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oul TMA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2초

Mass spectrometer 기반의 전자코를 이용한 트리메틸아민과 쌀뜨물간의 결합 분석 (Analysis of Binding Trimethylamine with Rice-washed Solution using Electronic Nose Based on Mass Spectrometer)

  • 홍은정;손희진;강진희;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509-514
    • /
    • 2009
  • 생선 등에서 비린내 성분중 하나인 트리메틸아민을 이취 유발 물질로 하여 6% 쌀뜨물을 기준으로 아밀로오스, 전분, ${\alpha}$-cyclodextrin 등과 이취 제거효과를 전자코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해보았다. 쌀뜨물과 이취물질의 반응시간이 길수록 그만큼 결합이 많이 이루어져 이취 저감화 효과가 크게 나타났으며 쌀뜨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반응할 수 있는 전분의 양이 많아 그만큼 이취가 적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쌀뜨물이 아닌 다른 탄수화물 용액과의 반응에서 6% 쌀뜨물과 전분의 효과는 비슷하였으며 ${\alpha}$-cyclodextrin은 농도가 10배 정도 낮음에도 불구하고 비슷한 경향을 보여 그만큼 이취 저감화 효과가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밀가루는 단백질의 함량이 높아 다른 물질들에 비해 결합정도가 낮을 거라 예상되며 쌀뜨물의 이취 저감화 효과는 아밀로오스뿐 아니라 아밀로펙틴의 영향도 받는 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예상되는 바이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향후 신제품 개발이나 품질 관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이취 제거 성분들은 전통식품 같이 첨가물이나 가공품을 많이 첨가하기가 어려운 시료에서의 활용이 높을 것으로 기대되는 바이다.

ADS-B 데이터를 이용한 서울 TMA에서의 DAA Well Clear 기반 위험도 분석 (Risk Analysis of Aircraft Operations in Seoul TMA Based on DAA Well Clear Metrics using Recorded ADS-B Data)

  • 이학태;이현웅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527-532
    • /
    • 2020
  • 인천국제공항과 김포국제공항을 포함하는 서울 접근 관제 구역은 하루 1,000여 대의 항공기가 운용되어 혼잡할 뿐만 아니라 북쪽으로 공역이 제한되어있기 때문에, 항공기 간의 적절한 분리 유지를 통한 안전관리가 까다롭고 관제사의 업무 부하가 높은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3년간의 ADS-B (automatic dependent surveillance-broadcast) 항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관제사의 벡터링이 추가되지 않은 원래 비행계획 상의 항로와 절차를 예측하고, 이를 이용하여 서울 접근 관제 구역 내 항공기 운용의 구조적인 안전도를 분석하였다. 안전 지표로서는 대형 무인항공기의 탐지 및 회피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해 개발된 DWC (detect and avoid well clear) 지표가 사용되었으며, 이를 통하여 가장 위험도가 높은 지역들을 판별하였다. 활주로 방향에 무관하게 인천국제공항의 서쪽 지역을 사용하는 이/착륙 절차 주변이 가장 위험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외에 도착 절차들의 합류 지점과 출/도착 절차들의 교차 지점이 상대적으로 위험도가 높게 나타났다.

물을 흡수매체로 이용한 트리메틸아민과 환원황화합물의 제거효율 비교 연구 (Removal Efficiency of Some Odorants against Water as Sorptive Media: A Case Study on Trimethylamine and Reduced Sulfur Compounds)

  • 안지원;김기현;옥준석;김용현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512-522
    • /
    • 2009
  • In this study, the removal efficiency of trimethylamine (TMA) and four reduced sulfur compounds (RSC) of $H_2S$, $CH_3SH$, DMS, and DMDS was investigated using deionized water as absorbent. To this end, two types of experiments were conducted which include: (1) by passing both RSC and TMA standard gases through water contained in an impinger system and (2) by passing TMA gases through a water spray system. In the former method, TMA standard gases were effectively removed (below detection limit) in all experiments. Likewise, minor fractions of some RSC ($CH_3SH$, DMS, and DMDS) were removed by water in line with theoretical expectations. In addition, the first type of our experiment was extended further to test some commercially available odor treatment products. The results of this test showed that removal efficiencies of RSC $(8.2\pm13.7\sim43.7\pm2.48%)$ were different significantly among 4 kinds of absorbent, while the removal of TMA was consistently good as water. In the second phase of experiment, removal efficiency of TMA was tested by passing its standard gas through a water spray system. The overall results of our study showed that the actual removal efficiency of odorants by water (as sorptive media) approached the values that can be predicted theoretically (by Henry's law).

향신료(香辛料)에 의한 생선 비린내 억제효과(抑制?果)에 관(關)한 연구(硏究) - 식초 및 생강의 효과(?果)에 관(關)하여 - (A Study on the Suppressing Effects of Spicies for Fishy Odor - The Effect of Vinegar and Ginger -)

  • 이숙영;이혜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26-130
    • /
    • 1979
  • 향신료 중(中) 식초와 생강의 생선 비린내 억제효과에 관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였으며, gas chromatography에 의해 TMA량(量)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관능검사의 결과, 식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생선 비린내는 점점 감소되었으나, 고등어 100g당(當) 식초를 16m1이상 첨가했을 때는 신맛이 강하게 느껴졌으며 Texture가 단단해져서 질(質)이 저하되었다. 고등어 100g당(當) 식초 6ml를 첨가한 것은 비린내를 싫어하는 사람에 있어서 좋은 점수를 보여 주었다. 2. 고등어 100g 중(中)에는 $0.4{\sim}0.7{\;}mg$의 TMA이 함유되어 있었다. 3. gas chromatography로 분석해 본 결과(結果), 식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TMA량(量)은 감소되는 경향이 보여졌다. 4. 생강의 phenolic fraction과 TMA과를 4시간(時間) 동안 반응시켰을 때 TMA량(量)은 67.5%로 감소되었다.

  • PDF

유기산에 의한 조개젓 비린내 억제효과에 관한 연구 (Effect of Organic Acids on Suppression of Fishy Odor in Salted Clam Pickle)

  • 이영은;이혜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10
    • /
    • 1982
  • 유기산에 의한 조개녹젓(염분 15.5%)의 비린내 억제효과를 연구하기 위하여 비린내의 변화와 트리메틸아민(TMA)의 잔존량을 관능검사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1. 관능검사 결과 식초 첨가량을 조개녹젓 100g당 0,2,5,8 및 10 ml 순으로 증가시킴에 따라 비린내 억제효과가 있었으며$({\alpha}=0.01)$, 저장기간과 산의 종류(acetic, malic 및 citric acid)의 변화에 대해서는 비린내를 느끼는 정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조개녹젓 100g당 식초가 8 ml 첨가되었을 때 overall acceptability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2.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 아세트산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경과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또한 산의 종류를 아세트산, 말산 및 시트르산 순으로 변화시킴에 따라 TMA잔존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4\;{\mu}l/ml$ 아세트산(8 ml vinegar/100g clam pickle)를 첨가하였을 때에는 반응시간을 충분히 주어도 TMA잔존율이 95% 정도로 거의 변화가 없었다. 3. 관능검사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분석결과로부터 산은 TMA와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불휘발성 염을 생성하여 억제효과를 가진다는 것과 평상시 사용하는 농도에서 유기산의 비린내 억제효과는 주로 가리움 효과에 기인한다는 것을 추정하였다.

  • PDF

무인선의 비전기반 장애물 충돌 위험도 평가 (Vision-Based Obstacle Collision Risk Estimation of an Unmanned Surface Vehicle)

  • 우주현;김낙완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1089-1099
    • /
    • 2015
  • This paper proposes vision-based collision risk estimation method for an unmanned surface vehicle. A robust image-processing algorithm is suggested to detect target obstacles from the vision sensor. Vision-based Target Motion Analysis (TMA) was performed to transform visual information to target motion information. In vision-based TMA, a camera model and optical flow are adopted. Collision risk was calculated by using a fuzzy estimator that uses target motion information and vision information as input variables. To validate the suggested collision risk estimation method, an unmanned surface vehicle experiment was performed.

뒤꿈치 통증이 있는 족부의 방사선학적 분석 (A Radiographic Analysis of the Feet in Heel Pain)

  • 문형태;문정석;이우천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9-12
    • /
    • 2005
  • Purpose: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medial longitudinal arch between heel pain group and normal painless group. Materials and Methods: Heel pain group 242 feet and normal group 140 feet were evaluated through the radiographic images of standing foot-ankle lateral view. Four radiographic indices, talo-1stmetatarsal angle (TMA), calcaneal-1st metatarsal angle (CMA), calcaneal pitch angle (CPA), and arch ratio (AR), were used as well as BMI. Result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heel pain group and normal group in the TMA, CMA, CPA, and AR. But in the BMI, heel pain group showed $1.7\;kg/m^2$ (p=0.0002) higher than normal group. To eliminate the sexual error, male and female were evaluated separately. Male heel pain group showed 2.9 degrees more dorsiflexion (p=0.001) in the TMA, 3.1 degrees greater (p=0.007) in the CMA, 0.01 lower (p=0.028) in the AR, and $1.0\;kg/m^2$ greater (p=0.033) in the BMI than normal male group. There were no difference in the CPA. Female heel pain group showed 3.6 degree greater (p=0.035) in the CMA, and $1.9\;kg/m^2$ greater (p=0.002) in the BMI than normal female group. But other indices demonstrated no differences. Conclusion: talo-$1^{st}$ metatarsal angle, calcaneal-$1^{st}$ metatarsal angle and arch ratio were radiographic indices related with heel pain.

  • PDF

고상(固相) 미세 추출법에 의한 축산 관리시설에서 발생하는 악취성 가스 화합물의 정량적 평가 (Quantification of Odorants from Animal Husbandry using Solid-phase Microextraction)

  • 김재혁;최홍림;권소영;임홍래;;;박철휘;김현욱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58-164
    • /
    • 2006
  • 축산 관리시설로부터 발생하는 악취와 이를 저감하려는 연구들이 국내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축산 관리시설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주요 악취 기인 화합물 및 이들의 발생 메커니즘이 규명되어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 정확하고 객관적인 악취 화합물의 분석 기술이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상(固想) 미세추출법(SPME; Solid-phase microextraction)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대상 화합물을 흡착하고, GC/MSD 혹은 GC/FID를 이용하여 정량 분석하여 화합물의 손실을 최소화 하는 분석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의 대상 악취 화합물은 trimethylamine(TMA), carbon disulfide($CS_2$), dimethyl sulfide(DMS), dimethyl disulfide(DMDS), acetic acid(AA), propionic arid(PA) 그리고 n-butyric acid(BA)이다. SPME-GC 검정곡선의 직선성을 나타내는 결과로 TMA의 결정계수($R^2$)는 0.984(0.056-1.437), $CS_2$는 0.996(0.039-0.999), DMS는 0.994(0.029-0.756), DMDS는 0.995(0.024-0.623), AA는 0.992(0.068-1.314), PA는 0.955(0.047-0.940), 그리고 BA는 0.976(0.036-0.712)이었다. 분석 검출한계는 AA, PA, BA, TMA, DMS, $CS_2$, DMDS에 대하여 각각 5.67, 6.39, 5.78, 25.2, 0.098, 0.363, 0.099 ppbv이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을 이용하여 계사, 돈사 및 우사에서 발생하는 악취화합물을 정량 분석하였다. 계사 내부에서 DMDS를 제외한 모든 화합물이 검출이 되었는데, 문헌에서 보고된 human odor threshold를 초과하였다.

자외선 처리가 반염건 고등어 필레의 냉장저장중 품질변화에 미치는 영향 (Quality changes of salted and semi-dried mackerel fillets by UV treatment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송효남;이대규;한성욱;윤혜경;황인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62-668
    • /
    • 2005
  • To investigate the quality retention method of salted and semi-dried mackerel fillets, pH, volatile basic nitrogen (VBN), trimethylamine (TMA) and total bacterial counts in the fillets that were UV treated for 1, 3, and 4 hr were periodically measured during 48 days of refrigerated storage. The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lipid, and ash contents were 45.46 %, 18.87 %, 33.75 %, and 2.99 %, respectively. The freshness as determined by pH measurement could be maintained up to 25 days for the control and 31 days for the UV-treated fillets. VBN contents were continually increased over the storage time. The control reached the initial putrid level after 21 days while the UV-treated fillets after $25{\sim}31$ days. A similar tendency was shown for the changes of trimethylamine TMA contents, although the period differed slightly and the increase of the UV treatment time could decrease the TMA contents. The changes on the total bacterial counts of the fillets were maintained under 105 CFU/g during 48days. Especially, due to the effective decrease of the microorganism count by UV treatment at the beginning of the storage, UV -treated fillets showed lower bacterial counts than control over the whole period. E. coli. and Listeria were not detected in any fillets. Combining the above data and the sensory changes, the storage period of the fillets could be prolonged from 15 days at present to 30 days by UV treatments.

Relationships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Gait-Related Dual-Task Interference After Stroke

  • Kim, Jeong-Soo;Jeon, Hye-Seon;Jeong, Yeon-Gyu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80-88
    • /
    • 2014
  •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decreased cognitive ability has been consistently associated with significant declines in performance of one or both tasks under a dual-task walking con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ific cognitive abilities and the dual-task costs (DTCs) of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in stroke patients. The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were measured among 30 stroke patients while walking with and without a cognitive task (Stroop Word-Color Task) at the study participant's preferred walking speed. Cognitive abilities were measured using Computerized Neuropsychological Test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r) were calculated to quantify the associations between the neuropsychological measures and the DTCs in the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Moderate to strong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Auditory Continuous Performance test (ACPT) and the DTCs of the Single Support Time of Non-paretic (r=.37), the Trail Making A (TMA) test and the DTCs of Velocity (r=.71), TMA test and the DTCs of the Step Length of Paretic (r=.37), TMA test and the DTCs of the Step Length Non-paretic (r=.36), the Trail Making B (TMB) test and the DTCs of Velocity (r=.70), the Stroop Word-Color test and the DTCs of Velocity (r=-.40), Visual-span Backward (V-span B) test and the DTCs of Velocity (r=-.41), V-span B test and the DTCs of the Double Support Time of Non-paretic (r=.38), Digit-span Forward test and the DTCs of the Step Time of Non-paretic (r=-.39), and Digit-span Backward test and the DTCs of the Single Support Time of Paretic (r=.36). Especially TMA test and TMB test were found to be more strongly correlated to the DTCs of gait velocity than the other correlations. Understanding these cognitive features will provide guidance for identifying dual- task walking 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