며, 셋째, 제4차 산업혁명과 일자리 구조변화에 대한 장애인의 대응방안으로서는 (1)기술혁신에 대응하는 역량개발을 위한 선제적 투자가 필요하며 역량개발을 위한 교육방식은 분리교육이나 특수교육 보다는 통합적 교육과정 내에서 역량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과정과 방법 등의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며, (2)기술적 측면으로 기술혁신과 변화의 원칙으로 보편적 설계와 보편적 서비스가 지켜질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미 개발된 기술과 서비스에 대하여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식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지원이 필요하며, (3)정책적으로는 제4차 산업혁명과 기술혁신에 대응하기 위한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위한 장기적인 전략개발이 필요하며, 고임금-고학력 장애인 구직자와 저임금-저학력 구직 장애인을 위한 차별화된 일자리 정책개발이 필요하며, (4)제4차 산업혁명과 기술혁신으로 새롭게 일자리가 창출되는 뉴칼라 직종의 인력양성을 위한 개발 정책이 마련되어야 하며, 마지막으로 제4차 산업혁명과 급격하게 변화하는 기술혁신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기초적인 자료들이 빅데이터화 될 수 있어야 한다.

머신러닝을 이용한 급성 뇌졸중 퇴원 환자의 중증도 보정 사망 예측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everity-adjusted mortality prediction model for discharged patient with acute stroke using machine learning)

  • 백설경;박종호;강성홍;박혜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126-136
    • /
    • 2018
  • 본 연구는 머신러닝을 활용하여 급성 뇌졸중 퇴원 환자의 중증도 보정 사망 예측 모형 개발을 목적으로 시행하였다. 전국 단위의 퇴원손상심층조사 2006~2015년 자료 중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KCD 7)에 따라 뇌졸중 코드 I60-I63에 해당하는 대상자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동반질환 중증도 보정 도구로는 Charlson comorbidity index(CCI), Elixhauser comorbidity index(ECI), Clinical classification software(CCS)의 3가지 도구를 사용하였고 중증도 보정 모형 예측 개발은 로지스틱회귀분석, 의사결정나무, 신경망, 서포트 벡터 머신 기법을 활용하여 비교해 보았다. 뇌졸중 환자의 동반질환으로는 ECI에서는 합병증을 동반하지 않은 고혈압(hypertension, uncomplicated)이 43.8%로, CCS에서는 본태성고혈압(essential hypertension)이 43.9%로 다른 질환에 비해 가장 월등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반질환 중중도 보정 도구를 비교해 본 결과 CCI, ECI, CCS 중 CCS가 가장 높은 AUC값으로 분석되어 가장 우수한 중증도 보정 도구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CCS, 주진단, 성, 연령, 입원경로, 수술유무 변수를 포함한 중증도 보정 모형 개발 AUC값은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경우 0.808, 의사결정나무 0.785, 신경망 0.809, 서포트 벡터 머신 0.830로 분석되어 가장 우수한 예측력을 보인 것은 서포트 벡터머신 기법인 것으로 최종 확인되었고 이러한 결과는 추후 보건의료정책 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고령자를 위한 실감객체기반 인지재활 시스템의 개발과 사용성 연구 (Development and Usability of a Cognitive Rehabilitation System Based on a Tangible Object for the Elderly)

  • 박상미;원경아;신윤찬;박지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8권1호
    • /
    • pp.51-62
    • /
    • 2019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인지기능 수준을 가진 고령자를 위한 실감객체 기반 인지재활시스템을 개발하고, 사용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사용성 연구는 시스템의 강점과 약점을 확인하기 위해 15명의 환자 집단과 4명의 작업치료사 집단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응답에 근거한 수정을 통해 시스템을 보완 및 개선하였다. 응답자들은 세 종류의 훈련-실행기능 훈련, 기억력 훈련, 집중력 훈련을 20분~30분간 경험해본 후, 구조화된 설문에 응답하였으며 설문의 영역은 각 훈련 영역별 콘텐츠, 중앙처리장치이자 화면 제시 매체인 태블릿 PC 및 실감객체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시스템 이용에 따른 만족도로 구성되었다. 결과: 설문 응답 결과 환자 집단과 작업치료사 집단 모두에게 가장 흥미로웠던 영역은 실행기능으로 나타났고 가장 흥미롭지 않은 영역은 집중력으로 나타났다. 하드웨어 사용성 설문에서 태블릿 PC의 화면의 크기가 부적절하다는 응답이 6건, 실감객체의 크기가 부적절하다는 응답이 5건으로 나타났다. 시스템 이용에 대한 만족도 설문에서 전체 응답자의 40%가 시스템에 만족하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결론: 본 시스템은 훈련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실감객체 도구의 조작이 용이하다는 점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인지훈련의 영역을 쉽게 선택하여 훈련할 수 있다는 점, 사용자의 수행도에 의해 난이도가 자동으로 조정된다는 점을 특징으로 갖는다. 본 시스템에서 입력장치로 사용되는 실감객체도구는 양손에 쥐고 사용함으로써 훈련환경을 자연스러운 일상에서의 도구 사용과 유사하도록 고안하였다. 본 시스템은 지역사회 인지 재활전문가 부족의 대안으로 사용가능 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