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sibility Words

검색결과 158건 처리시간 0.02초

우리나라 생산 면직물에 대한 미국 소비자의 감성평가 -미국 사우스다코타주 대학생을 중심으로- (The sensibility of the American consumer about domestically manufactured cotton fabrics -Based on South Dakota State University Student-)

  • 이정순;신혜원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997-1005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measure the sensibility and preference of American consumers for domestically-manufactured cotton fabrics through 7-points scale questionnaires and the 4-dimensions and 8-axes system. The key words included such images as masculine-feminine, new-old, casual-classic, and ambiguous-orderly. The images of cotton fabrics were classified through a cluster analysis. This research also included an investig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sensibilities for cotton fabrics and their physical characteristics. The sensibilities of cotton fabrics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feminine sensibility,' 'masculine sensibility,' 'new sensibility,' and 'casual sensibility.' This result represents that American consumers' sensibility is simpler than Koreans'. The order of preference was 'feminine sensibility', 'masculine sensibility', 'new sensibility', and 'casual sensibility.' The sensibilities of cotton fabrics were explained significantly by stiffness, weight, weft density, value, and chroma. Specifically, those were more influenced by color characteristics such as value, chroma, and hue than by physical characteristics. We should be able to tell a difference in the reaction of a trading country's consumers and domestic consumers to domestically-manufactured cotton fabrics through comparing this research with the previous work(Shin & Lee, 2002). Additionally, we will be able to establish a basic strategy for successfully advancing Korean fabrics into the American domestic textile industry. In this way we can expect to increase the competitive power of our domestic clothes brands.

  • PDF

여성사용자의 평가어휘지표에 의한 공간 환경 분석에 관한 연구 - 미술관 공간 환경의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 (An Empirical Analysis of Museums' Spatial Environments using a Sensibility Rating Scale of Women's)

  • 한명흠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6호
    • /
    • pp.192-199
    • /
    • 2011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present the criteria for a sensibility rating scale for measuring the general women's perception of museums' spatial environment,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an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ed rating scale in terms of each rating element and factor.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during August 19 - September 16, 2010, and a total of 342 museum visito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 sensibility rating scale used for the survey consisted of a total of 32 adjectives selected from a literature review of previous studies. To specify the dimensions of semantic space using the semantic adjectives, words with opposite meanings were analyzed with the semantic differential technique developed by Osgood et al. Using SPSS, a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data obtained from the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ccording to the women's perception of museums' spatial environment, six factors were found from the 25 semantic ratings of the Museum. The summarized criteria were: 'aesthetic', 'pleasant', 'valuable', 'function', 'affinity', and 'material.' The derived criteria were verified through an empirical test using emotional adjectives. In the coming yea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valuable data for constructing a sensibility rating scale for evaluating spatial environments of museums.

웹 사용 중 표출되는 사용자의 감성을 측정하기 위한 감성어휘 추출 (Extraction of Emotional Words for Measuring User's Emotions expressed while Using a Web)

  • 정상훈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3-7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추출한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하는 도중에 유발될 수 있는 인간의 감성 변화를 나타낼 수 있는 감성어휘 88 개 중에서 웹(Web)을 사용하는 상황에서 유발될 수 있는 사용자의 감성을 표현하기에 적합한 감성어휘를 추출하였다. 웹 사용빈도가 높은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웹을 사용하는 도중에 유발될 수 있는 사용자의 감성을 파악하기 위한 감성어휘를 추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추출된 감성어휘는 웹을 사용하면서 표출되는 사용자의 감성을 측정하는 데에 필요한 평가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텍스트 문서 기반의 감성 인식 시스템 (An Emotion Scanning System on Text Documents)

  • 김명규;김정호;차명훈;채수환
    • 감성과학
    • /
    • 제12권4호
    • /
    • pp.433-442
    • /
    • 2009
  • 요즈음 인터넷을 통해 물건을 구매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물건을 구매한 소비자는 리뷰, 댓글, 비평 또는 블로그 등의 형식으로 온라인에 그들의 사용 후기를 작성한다. 또한 작성된 사용 후기부터 많은 구매자들은 물건을 구매하기 전에 자신이 구입하고자 하는 물건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 따라서 회사나 공공기관은 대중이 다른 사람의 의견에 관심을 기울인다는 점 때문에 대중의 의견을 수집하고 분석할 필요성에 직면하였다. 그러나 온라인상에 댓글이 너무 많고, 중복적이면서 짧은 경향이 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텍스트 문서의 감성을 인식하는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텍스트로부터 작성자의 의견이나 주관적인 생각을 추출할 수 있게 영어에서는 단어에 속성이 주어진 GI와 LKB가 있으나 한글은 아직 속성이 주어진 사전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 논문에서는 한글 품사 중 4개의 품사(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에 속성을 주었다. 그리고 학습 군을 만들어서 감성 단어의 패턴을 구성하고, 문장에서 단어 사이의 공기관계를 구성하여 학습 시켰다. 이 학습을 바탕으로, SO-PMI을 이용하여 문서를 긍정과 부정 2가지 극성을 분류하고, 4개의 품사(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를 각각 조합하여 최상의 조건을 구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새로운 감성 표현, 구성형식, 단어 연관성을 반자동적으로 삽입하고 교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 PDF

한국어 감정표현단어의 추출과 범주화 (Korean Emotion Vocabulary: Extraction and Categorization of Feeling Words)

  • 손선주;박미숙;박지은;손진훈
    • 감성과학
    • /
    • 제15권1호
    • /
    • pp.105-120
    • /
    • 2012
  • 본 연구 1에서는 한국어 감정표현단어의 목록을 제작하고, 연구 2에서는 제작된 감정표현단어가 어떤 범주의 감정에 속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연구 1의 한국어 감정표현단어 목록 제작을 위하여 연세대학교에서 제작한 '현대 한국어의 어휘빈도' 자료집으로부터 감정단어들을 추출하는 작업을 여러 단계에 걸쳐 시행하였다. 일상생활에서 빈도 높게 사용하는 감정표현단어를 선정하기 위하여 국문학 전공자와 감정연구자 12명이 참가하였으며, 총 504개의 감정표현단어들로 구성된 목록을 완성하였다. 연구 2에서는 8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각 단어가 '기쁨', '공포', '분노' 등 10개 범주(중성포함)의 감정 중 어느 감정과 관련 있는지 복수 선택하도록 하여 각 단어에 대한 감정 범주를 조사하였다. 단어들의 감정 범주 분석 결과, 504개 단어 중 426개 단어는 한 범주의 감정을 의미하였는데, '슬픔'을 나타내는 단어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분노', '기쁨' 순으로 나타났다. 다음 72개 단어는 두 감정 범주를 나타내었는데, '분노'와 '혐오', '슬픔'과 '공포' 그리고 '기쁨'과 '흥미'로 묶이는 단어가 많았다. 세 감정 범주를 보인 6개의 단어는 '놀람', '흥미', '기쁨'의 조합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일상생활에서 실제로 사용하는 감정표현단어 목록을 제작하고, 이에 기반을 두어 각 단어와 관련된 감정 범주를 복수의 감정 범주를 포함하여 규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감정표현단어들과 각 단어에 대한 감정 범주 정보는 심리학 분야뿐만 아니라 이후 HCI 분야에서 언어적 내용에 기반을 둔 감정인식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디자인 분야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한 감성평가방법 모색 -한복 연관 디자인 요소, 감성적 반응, 평가어휘를 중심으로- (An Investigation of a Sensibility Evaluation Method Using Big Data in the Field of Design -Focusing on Hanbok Related Design Factors, Sensibility Responses, and Evaluation Terms-)

  • 안효선;이인성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1034-1044
    • /
    • 2016
  • This study seeks a method to objectively evaluate sensibility based on Big Data in the field of design. In order to do so, this study examined the sensibility responses on design factors for the public through a network analysis of texts displayed in social media. 'Hanbok', a formal clothing that represents Korea, was selected as the subject for the research methodology. We then collected 47,677 keywords related to Hanbok from 12,000 posts on Naver blogs from January $1^{st}$ to December $31^{st}$ 2015 and that analyzed using social matrix (a Big Data analysis software) rather than using previous survey methods. We also derived 56 key-words related to design elements and sensibility responses of Hanbok. Centrality analysis and CONCOR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Ucinet6. The visualization of the network text analysis allowed the categorization of the main design factors of Hanbok with evaluation terms that mean positive, negative, and neutral sensibility responses. We also derived key evaluation factors for Hanbok as fitting, rationality, trend, and uniqueness. The evaluation terms extracted based o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ologies of atypical data have validity as a scale for evaluation and are expected to be suitable for utilization in an index for sensibility evaluation that supplements the limits of previous surveys and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The network text analysis method used in this study provides new guidelines for the use of Big Data involving sensibility evaluation methods in the field of design.

퍼지 의사결정 모델에 의한 감성제품 디자인 요소의 추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erence of Product Design Elements by Fuzzy Decision Making Model)

  • 양선모;이순요;안범준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7-46
    • /
    • 1998
  • A human sensibility ergonomics design supporting system was applied to the product development for the customer's satisfaction based on ergonomics technology. The system is composed of three major subsystems such as customer's sensibility analysis, inference mechanism, and presentation technology. The main approaches of the system are to analyze customer's sensibilities and to translate them into product design element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design supporting system in which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s sensibility and product design elements is reasoned by a MADM(Multi-Attribute Decision Making) fuzzy model. In this model, three variables such as multiple correlation coefficients, partial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category scores were used in reasoning process. The weighted value of the words were also considered in fuzzy decision process. As a case study, the design supporting system with the MADM fuzzy model was applied to the personnel computer design.

  • PDF

주거환경이 시각적 감성어휘 (A Study on Words Representing Human Visual Sensibility in Residential Environment)

  • 윤정선;신미경;이강의;구아현
    • 감성과학
    • /
    • 제3권2호
    • /
    • pp.67-74
    • /
    • 2000
  • 본 연구는 주거환경에 대한 시각 감성을 대표하는 어휘를 선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어휘수집의 첫 단계에서는 주거환경 중 시각 환경에 대한 감성을 표현하는 어휘 235개를 수집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수집된 어휘를 다른 피험자들에게 제시하여 주거 환경의 분위기를 나타내는 어휘 로서 적절함의 정도를 7점 척도로 표시하도록 하여 매우 적절하다고 판단된 24개의 어휘를 선발하였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이들 어휘를 무선 적으로 두 개씩 짝을 지어 두 단어가 유사한 정도를 7점 척도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이 설문으로부터 나온 데이터에 대해 요인분석, 군집분석, 다차원분석을 실시하여 시각적 주거환경에 대한 9개의 감성어휘를 추출하였다. 이와 함께 최종 단계에서 연구자들이 400여장의 실물 사진 열람을 통해 추출된 9개의 감성 어휘가 실제 시각적 주거환경을 나타내는 데에 적함한지를 다시 한번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10개의 어휘를 선발하였다. ‘안락한’, ‘개방적인’, ‘세련된’, ‘경쾌한’, ‘개성적인’, ‘단순한’, ‘화려한’, ‘중후한’, ‘고풍스로운’, ‘전원적인’.

  • PDF

주거환경의 시각 감성어휘 선발 (Research on Words Representing Human Visual Sensibility for Residential Environment)

  • 윤정선;이강희;신미경;구아현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4-138
    • /
    • 1999
  • 본 연구는 주거환경에 대한 시각 감성을 대표하는 형용사를 선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주거환경에 대한 감성을 대표하는 형용사를 선발하는 것은 감성의 잣대를 만드는 일이기 때문에 감성어휘를 정확하게 선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어휘수집의 첫 단계에서는 주거환경 중 시각 환경에 대한 감성을 표현하는 어휘 235개를 수집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수집된 어휘를 다른 피험자들에게 제시하여 주거 환경의 분위기를 나타내는 어휘로서 적절함의 정도를 7점 척도로 표시하도록 하여 24개의 어휘를 골라내었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이들 어휘를 무선적으로 두 개씩 짝을 지어 두 단어가 유사한 정도를 7점 척도로 평가하도록 하고 이에 대해 요인분석, 군집분석, 다차원분석(MDS)을 실시하여 주거환경에 대한 10개의 감성 어휘를 추출하였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연구자들이 400여장의 실물 사진 열람을 통해 추출된 감성 어휘를 검증하여 수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