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rvice Development Methods

검색결과 1,523건 처리시간 0.032초

BlazeDS에서의 효과적인 Push 서비스를 위한 메시지 필터링 (Message Filtering for Effective Push Service in BlazeDS)

  • 이홍창;김보현;오훈;이명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37-48
    • /
    • 2010
  • 일반적으로 HTTP 프로토콜은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서버가 응답하는 형태로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방식은 서버가 능동적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없기 때문에 급변하는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어렵다. HTTP 프로토콜의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등장한 Server Push 기술은 클라이언트의 명시적인 요청이 없이도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변경된 정보를 능동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Adobe BlazeDS는 Push 서비스를 지원하는 웹 서버로서 이를 확장하여 웹 기반의 Push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다. 하지만, BlazeDS는 여러 유형의 사용자들에 따라 푸시될 정보를 수정하는 필터링 기능의 부재로 다양한 상황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Push 서비스를 개발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본 논문에서는 BlazeDS 기반의 Push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BlazeDS에 메시지 필터링 기능을 추가하고 이를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BlazeDS에 추가되는 메시지 필터링 기능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푸시될 정보를 수정하고 각 정보들을 요청한 사용자들에게 전송한다. 메시지 필터링 기능이 지원되는 BlazeDS는 다양한 사용자들의 개별적인 상황에 따라 맞춤형 정보를 지원하는 Push 서비스를 손쉽게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한국 영재교육 연구의 현황 및 성과: 2003-2012 (Comprehensive Review of Research Publications on Gifted Education in Korea : 2003-2012)

  • 이상희;최선일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6호
    • /
    • pp.881-904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교육을 실질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마련된 제1, 2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시기인 2003년도부터 2012년도까지 10년간의 영재교육 연구, 동향 및 연구보고서를 분석함으로써 영재교육 관련 연구 성과와 경향 및 흐름을 분석하고, 향후 영재교육 연구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네이버 전문정보 사이트와 한국학술정보원 학술연구정보서비스에서 영재를 키워드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총 182종 1,696편의 학술지 논문, 총 138편의 박사학위 논문, 총 1,470편의 석사학위 논문, 75개 기관 총 798편의 동향 및 연구보고서를 연구 자료로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학술지 및 학위 논문과 동향 및 연구보고서를 크게 연구대상, 영재분류, 연구주제,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2003년부터 2012년까지의 영재교육 학술지 논문과 학위 논문은 주로 초 중등학생을 대상으로, 수학 과학 분야의 영재들을 중심으로,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을 주제로, 양적연구의 방법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음을 파악할 수 있다. 연구 결과와 관련하여 영재교육 10년간의 연구 성과가 도출되었으며, 향후 국내 영재교육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청소년이 인식하는 중학교 노년기 주생활 교육 실태와 교육 필요도 (Actual Condition & the Need of Education for Elderly Housing Education Perceived by Adolescents)

  • 이영자;장상옥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9-75
    • /
    • 2008
  • 본 연구는 청소년의 노년기 주생활 교육 실태 및 교육 필요도를 파악하여 개정 가정 교육과정 주생활영역에서의 교과서 개발 연구와 교사의 교수 시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중학교 때 배웠던 노년기 주생활 수업이 이론 위주이고 교육내용이 흥미롭지 않아 상당수가 불만족하므로 학습자들이 실습과 체험활동 등을 경험할 수 있는 교육내용과 다양한 수업방식이 필요하겠다. 청소년은 노년기 주생활 교육내용으로 노인을 배려한 공간계획 요소(안전성, 관리, 실내 환경), 노년 주거계획 전반, 노인복지 서비스를 필요로 하였고, 3세대 가족 주거와 노인전용주택의 필요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러한 교육내용은 성별, 거주면적, 가정소득, 출신 중학교 학교형태, 현 주택 거주 년 수의 일부 관련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에서는 필요도가 높은 교육내용을 적절한 단원에 포함시키도록 한다. 현행 7차 교육과정의 노년기 주생활 교육내용은 교과서별로 편차가 크므로 교과서 집필 시는 노년기 주생활 교육내용이 골고루 포함될 수 있도록 고려한다. 아울러 교사의 교수 시는 특성 변인의 차이를 감안하여 교육내용을 구성할 필요가 있겠다.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교수.학습방법으로 학생들의 체험적인 활동을 중시하고, 지역사회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도록 권장하므로 현재의 장애체험 교육활동의 범위를 확장시켜 노인체험활동을 포함할 수 있도록 교육내용을 구성한다면 노년기 주생활 교육의 효과가 더 커질 것이므로 이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도 요망된다.

  • PDF

학교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학교 평가 (Evaluation of Health Promoting School by School Characteristics)

  • 이은영;최보율;손애리;안동현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85-96
    • /
    • 200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input for health promoting schools (HPS), and to evaluate HPS based on WHO's guidelines through school characteristics, and to identify the schools' need among six areas of HPS. Methods: A stratified and random cluster sampling design was used to obtain a cross-sectional sample. A total of 59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areas were included, and 333 teachers (males 40.6%, females 59.4%) participated in this survey.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consisted of ten items for input for HPS, 50 items for the evaluation of HPS and three items for the schools' needs among six areas of HPS. Data was analyzed through a t-test, ANOVA, and a Duncan test. Results: The mean score of input for HPS was 48.5 ($\pm$15.3). Elementary schools had higher mean scores of input than middle schools. The mean score of schools with a management committee was higher than those schools without it. The schools which had meetings on health issues had higher mean scores. The mean score for HPS was 76.8 ($\pm$9.4): the area of "School Physical Environment" had the highest score (80.0$\pm$10.9), and the area of "Community Relationships" had the lowest score (67.1$\pm$13.9). Elementary schools had higher mean scores of HPS than middle and high schools. The schools which had less than nine classes and more than 31 classes had higher mean scores. The mean scores of schools with less than 340 students and more than 1201 students had higher. The schools which had meetings on health issues had higher mean scores. The same results were found on six areas of HPS. The teachers responded that the areas of "School Health Policy", "The School Physical Environment", and "Health Service" should be supported among the six areas of HPS.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more concerns and support for school health are necessary. Middle schools should give more regard on the development of HPS. For comprehensive school health promotion, all six areas of HPS should be equally supported.

국내 감각통합치료실 구성을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 델파이 연구 (Development of Guidelines for Setting Up Sensory Integration Rooms in Korea Using the Delphi Method)

  • 이찬화;황선미;박서율;채송은;김정란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14
    • /
    • 2020
  • 목적 : 본 연구는 델파이 방법을 적용하여 국내 감각통합치료실 구성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20년 5월부터 6월까지 감각통합치료 관련된 전문가 패널 22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방법을 적용하여 전문가의 의견을 수집하였다. 델파이 조사는 2차에 걸쳐 진행 되었으며, 1차 델파이 설문에는 선행연구를 근거로 하여 평가도구 40개와 치료도구 23개의 폐쇄형 질문과 안전을 위한 물리적 환경 10개의 항목과 개방형 질문을 혼합하여 의견을 수렴하였다. 2차 델파이 설문은 1차 설문의 결과를 바탕으로 항목 삭제 및 수정과정을 거쳐 최종 수렴하였다. 결과 : 1차 델파이 결과에서는 총 59개 항목이 선정되었다. 최종 2차 델파이 결과에서는 59개의 모든 항목의 내용타당도 비율이 .42 이상으로 분석되어 삭제한 항목은 없었으며, 안정도 또한 모든 항목 0.5 이하로 분석되어 추가적인 설문이 필요 없음으로 판단하였다. 최종 델파이 조사의 평균 내용타당도 비율은 .92, 안정도 .15, 수렴도 .36, 합의도 .80으로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감각통합치료실의 물리적 환경과 치료 도구 및 평가 도구를 조사하고, 감각통합치료자들에게 임상 현장에서 얻어진 감각통합치료실 환경에 대한 견해를 파악함으로써 앞으로 감각통합치료실을 개설하기 원하는 기관들과 임상 치료사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PS-Block 구조를 사용한 PS-Block Timing Model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S-Block Timing Model Using PS-Block Structue)

  • 김윤관;신원;장천현;김태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3D권3호
    • /
    • pp.399-404
    • /
    • 2006
  • 실시간 시스템은 소형 임베디드 시스템부터 대형 분산 시스템까지 다양한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실시간 시스템은 시간적 정확성을 갖기 때문에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시간적 특성을 지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실시간 시스템에 대한 연구 결과로서 제안된 TMO 모델은 실시간 개념에 따른 다양한 시간 처리 기능을 지원하고, 개발자가 정의한 응답시간을 보장한다. 따라서 개발자는 응답시간을 정의하고, 그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한 기준점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TMO 정적 분석 도구의 기반 구조로서 개선된 PS-Block을 설계하였다. 기존의 PS-Block은 블록을 중복 생성하는 구성 정책으로 부하가 생기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블록의 중복으로 인한 부하문제를 개선하고, 탐색을 위한 베이스 클래스를 정의하여 PS-Block Timing Model을 구현하였다. 개선된 PS-Block 구조를 사용한 PS-Block Timing Model은 프로그램을 PS-Block 구성 정책에 따라 실행시간을 분석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고 시간 정보 결정의 기준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실시간 메소드의 적시성을 쉽게 확인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개발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디자인 데이터베이스 체계구축 및 운용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교육을 중심으로- (A Development of Design database structure and Database Application System applicable for design Foundation Courses.)

  • 이종호
    • 디자인학연구
    • /
    • 제12권4호
    • /
    • pp.283-292
    • /
    • 1999
  • 최근 들어 네트 을 활용할 수 있는 사회기초 기반구축의 빠른 진척과 더불어 교육환경에서 네트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활용에 대한 대내외적 요구는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반면,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켜줄 만한 디지털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교육 시나이로에 대한 연구는 그 다지 쉽게 찾아 볼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시청각 교육을 위주로 하는 교육환경(미술, 디자인 등)에서의 디지털 시스템의 활용에 관한 연구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에 관한 연구를 제외하고는 거의 전무한 형편이다. 21세기의 국가 디자인 경쟁력 향상을 위해서도 산재되어 있는 디자인 자료를 디지털화 하여 언제 어디서나 열람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의 개발이 시급한 때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목적을 가지고 수행되었다. 첫째, 디자인 데이터 베이스 구성요소 추출 및 분류체계 개발. 둘째, 디자인 데이터 베이스 구성요소 추출 및 분류체계 개발. 마지막으로, 디자인 데이터 베이스 활용 방법 개발. 본 목적에 의거하여 두 가지 방향성에 의하여 기초 조사가 수행되었다. 첫째는 기존의 디자인 분류 체계에 관한 체계적 분석이었으며, 둘째는 기초 조형 교육의 교육내용 및 과정분석이 이루어 졌다.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디자인 데이터의 감성적 평가에 대한 교육적 요구를 수용하기 위하여 이미지 데이터에 고정적 구성요소이외에 감성요소를 수용할 수 있는 가변적 구성요소를 부가하여 구조를 설계하였다. 둘째, 디자인 데이터 베이스를 운용하여 기초 조형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체계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디자인 데이터 베이스 활용 Application의 프로세스가 시나리오 기반 디자인 방법론에 의거하여 개발되어 졌으며, 또한 그에 합당한 UI 도 개발되어졌다.

  • PDF

구글어스 기반의 전자문화지도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lectronic Culture Atlas Based on Google Earth)

  • 강지훈;문상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357-363
    • /
    • 2014
  • 지속적인 정보기술의 발전은 사회를 성장시킴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더 많은 정보와 요구사항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최근 디지털 융합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학문 분야에서의 디지털 융합은 새로운 학문으로서 다양한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다. 전자문화지도는 문화정보를 디지털화하여 특정 지역의 지도위에 나타내는 것이다. 세부적으로 점, 선, 면의 공간속성을 활용해 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으며 시간, 공간(지도), 주제(문화) 세 가지 값이 연계된 정보로 활용이 가능하다. 즉, 전자문화지도는 인문 지역 연구를 위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결과물을 전자문화지도를 통해 전시함으로써 연구결과를 확산시킬 수 있다. 기존의 전자문화지도는 평면 비트맵(bitmap)지도이미지 활용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이는 특정지역에 대한 입체적인 정보제공이 어렵고 지도 확대 시 이미지 깨짐현상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구글에서 제공하는 입체 지도 서비스인 구글어스를 활용해 지역연구를 위한 전자문화지도를 설계 및 구현한다.

조선시대(朝鮮時代) 의원(醫員)의 변화와 자기의식(自己意識) 형성 (Study about the formation of doctors' identity in the Joseon(朝鮮) Dynasty)

  • 김성수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1-15
    • /
    • 2011
  • In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朝鮮) Dynasty, the medical world was encountering a great change. It is said that a large stream between the first half and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was a qualitative transition from official relationships to private relationships, that is, from adjustments by governmental power to contractual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s. Doctors who can be said to be the core of the medical world became to be left in severer competition. The fact that the number of people engaged in medical practice increased to the extent that doctors had to compete with each other implies that not only demand for medical care was increasing but also that medical care was becoming social service that must be shared by all people in the Joseon Dynasty rather than by small numbers of men of power. Anyway, it seems like that, in the competition that was becoming fiercer, they tried to establish their authority in diverse methods unlike before. As an authority to determine the social positions of doctors in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the government was still occupying an important position, but doctors tried to show off their medical techniques utilizing excellent teachers or books. Meanwhile, they were making efforts to improve treating skills and thereby they were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iques although they were sometimes criticised because of radical treatment or fierce drugs. In this process, it seems like that some doctors made efforts to establish the social meaning of medicine and their identity. In the short dialogue with Hong Yangho(洪良浩), Cho Gwangil(趙光一) was presenting the image of doctors as active and subjective beings. Pointing out the fact that in the society where feudal position systems were still impregnable, even the Confucian scholars who could be considered as a leading group could not but be passive in front of the sovereign power, he emphasized the fact that doctors could practice treatment as they liked. In that he re-discovered the meaning of treating people's diseases as a professional intellectual and that he was forming a subjective sense that medical techniques are active self expression, it can be carefully said that Cho Gwangil was obtaining his identity as a doctor. In the society in the Joseon Dynasty where the position systems were still valid and the value system under Neo-confucianism(性理學) supporting the system was impregnable, this change can be thought to be small yet quite meaningful.

X.805를 확장한 BcN 취약성 분류 체계 (Classification of BcN Vulnerabilities Based on Extended X.805)

  • 윤종림;송영호;민병준;이태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3C권4호
    • /
    • pp.427-434
    • /
    • 2006
  • 광대역통합망(BcN: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은 통신과 방송을 융합하여 유무선의 고품질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중요한 기반구조이다. 그러나 망의 융합에 따라 개별 망에서 발생한 침해 사고의 피해가 확산될 위험이 있고 수직 및 수평적 이동이 가능한 다양한 서비스가 출현함에 따라 새로운 위협 요인들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BcN의 취약성을 시스템 구조적으로 분석하고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이 결과가 공격 대응 기술을 마련하는데 활용되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보안 아키텍처 구성요소를 정의한 ITU-T의 X.805 권고안을 기반으로 BcN 환경에 적합하게 확장한 새로운 취약성 분류 체계를 제안한다. 이 새로운 분류는 서비스 별로 보호해야 할 대상, 가능한 공격 수단, 그로 인한 피해 종류 및 위험도, 이를 막는데 효과적인 대응수단을 포함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분류 체계를 기존의 CVE(Common Vulnerabilities and Exposures)와 CERT/CC(Computer Emergency Response Team/Coordination Center)의 취약성 정의 및 분류 방법과 비교하고, 체계 검증의 일환으로 BcN 서비스 중 하나인 VoIP(Voice over IP)에 적용한 사례와 취약성 데이터베이스 및 관리 소프트웨어 개발 결과에 대하여 논한다. 이 논문에서 제시한 연구 결과는 보안 지식을 집적하고 새로운 정보보호기술을 도출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