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quential extraction methods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5초

Motion classification using distributional features of 3D skeleton data

  • Woohyun Kim;Daeun Kim;Kyoung Shin Park;Sungim Lee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30권6호
    • /
    • pp.551-560
    • /
    • 2023
  • Recently, there has been significant research into the recognition of human activities using three-dimensional sequential skeleton data captured by the Kinect depth sensor. Many of these studies employ deep learning models. This study introduces a novel feature selection method for this data and analyzes it using machine learning models. Due to the high-dimensional nature of the original Kinect data, effective feature extraction methods are required to address the classification challenge. In this research, we propose using the first four moments as predictors to represent the distribution of joint sequences and evaluate their effectiveness using two datasets: The exergame dataset, consisting of three activities, and the MSR daily activity dataset, composed of ten activities. The results show that the accuracy of our approach outperforms existing methods on average across different classifiers.

Bhattacharyya distance 기반 특징 추출 기법 (Feature Extraction Method Using the Bhattacharyya Distance)

  • 최의선;이철희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37권6호
    • /
    • pp.38-47
    • /
    • 2000
  • Bhattacharyya distance는 패턴 분류 문제에 있어서 클래스간 분리도 측정의 수단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특징 추출 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발표된 Bhattacharyya distance를 이용한 에러 예측 기법을 이용하여 예측된 분류 에러가 최소가 되는 특정 벡터를 추출하는 방법에 대하여 제안한다. 제안한 특징 추출 기법은 최적화 알고리즘인 전체탐색 및 순차탐색 방법의 적용 시 분류 에러를 직접 구하지 않고 Bhattacharyya distance를 이용하여 분류 에러를 예측하므로 고차원 데이터의 경우 고속의 특징 추출이 가능하며, 에러 예측 성질을 이용하여 패턴 분류 시 필요한 최소 특징 벡터의 수를 예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PDF

색상 및 기울기 정보를 이용한 인간 실루엣 추출 (Hybrid Silhouette Extraction Using Color and Gradient Informations)

  • 주영훈;소제윤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913-918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인간과 로봇의 인터액션을 위해 연속된 이미지 정보로부터 얻을 수 있는 색상(color)과 기울기(gradient) 정보를 이용하여 인간 몸의 실루엣 추출 기법을 제안한다. 연속된 이미지 정보로부터 얻어진 RGB 영상 정보에서 색상 배경 제거 기법은 각각의 신체 비율 정보로부터 추출된 모션 영역 정보에서 색상 공판별 평균 이미지 정보를 얻고 옷 색상 정보를 볼록 합하여 계산된다. 기울기 배경 제거 기법은 공간상 정보와 시간상 정보의 볼록 합으로 계산된다. 최종적으로 색상 정보와 기울기 정보의 볼록 합을 하여 인간 몸의 실루엣을 추출한다. 마지막으로,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기법의 성능을 확인하였다.

커피 찌꺼기의 카페인 용출 및 산화분해 특성 (Extraction of Caffeine from Spent Coffee Grounds and Oxidative Degradation of Caffeine)

  • 신민정;김영훈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7권12호
    • /
    • pp.1205-1214
    • /
    • 2018
  • During the past few decades, significant increase in the consumption of coffee has led to rapid increase in the production of coffee waste in South Korea. Spent coffee waste is often treated as a general waste and is directly disposed without the necessary treatment. Spent Coffee Grounds (SCGs) can release several organic contaminants, including caffeine. In this study, leaching tests were conducted for SCGs and oxidative degradation of caffeine were also conducted. The tested SCGs contained approximately 4.4 mg caffeine per gram of coffee waste. Results from the leaching tests show that approximately 90% of the caffeine can be extracted at each step during sequential extraction. Advanced oxidation methods for the degradation of caffeine, such as $UV/H_2O_2$, photo-Fenton reaction, and $UV/O_3$, were tested. UV radiation has a limited effect on the degradation of caffeine. In particular, UV-A and UV-B radiations present in sunlight cause marginal degradation, thereby indicating that natural degradation of caffeine is minimal. However, $O_3$ can cause rapid degradation of caffeine, and the values of pseudo-first order rate constants were found to be ranging from $0.817min^{-1}$ to $1.506min^{-1}$ when the ozone generation rate was $37.1g/m^3$. Additionally, the degradation rate of caffeine is dependent on the wavelength of irradiation.

토양 및 고체시료 중 불소함량 측정기법 (A Review on the Analytical Techniques for the Determination of Fluorine Contents in Soil and Solid Phase Samples)

  • 안진성;김주애;윤혜온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8권1호
    • /
    • pp.112-122
    • /
    • 2013
  • Current status of soil contamination with fluorine and its source were investigated. The basic principles and procedures of various techniques for the analysis of fluorine contents in soil and solid phase samples were summarized in this review. Analysis of fluorine in solid matrices can be achieved by two types of techniques: (i) UV/Vis spectrophotometer or ion selective electrode (ISE) analysis after performing appropriate extraction steps and (ii) direct solid analysis. As the former cases, the standard method of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alkali fusion-ISE method, pyrohydrolysis, oxygen bomb combustion, aqua regia digestion-automatic analysis, and sequential extraction-ISE method were introduced. In addition, direct analysis methods (i.e., X-ray fluorescence spectrometry and proton induced gamma-ray emission spectrometry) and atomic spectrometry combining with the equipment for introducing solid phase sample were also reviewed. Fluorine analysis techniques can be reasonably selected through site-specific information such as matrix condition, contamination level, the amount of samples and the principles of various methods for the analysis of fluorine presented in this review.

용해도에 따라 노출기준이 다른 금속화합물의 정량방법 고찰 (Review of the Determination Methods for Metal Compounds with Different Occupational Exposure Limits Depending on Solubility)

  • 박승현;노지원;장미연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87-98
    • /
    • 2020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sequential procedure for the simultaneous analysis of soluble and insoluble metal compounds. Methods: Methods for sampling and analyzing metal compounds such as ISO standards, NIOSH methods, HSE methods, and OSHA methods were reviewed. Results: Some metals have different OELs depending on the solubility of the compound. Therefore, we should take into account these characteristics and perform an exposure assessment. Soluble metal compounds are first extracted from the filter, and then the filter is digested by acids to analyze residual insoluble components. The extraction of soluble compounds can be completed by agitation for about 60 minutes with a leach solution (water) in a water bath at 37℃. For the analysis of insoluble compounds, the sample filter and the filtration filter remaining after the extraction of the soluble compounds are analyzed. This allows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soluble and insoluble metal compounds. For hexavalent chromium compounds, soluble hexavalent chromium can first be extracted from the filter by using sulfate buffer. The insoluble hexavalent chromium remaining in the filter can then be extracted using carbonate buffer. Conclusion: Workers are often exposed to many hazardous substances with different exposure limits at industrial sites. The OELs for compounds of the same metal can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solubility. This study can help evaluate a worker's exposure to metal compounds by suggesting methods for the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soluble and insoluble metal compounds.

용출액의 pH 변화가 토양내 중금속 용출에 미치는 영향과 그에 따른 국내 토양 오염 공정시험방법의 문제점 (The Effects of pH Change in Extraction Solution on the Heavy Metals Extraction from Soil and Controversial Points for Partial Extraction in Korean Standard Method)

  • 오창환;유연희;이평구;이영엽
    • 자원환경지질
    • /
    • 제36권3호
    • /
    • pp.159-170
    • /
    • 2003
  • 전주시 하천 퇴적물시료, 호남고속도로 주변의 토양과 퇴적물 시료, 광산주변 광미 및 토양시료를 대상으로 토양오염 공정시험방법상의 용출법, 0.1N 유지용출법, Tessir et al.(1979)의 연속추출방법을 적용하여 중금속을 추출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공정시험방법상의 용출법 사용시 산에 대한 완충능력이 있는 시료는 용출액의 pH 1(0.1N HCl)이 유지되지 못했고 용출액의 pH가 최고 8.0까지 증가하였다. 또한, 토양오염 공정시험방법상의 용출법 사용시 중금속 추출량(HPE)/0.1 N 유지용출법 사용시 중금속 추출량(HPEM) 값의 평균치와 범위는 Cd의 경우 0.479와 0.145~0.929, Zn의 경우 0.534와 0.078~0.928, Mn의 경우 0.432와 0.041~0.992, Cu의 경우 0,359와 0.011~0.874, Cr의 경우 0.150과 0.018~0.530, Pb의 경우 0.219와 0.003~0.853, 그리고 Fe의 경우 0.088과 1.73${\times}$$10^{-5}$~0.303이다. 이는 두 전처리 방법에 의해 추출된 중금속량의 차이가 Fe>Cr>Pb>Cu〉Mn>Cd>Zn 순임을 지시한다. HPE, HPEM과 연속추출법 비교시 Zn, Cd, Mn의 경우 추출량은 대체적으로 연속추출 3단계까지의 합$\geq$0.1N 유지용출법>연속추출 2단계까지의 합$\geq$용출법 순이었으며, Cr과 Fe의 경우 연속추출 3단계까지 합》0.1N 유지용출법>용출법 순이었으며 연속추출 2단계 까지 합은 Cr의 경우 0.1N 유지용출법의 추출량보다 낮았고 용출법의 추출량보다 높았다. Cu의 경우 연속추출 4단계까지의 합$\geq$0.1N 유지용출법>3단계까지의 합 용출법으로 나타났다. 0.1N유지위해 첨가된 염산의 양이 증가할수록, 즉 시료내의 산에 대한 완충능력이 증가할수록 HPE/HPEM 값이 감소하며, 완충능력이 큰 시료의 경우 모든 원소에서 HPE/HPEM이 0.2보다 낮다. 완충능력이 낮은 시료의 경우 Zn, Cd, Mn, Cu는 연속추출 1,2단계의 합과 연속추출 3단계의 중금속 추출함량간의 차이가 적고, 다른 원소에 비해서 상대적인 유동도가 높기 때문에 HPE/HPEM이 대채적으로 0.2보다 높으며 0.6이상의 값을 갖는 시료가 많다. 그러나, Fe, Cr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Zn, Cd, Mn, Cu에 비해 유동도가 낮고, 연속추출 3단계의 함량이 1+2단계의 함량과 차이가 커 완충능력이 낮은 시료의 HPE/HPEM값도 전반적으로 0.2보다 낮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국내 토양오염 공정시험방법상의 전처리 방법인 용출법이 장래에 장기적으로 산성비와 같은 환경피해에 노출되어 토양의 완충능력이 감소하거나 상실될 수 있는 지역의 오염평가에 적합치 않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담수조건에 따른 토양 내 중금속 용출특성과 안정화공법의 효과 검토 (An Investigation on the Effect of Stabilization Methods and Leaching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in Paddy Soils contaminated by Heavy Metal under Submerged Condition)

  • 유찬;윤성욱;강신일;진혜근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1201-1212
    • /
    • 2010
  • In order to investigate on the effect of stabilization methods for rice paddies contaminated by heavy metals, a series of lab-scale model test was carried out by applying the characteristics of submerged Paddy soil. To perform the lab-scale model test, columns were made by acrylic with the dimension of diameter=10cm, thickness=0.5cm and were filled with soils which was contaminated were mixed with stabilization agents(lime stone 5% and steel refining slag 5% respectively). To manipulate the reduction condition, soils in the columns were submerged with distilled water. And then soil water and subsurface water in each column were sampled in the regular term and analysed the various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 PDF

제주 화산회토양의 중금속 연속추출 특성 및 작물 흡수에 미치는 영향 (Sequential Extraction of Trace Elements and Uptake by Pakchoi from Volcanic Soils in Jeju Island)

  • 임한철;문경환;전승종;박원표;현해남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65-69
    • /
    • 2009
  • 이 시험은 제주도 화산회토양을 이용하여 Ni, Cu, Zn의 토양중 존재형태를 알아보고 토양 중금속이 청경채의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토양 중 함량을 연속추출법에 의해 알아본 결과 토양 종류마다 각 중금속의 존재형태가 차이가 있었고, 이를 이용하여 토양 종류를 구분할 수 있었다. 중금속 함량이 다른 토양을 이용하여 청경채를 재배했을 경우 Zn, Cu는 뿌리에서 흡수되어 지상부로 이동되었으나 Ni은 지상부에서 거의 검출이 되지 않아 청경채 내에서 미량원소의 이동성이 달랐다. 그러나 토양 중 함량과 청경채의 함량 간에는 치환성 Zn을 제외하고는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특히 Ni은 식물체 내에서 이동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토양 중 함량과 상관관계를 내기도 어렵기 때문에 전함량이나 치환성함량 등 지금까지의 방법에 의한 토양 중 함량으로 식물체의 함량을 추정하기에는 매우 어렵다고 판단되므로 새로운 접근방법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인체의 중금속 흡수에 의한 위해성 평가와 관련해서는 토양 식물체, 식물체 인체 두 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각 단계에서 불확실성이 존재하므로 중금속의 기준을 토양 및 식물체 별로 각각 마련하는 것보다는 식물체내 농도만으로 정하는 것도 한가지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패턴 인식문제를 위한 유전자 알고리즘 기반 특징 선택 방법 개발 (Genetic Algorithm Based Feature Selection Method Development for Pattern Recognition)

  • 박창현;김호덕;양현창;심귀보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466-471
    • /
    • 2006
  • 패턴 인식 문제에서 중요한 전처리 과정 중 하나는 특정을 선택하거나 추출하는 부분이다. 특정을 추출하는 방법으로는 PCA가 보통 사용되고 특정을 선택하는 방법으로는 SFS 나 SBS 등의 방법들이 자주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은 진화 연산 방법으로써 비선형 최적화 문제에서 유용하게 사용되어 지고 있는 유전자 알고리즘을 특정 선택에 적용하는 유전자 알고리즘 특정 선택 (Genetic Algorithm Feature Selection: GAFS)방법을 개발하여 다른 특징 선택 알고리즘과의 비교를 통해 본 알고리즘의 성능을 관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