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tence rejection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7초

음소기반 인식 네트워크에서의 비인식 대상 문장 거부 기능의 비교 연구 (Comparison Research of Non-Target Sentence Rejection on Phoneme-Based Recognition Networks)

  • 김형태;하진영
    • 대한음성학회지:말소리
    • /
    • 제59호
    • /
    • pp.27-51
    • /
    • 2006
  • For speech recognition systems, rejection function as well as decoding function is necessary to improve the reliability.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 efforts on out-of-vocabulary word rejection, however,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on non-target sentence rejection. Recently pronunciation approaches using speech recognition increase the need for non-target sentence rejection to provide more accurate and robust results. In this paper, we proposed filler model method and word/phoneme detection ratio method to implement non-target sentence rejection system. We made performance evaluation of filler model along to word-level, phoneme-level, and sentence-level filler models respectively. We also perform the similar experiment using word-level and phoneme-level word/phoneme detection ratio method.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the minimized average of FAR and FRR is used for comparing the effectiveness of each method along with the number of words of given sentences.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we got to know that word-level method outperforms the other methods, and word-level filler mode shows slightly better results than that of word detection ratio method.

  • PDF

음소기반 인식 네트워크에서의 단어 검출률을 이용한 문장거부 (Sentence Rejection using Word Spotting Ratio in the Phoneme-based Recognition Network)

  • 김형태;하진영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99-102
    • /
    • 2005
  • Research efforts have been made for out-of-vocabulary word rejection to improve the confidence of speech recognition systems. However,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non-recognition sentence rejection. According to the appearance of pronunciation correction systems using speech recognition technology, it is needed to reject non-recognition sentences to provide users with more accurate and robust results. In this paper, we introduce standard phoneme based sentence rejection system with no need of special filler models. Instead we used word spotting ratio to determine whether input sentences would be accepted or rejecte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we can achieve comparable performance using only standard phoneme based recognition network in terms of the average of FRR and FAR.

  • PDF

Sentence BERT를 이용한 내용 기반 국문 저널추천 시스템 (Content-based Korean journal recommendation system using Sentence BERT)

  • 김용우;김대영;서현희;김영민
    • 지능정보연구
    • /
    • 제29권3호
    • /
    • pp.37-55
    • /
    • 2023
  • 전자저널의 발전과 다양한 융복합 연구들이 생겨나면서 연구를 게시할 저널의 선택은 신진 연구자들은 물론 기존 연구자들에게도 새로운 문제로 떠올랐다. 논문의 수준이 높더라도 논문의 주제와 저널 범위의 불일치로 인해 게재가 거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자의 저널 선정을 돕기 위한 연구는 영문 저널을 대상으로는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한국어 저널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그렇지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저널을 대상으로 투고할 저널을 추천하는 시스템을 제시한다. 첫 번째 단계는 과거 저널에 게재된 논문들의 초록을 SBERT (Sentence-BERT)를 이용하여 문서 단위로 임베딩하고 새로운 문서와 기존 게재논문의 유사도를 비교하여 저널을 추천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초록의 유사도 여부, 키워드 일치 여부, 제목 유사성을 고려하여 추천할 저널의 순서가 결정되고, 저널별로 구축된 단어 사전을 이용하여 선순위 추천 저널과 유사한 저널을 찾아 추천 리스트에 추가하여 추천 다양성을 높인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축된 추천 시스템을 평가한 결과 Top-10 정확도 76.6% 수준으로 평가되었으며, 추천 결과에 대한 사용자의 평가를 요청하고 추천 결과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안된 프레임워크의 각 단계가 추천 정확도를 높이는 데에 도움이 된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았던 국문 학술지 추천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으며, 제안된 기능을 문서와 저널 보유상태에 따라 변경하여 손쉽게 서비스에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무적인 의의를 가진다.

비인식 대상 문장 거부 기능을 위한 음소 기반 인식 네트워크의 구성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Recognition Network Structures for Non-recognition Sentence Rejection)

  • 이병혁;하진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 (2)
    • /
    • pp.772-774
    • /
    • 2004
  • 음성인식 시스템에서 입력된 음성 데이터에 대해 비인식 대상에 대한 거부기능은 신뢰도 보장 측면에서 상당히 중요하다. 비인식 대상의 단어 거부는 지금까지 여러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문장 거부에 대한 연구는 사실상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비인식 대상 문장 거부기능의 신뢰도를 한층 높일 수 있도록 음소 기반 네트워크에 유성자음(VC), 무성자음(C), 모음(V) 단위의 필러 음향 모델을 생성하여 다양한 음소기반 인식 네트워크의 구성방법을 적용하여 비인식 대상 문장에 대해 거부 기능을 구현하고, 그에 따라 인식률과 거부율이 달라질 수 있음을 보인다. 구현된 시스템에서 제안한 3가지 음소단위 인식 네트워크 중 문장의 각 단어별 필러 모델을 구성했을 때가 가장 좋은 구성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문장 거부를 위한 음소기반 인식 네트워크에서의 필러 모델 비율과 단어 검출률의 성능비교 (Performance Comparison of Filler Models and Word Spotting Ratio for Sentence Rejection in Phoneme-based Recognition Networks)

  • 김형태;이병혁;하진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5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2 No.1 (B)
    • /
    • pp.856-858
    • /
    • 2005
  • 음성인식 시스템에서 입력된 음성 데이터에 대해 비인식 대상을 거부하는 기능은 신뢰도 보장 측면에 있어서 상당히 중요하며,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단순한 인식기능 외에 부적절한 입력 패턴의 거부 기능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신뢰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음소기반 인식 네트워크에서 필러 모델 방법과 단어 검출률 방법을 사용하여 실험하였고, 문장의 단어 수에 따른 두 방법의 문장 거부 성능을 FAR과 FRR의 평균을 최소화 하는 값을 각각 구함으로써 비교${\cdot}$분석 하였다. 그 결과 필러모델 방법이 좀 더 나은 거부 성능을 보였고, 단어 검출률을 이용하는 방법이 인식 네트워크를 전부 거치지 않아도 되므로 실행속도와 메모리 절약에서 효과적이었다.

  • PDF

소음문장 제거를 위한 음소지속시간 사용 (The Usage of Phoneme Duration Information for Rejecting Garbage Sentences)

  • 구명완;김호경;박성준;김재인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2003년도 5월 학술대회지
    • /
    • pp.219-222
    • /
    • 2003
  • In this paper, we study the usage of phoneme duration information for rejection garbage sentence. First, we build a phoneme duration modeling in a speech recognition system based on dicicion tree state tying, We assume that phone duration has a Gamma distribution. Next, we build a verification module in which word-level confidence measure is used. Finally, we make a comparative study on phoneme duration with speech DB obtained from the live system. This DB consistes of OOT(out-of-task) and ING(in-grammar) utterences. the usage of phone duration information yields that OOT recognition rate is improved by 46% and that another 8.4% error rate is reduced when combined with utterence verification module.

  • PDF

소렌센의 더미와 '모호함'의 모호함 (Sorensen's Sorites and the Vagueness of 'Vague')

  • 이진희
    • 논리연구
    • /
    • 제13권2호
    • /
    • pp.117-134
    • /
    • 2010
  • '모호함'의 모호성을 정당화하는 소렌센의 논증은, '모호함'에 대한 직관적 이해를 체계적으로 정당화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필자는 이러한 소렌센의 논증이 성립하지 않음을 보이고자 한다. 소렌센의 논증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비판은, 'n-작음'이라는 용어에 기초하는 그의 논증은 '모호함'의 모호함이 아니라 '작음'의 모호함을 입증할 뿐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비판에 근거한 디즈와 헐의 논의는, 소렌센의 더미를 구성하는 "'n-작음'은 모호하다."의 주어는 언급된 정확한 용어라는 바르찌의 주장에 의해 반박된다. 그러나 필자는 "'n-작음'은 모호하다."의 진리값 결정에 술어 '모호함'이 아무런 역할을 수행하지 못함을 보임으로써 바르찌의 주장을 반박하고, 소렌센의 논증으로부터 정당화되는 것은 '작음'의 모호성뿐임을 보이고자 한다. 물론 필자 역시 '모호함'이 모호하다는 것에는 동의한다. 본 논문을 통해 필자가 주장하는 것은 이러한 '모호함'의 특징에 대한 소렌센의 정당화가 성립하지 않는다는 것뿐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