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sory modulation dysfunction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6초

감각통합치료를 통한 적응반응의 변화 : 사례보고 (A Study on the Change of Adaptive Response Through the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 Case Study)

  • 김은영;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63-69
    • /
    • 2008
  • 서론: 본 연구는 감각통합장애(감각조절장애와 실행장애의 혼합) 아동의 사례보고를 통해 아동의 내적동기를 유발하기 위한 감각통합 치료의 방향설정 과정을 살펴보고 적응반응의 변화에 대해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론: 연구대상은 2008년 감각통합치료과정의 단기집중 프로그램에 참여한 만 5세 10개월 된 남아이다. 아동의 평가결과에 기초하여 연구목표, 치료계획 및 내용을 제시하였고 4 세션 치료기간 동안의 적응반응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론: 본 연구결과, 감각통합치료를 통한 적응반응의 향상을 볼 수 있었고 아동의 내적동기 유발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향후에는 감각통합치료를 통한 치료효과를 보다 객관적으로 제시하고 일상에서의 변화를 함께 고려해야 할 것이다.

  • PDF

7~9세 아동의 단축감각력 발달적 기준에 관한 일연구 (Study on the Developmental Standard of Short Sensory Profile: Application to Korean Children Aged Seven to Nine Years Old)

  • 김미선;지석연;금효진;김성희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7-46
    • /
    • 2009
  • 목적: 감각조절장애는 감각처리의 문제로 나타날 수 있는 하나의 증상군이다. 이러한 문제를 평가하기 위해 많은 도구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Short Sensory Profile은 감각조절의 어려움을 선별하는 평가도구로 만 3세에서 10세 아동에게 사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Short Sensory Profile을 번안한 단축감각력의 국내 표준화를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7~9세 정상발달아동을 대상으로 성별, 연령간의 차이와 미국의 표준점수와의 비교 및 단축감각력 문항의 점수별 응답 비율을 조사하여 검사도구 문항으로 적합한지 그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단축감각력을 사용하여 남학생81명, 여학생 74명을 조사하였다. 결과: 1. 7~9세아동 단축감각력의 성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2. 7~9세아동 단축감각력의 연령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3. 평균과 1SD범위를 미국의 Short Sensory Profile 표준점수기준의 정상범주와 비교하였을 때, 하부영역과 총점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4. 단축감각력 각 문항별 응답비율을 분석해 보았을 때 일반아동에게 50% 이상 나타나는 항목이 6문항이었다. 결론: 7~9세아동 단축감각력의 성별, 연령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이는 이 연령집단의 아동들에게 같은 분류기준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평균과 1SD범위를 미국의 Short Sensory Profile 표준점수 기준과 비교하였을 때, 하부영역과 총점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였고 각 문항의 비율에서 일반아동에게도 흔히 나타나는 항목이 6개 있었다. 따라서 단축감각력에 대한 문항분석과 만 3~10세 전 연령을 포함한 국내 표준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PDF

감각통합기능장애 아동에게 적용한 단기집중치료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iveness of the Short-term Intensive Intervention Program: Case Report)

  • 최현애;강은아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5-33
    • /
    • 2008
  • 서론: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주최 2008년 치료과정에 참여한 감각통합기능장애 아동의 적응반응의 변화를 통하여 단기집중 치료프로그램의 효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아동의 평가결과를 기초로 개별 치료를 실시하였고, 각 치료회기에서 보인 아동의 적응반응에 따라 회기별 목표와 활동계획을 수정하여 다음 회기에 적용하였다. 또한 가정연계 프로그램을 고안하여 부모교육을 실시하였다. 결과: 치료회기 동안 아동은 자세조절 능력이 향상되었고, 구강방어증상이 완화되었으며 또래와의 상호작용면에서 적응반응의 향상을 보였다. 결론: 좀 더 효과적인 치료향상을 위하여 집중감각통합치료와 가정연계 프로그램이 지속되어야할 것이다. 또한 부모가 치료 과정에서 나타나는 아동 행동양상의 변화를 이해하고, 아동이 감각통합 발달단계에 맞춰 적절한 감각활동을 탐색하는 것을 돕기 위한 지속적인 부모 교육이 필요하다.

  • PDF

The role of basolateral amygdala orexin 1 receptors on the modulation of pain and psychosocial deficits in nitroglycerin-induced migraine model in adult male rats

  • Askari-Zahabi, Khadijeh;Abbasnejad, Mehdi;Kooshki, Razieh;Raoof, Maryam;Esmaeili-Mahani, Saeed;Pourrahimi, Ali Mohammad;Zamyad, Mahnaz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35권1호
    • /
    • pp.22-32
    • /
    • 2022
  • Background: Migraine headaches have been associated with sensory hyperactivity and anomalies in social/emotional responses.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otential involvement of orexin 1 receptors (Orx1R) within the basolateral amygdala (BLA) in the modulation of pain and psychosocial dysfunction in a nitroglycerin (NTG)-induced rat model of migraine. Methods: Adult male Wistar rats were injected with NTG (5 mg/kg, intraperitoneal) every second day over nine days to induce migraine. The experiments were done in the following six groups (6 rats per group): untreated control, NTG, NTG plus vehicle, and NTG groups that were post-treated with intra-BLA microinjection of Orx1R antagonist SB-334867 (10, 20, and 40 nM). Thermal hyperalgesia was assessed using the hot plate and tail-flick tests. Moreover, the elevated plus maze (EPM) and open field (OF) tests were used to assess anxiety-like behaviors. The animals' sociability was evaluated using the three-chamber social task. The NTG-induced photophobia was assessed using a light-dark box. Results: We observed no change in NTG-induced thermal hyperalgesia following administration of SB-334867 (10, 20, and 40 nM). However, SB-334867 (20 and 40 nM) aggravated the NTG-induced anxiogenic responses in both the EPM and OF tasks. The NTG-induced social impairment was overpowered by SB-334867 at all doses. Time spent in the dark chamber of light-dark box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rats treated with SB-334867 (20 and 40 nM/rat). Conclusions: The findings suggest a role for Orx1R within the BLA in control comorbid affective complaints with migraine in rats.

Effects of Intra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Using Inversely Placed Electrodes on Myofascial Pain Syndrome in the Shoulder - A Case Series

  • Shanmugam, Sukumar;Mathias, Lawrence;Thakur, Ajay;Kumar, Dhanesh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9권2호
    • /
    • pp.136-140
    • /
    • 2016
  • Myofascial pain syndrome (MPS) is one of the common musculoskeletal conditions of the shoulder which may develop sensory-motor and autonomic dysfunctions at the various level of the neuromuscular system. The pain and dysfunction caused by MPS were primarily treated with physical therapy and pharmacological agents in order to achieve painfree movements. However, in recent years intra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IMES) with conventional electrode placement was used by researchers to maximise therapeutic values. But, in this study an inverse electrode placement was used to deliver electrical impulses intramuscularly to achieve neuro-modulation at the various level of the nervous system. Nine patients with MPS were treated with intramuscular electrode stimulation using inversely placed electrodes for a period of three weeks. All nine subjects recovered from their shoulder pain and disability within the few weeks of intervention. So, this inverse electrode placement may be more appropriate for chronic pain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