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onyu-do Island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2초

서해 근소만-선유도 갯벌 퇴적층의 지온변화에 관한 연구 (Soil Temperature Variations in Intertidal Sediments in Geunso Bay and Seonyu Island, West Coast of Korea)

  • 송규민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5권4호
    • /
    • pp.281-290
    • /
    • 2013
  • The vertical structure of sediment temperatures in the tidal flats of Geunso Bay and Seonyu Island in western Korea were measured for more than a year and analyzed. Mean temperature decreased with depth in spring and summer. On the contrary, it increased with depth in fall and winter, faithfully reflecting the seasonal variation resulting from the heating and cooling of the surface sediment. The surface sediment temperatures are shown to be strongly dependent on solar radiation, M2, and M4 tidal components. They are also weakly affected by precipitation. Thermal diffusivity of sediment is estimated at each depth and in each of the four seasons by applying the amplitude equation method. In Geunso Bay, the estimated seasonal-mean values decreased with depth, while they showed little change in Seonyu Island. Depth-averaged thermal diffusivity in Geunso Bay ($1.94 {\times}10^{-7}m^2/s$) was smaller than Seonyu Island ($2.20 {\times}10^{-7}m^2/s$). The variability of thermal diffusivity is shown to corelate with sediment composition and sorting from the grain-size analysis of intertidal sediments in Geunso Bay and Seonyu-do.

서해 고군산군도 선유도의 조간대 어류상 (Ichthyofauna at the Intertidal Zone in Seonyu-do Island, Gogunsan Islands, West Sea of Korea)

  • 신유신;김재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64-173
    • /
    • 2024
  • 고군산군도 선유도의 조간대에 서식하는 어류의 종 조성을 확인하기 위해 2022년 3월부터 10월까지 선유도 조간대 3개 정점에서 어류를 채집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총 9목 19과 45종 2,707개체의 어류가 채집되었고, 우점종은 533개체가 채집된 주둥치, 아우점종은 436개체가 채집된 날개망둑으로 확인되었다. 목 수준의 분류군별로는 농어목이 67.6%로 큰 비율을 차지하였고 쏨뱅이목이 18.5%의 비율을 보였다. 과 수준의 분류군별로는 망둑어과 13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양볼락과와 장갱이과가 각각 4종이었다. 또한 본 조사에서 남해 및 동해남부에 주로 서식하는 왜망둑속 어종이 서해에서 처음 확인되었으며, 두줄베도라치도 2개체 채집되었다.

고군산군도 지역의 신원생대 및 백악기 지구조 진화과정과 중요 지질유산 (The Neoproterozoic and Cretaceous Tectonic Evolution and Important Geoheritages in the Gogunsan Archipelago)

  • 오창환;김원정;이승환;이보영;김진석;최승현
    • 암석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51-277
    • /
    • 2019
  • 고군산군도는 신원생대 암석으로 이루어진 말도-명도-광대도-방축도와 백악기 암석으로 이루어진 야미도-신시도-무녀도-장자도-선유도로 구성되어 있다. 말도-명도-광대도-방축도는 930-890 Ma 경에 화산호 환경에 형성된 염기성화성암과 산성화성암에 의해 관입된 하부 방축도층과 825-800 Ma 경에 퇴적된 상부 방축도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섬들에는 동서 방향의 습곡축을 갖는 대규모의 습곡구조가 아름답게 형성되어 있고 그중 말도의 습곡구조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으며 광대도에는 대규모의 아름다운 셰브론 습곡이 발달하여 장관을 이루고 있다. 이 외에도 염기성화성암과 산성화성암이 동시에 관입하여 만든 특이한 얼룩말 무늬 바위와 해안 침식에 의해 형성된 독립문 형태를 보이는 기암이 나타난다. 이에 반해 야미도-신시도-무녀도-장자도-선유도는 주로 92-91 Ma 경에 형성된 백악기 화산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시도에는 92 Ma 경에 퇴적된 난산층이 나타난다. 이들 화산암들은 섭입하는 해양판의 후퇴가 야기한 인장력에 의해 상승한 맨틀이 공급한 열에 의해 대륙지각이 용융되어 형성되었다. 야미도와 신시도는 유문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야미도에는 여러 번에 걸친 용암 분출 시 용암 하부가 냉각되어 형성된 띠 형태의 수직 절리대가 나타나며 신시도에는 분출된 용암이 흐르면서 식어서 형성된 대규모 수직 절리대가 발달되어 있다. 그리고 장자도의 대장봉과 선유도의 망주봉은 유문각력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환형의 군도를 형성함으로써 자연 항구 조건을 제공하여 이곳의 해양문화가 발달하는데 큰 공헌을 하였고 다른 섬들과 함께 선유 8경을 포함한 아름다운 전경을 제공하고 있다. 고군산군도는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많은 가치 있는 지질유산과 함께 그에 연관된 문화, 역사자료를 풍부하게 보유하고 있어 국가지질공원으로 충분한 가치가 있다.

Vascular plant diversity of the Gogunsan Archipelago in the Korean Peninsula

  • Kim, Jung-Hyun;An, Ji-Hong;Nam, Gi-Heum;Park, Hwan-Joon;Kim, Jin-Seok;Lee, Byoung Yoon;Lee, Kyeong-Ui;Chang, Yeon-Soon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8권1호
    • /
    • pp.136-159
    • /
    • 201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of six islands belonging to the Gogunsan Archipelago (i.e., Sinsi-do, Seonyu-do, Munyeo-do, Yami-do, Bian-do, and Duri-do) in the Korean Peninsula. As results of five field surveys from March to October of 2016, we have identified 575 total taxa, representing 527 species, five subspecies, 42 varieties, and one hybrid, placed in 358 genera and 118 families. Of these 575 taxa, four are endemic to Korea, six taxa are listed on the Korea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67 ar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and 74 are invasive alien species. In this study, we compared species richness among the islands, and find that the larger the islands, the higher the species richness. In the case of habitat affinity types, forest species were most common, followed by farmland, seacoast, bare ground and wetland species. From similarity analyses based on the composition of vascular plants, each island did not exhibit either local specificity or unique diversity. On the contrary, the proportion of invasive alien and ruderal species may increase by human activities. Investigations and analyses of island flora such as this are important to assess the current status of the flora, predict future vegetation patterns and the spread of the alien species, and establish managment plans of plant d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