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ior high school chemistry education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5초

A Senior High School Chemistry Laboratory Class Observed by University Students

  • Kamitani, Sachiyo;Arai, Yuka;Konishi, Yuki;Nakanishi, Shinsuke;Oshima, Takuya;Yamaguchi, Junko;Ishii, Arisa;Minagawa, Keiji;Yasuzawa, Mikito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5호
    • /
    • pp.15-19
    • /
    • 2010
  • Upon request from the Tokushima Prefectural Senior High School of Science and Technology, two faculty staff members and eight students of The University of Tokushima visited the high school and set up a chemistry laboratory class for 59 students. Since the participating senior high school students were freshmen, four simple, safe and visual experiments were selected: 1) Water purification, 2) Surface modification, 3) Briggs-Rauscher reaction, and 4) Polymer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All experiments received a favorable reception as a follow-up questionnaire verified. Since the high school students enjoyed the experiments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will strengthen the students' interest in chemistry. It was good opportunity for the observers; they recognized the difficulty of teaching students.

  • PDF

Production of Chemistry Laboratory Class for Senior High School Freshmen

  • Yasuzawa, Mikito;Minagawa, Keiji;Kamitani, Sachiyo;Arai, Yuka;Konishi, Yuki;Nakanishi, Shinsuke;Oshima, Takuya;Yamaguchi, Junko;Ishii, Arisa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5호
    • /
    • pp.55-60
    • /
    • 2010
  • Chemistry laboratory class was produced for senior high school freshmen with the cooperation of university staffs, high school teachers and the university students. Although the students who will take the lab class are senior high school freshmen, we decided to prepare four experiments that are simple and have highly visible reactions or transformation. That is, 1) Water purification, 2) Surface modification, 3) Briggs-Rauscher reaction, and 4) Polymer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After the safety guideline and experiment instructions by the faculty staffs, two teaching assistants (TAs) supervised each experiment. Since taking a direct part in it will provide stronger impact than only being one who is just watching the experiment, all experiments contained some process that the high school students must handle the reagents, tools or the equipment, by themselves. Although, the operation performed by the students was limited to a series of simple actions, the various unique phenomena presented by the experiments impressed the students. The lab class was fruitful not only for high school students, but also good for university students. The lab class provided good opportunity for them to improve the abilities to teach and guide someone.

  • PDF

일반고와 과학고 학생들의 정신용량과 산화 환원 개념의 이해도가 산화 환원 반응식 완결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Mental Capacity and Understanding of the Oxidation Reduction Concepts on Senior and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Completion of the Balancing Redox Equations)

  • 최병순;김충호;이상권
    • 대한화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45-353
    • /
    • 2002
  • 이 연구의 목적은 일반고와 과학고 학생들의 정신용량과 산화 환원 개녀 이해 정도가 산화 환원 반응식 완결 문제의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이러한 화학문제 해결에 대한 효과적인 학습 지도 방안 마련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일반고 학생92명과 과학고 학생 57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정신용량검사, 산화 환원 개념 검사, 산화 환원 반응식 완결 검사를 실시하고 성취도를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일반고 학생들은 정신용량이 클수록 산화 환원반응식 완결에서의 성취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과학고 학생들은 정신용량에 따른 성취도 차이가 없었다. 산화 환원개념 이해 정도를 분석한 결과, 일반고 학생들은 개념 이해 정독 전반적으로 매우 낮았으나 과학고 학생들은 비교적 높았다. 일반고 학생들은 개념을 부분적으로 이해한 학생들의 성취도는 개념을 이해하지 못한 학생들의 성취도보다 높게 나타났고 개념을 이해하지 못한 학생들은 정신용량이 클수록 성취도가 증가하였다. 과학고 학생들은 개념 이해 정도가 높을수록 성취도가 높게 나타났다. 산화 환원 개념을 완전하게 이해한 학생은 일반고와 과학고에 관계없이 그리고 문항 유형에 관계없이 높게 성취도를 나타냈음을 알 수 있었다

미국대학을 중심으로한 과학교육분야 박사학위 논문분석 (Analysis of Doctor' Dissertations in Science Education Produced mainly by the Universities in the USA.)

  • 박규은;김규용;오덕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73-81
    • /
    • 1991
  • The condensed results of the analytical study on 361 doctoral dissertations in science education recorded in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during the years of 1985-1989 are as follows: About eighty to hundred dissertations were produced annually, but a slight decline in number was noted currently. About 94.4% of dissertations were produced by the universities in the USA The research data of 361 dissertations were collected from 25 countries. Over 40% of total dissertations had been focused on high school(senior middle school) and college students as the source of research. Disciplines of science constituting the background of dissertations were biology(l9.l%), physics(l2.7%), chemistry(12.0%) and earth science(2.5%). Concerning the research branches, the number of dissertations belonging to complex research(composed of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research) was 118(32.7%) and those belonging to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research were 88(24.4%) and 74(20.5%) respectively. Also that belonging to computer-aided research was 45(12.5%). The general methods of data collection were examination & test(34.9%), questionaire(22.2%) and complexmethod(9.1%). The main areas of dissertations were academic achievement(31.8%), teaching assessment(20.2%) and pedagogy(l8.8%).

  • PDF

일반고와 과학고 학생들의 정신용량과 풀이 방법에 따른 산화 환원 반응식 완결 과정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Problem Solving Process of the Balancing Redox Equations by Senior and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Mental Capacity and Problem Solving Methdos)

  • 김충호;이상권
    • 대한화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53-363
    • /
    • 2002
  • 이 연구의 목적은 일반고와 과학고 학생들의 정신용량과 풀이 방법에 따른 산화 환원 반응식 완결 과정의 특성을 분석하여 산화 환원 단원의 교수학습 지도에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데 있다. 일반고 학생 79명과 과학고 학생 57명을 대상으로 하여 정신요량 검사, 산화 환원 반응식 완결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문항 유형별로 학생들의 문제 풀이 실패 유형과 성공 유형을 추출하여 분석틀을 개발하고 개발한 분석틀에 의하여 정신용량과 풀이 방법에 따라 실패 사례와 성공 사례를 분석하여 나타나는 특징을 알아보았다. 일반고 학생들과 과학고 학생들 모두 산화 환원 개념 이해 정도가 낮을수록 미정계수법을 많이 선택하였으며 미정계수법을 선택한 학생들은 정신용량이 클수록 문제 풀이의 성공률이 높았다. 또한, 산화 환원 개념 이해 정도가 높은 학생들은 산화수법이나 이온 자법을 더 많이 선택하였고 정신용량에 관계없이 문제 풀이의 성공률이 높게 나타났다. 학생들의 풀이 과정을 분석한 결과 성공 유형은 산화 환원의 개념 이해 정도가 높고 풀이 방법에 관계없이 풀이 단계 수를 줄이 학생들이었다. 실패 유형은 물이 방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미정계수법을 선택한 학생들의 실패 유형은 계산 과정 중 틀린 경우, 미정방정식을 잘못 세운 경우 문제 풀이 과정중 고려해야 할 변인을 모두 고려하지 못한 경우 풀이 과정이 복잡하여 중단한 경우였다. 산화수법을 선택한 학생들의 실패 유형은 산화수를 잘못 결정한 경우 질량균형 또는 전하균형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였다.

국제단위제도에 대한 초등학교 예비 교사들의 이해 (The Preservice Teachers등 Understanding of the International System of Units)

  • 김성규;김윤경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3권1호
    • /
    • pp.27-36
    • /
    • 2004
  • This paper aims to examine how well university students, who are going to be primary school teachers, understand the International System of Units (SI), focusing on seven basic units such as 'm', '㎏', '㏖', 'A', 'K', 's', 'cd'. This study specifically investigates whether the students know the seven units and understand their uses and how they read and learn them. The subjects were 1030 students from the University of Education in Jinju, Geongsangnamdo.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which was designed by this researcher and checked by an authority, and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reponses to each question were obtained and analysed. Findings show all the students knew very well that 'm' and '㎏' are included in the seven units, compared to the others which low percentage of the students considered as the elements. In terms of understanding of use, the units of the length 'm', the mass '㎏', and the time 's' are well understood, presumably, because they are often used in ordinary life and school, while the amount of substance '㏖', the electric current 'A', the thermodynamic temperature 'K', and the luminous intensity 'cd' are not as well understood. It is probably because 'A', 'cd', and 'K' are hardly used in everyday life. With respect to reading the units, the subjects read 'm', '㎏', '㏖', and's' much better than the others. As for the source of learning them, most students answered they learned them in schools, which implies school education is very important. From thes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school education should be accompanied with use in everyday life for understanding and using the units. SI Base Units understanding was investigated by an academic year. According to this investigation, generally the right answer rate differed 4<2<3<1 by an academic year in order. For the Senior, Sophomore appeared the right answer rate more high. because, they learned before in deepening or elementary course on chemistry and physics related with SI Base Units. On the other hand, for the junior answered low rate by this reason that they couldn't remember about SI Base Units that learned before. For the Freshman appeared low rate by this reason that they were not learned or graduated from the department of liberal art in high school.

  • PDF

상급 학년 수준 시험을 활용한 과학고 신입생들의 학업성취도 특성 연구 (Analysis of academic achievements on above-level testing of newly entering students in science specialized high schools)

  • 안태환;박경희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1호
    • /
    • pp.119-138
    • /
    • 2015
  • 본 연구는 과학고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수학, 물리, 화학, 영어 교과에서의 상급 학년 성취 수준을 평가하였다. 상급 학년 수준 시험은 천장효과를 배제한 성취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동형검사지를 개발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고 신입생들의 수학, 과학 교과 학업성취도는 응시생의 50%이상이 수능 5등급이내에 위치하고 영어교과는 19.3%미만의 학생들이 5등급이내의 성적을 나타내어 수학이나 과학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둘째, 과목 내 단원별 학업성취도가 높고 낮은 단원을 보면, 수학은 '행렬' 단원이 높고 '수열' 단원이 낮았다. 미적분과 통계 과목은 '함수의 극한과 연속성' 단원이 높고, '통계' 단원이 가장 낮았다. 물리 과목에서는 '전기와 자기' 단원이 중간 수준, '파동과 입자' 단원이 하위수준이었다. 화학 과목에서는 '생활 속의 화합물' 단원이 높고, '공기' 단원이 낮았다. 영어 교과에서는 읽기 영역의 '실용문'이 매우 높았으며, 쓰기 영역의 '문장'이 낮았다. 결론적으로 상급 학년 수준 시험은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개별화된 프로그램을 적용하는데 좋은 방안이라 할 수 있다.

중학교 과학2 교과서에 서술된 이온 결합 화합물과 분자 내용이 요구하는 인지 수준 분석(제II보) (Analysis of the Level of Cognitive Demands about Concepts of Ionic Compounds and Molecule on Science 2 Textbooks in Junior High School (II))

  • 강순희;방담이;김선정
    • 대한화학회지
    • /
    • 제56권6호
    • /
    • pp.739-750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과학2' 교과서에 서술되어 있는 '이온 결합 화합물'과 '분자'에 대한 내용이 요구하는 인지 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우리나라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의하여 처음으로 '이온 결합 화합물'과 '분자' 내용들을 중학교에서 다루게 되었다. 분석에 활용한 6종 과학 교과서에 서술된 내용이 어떠한 인지 수준을 요구하는 지를 알아내는 분석틀은 영국에서 개발된 Curriculum Analysis Taxonomy의 3종류 분석틀을 사용하였다. 이 3종류 분석틀에 의하여 분석한 '과학2' 교과서에 서술된 내용이 요구하는 인지 수준들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순물질과 혼합물'에 대해서 대부분의 교과서가 대부분 분류 포섭이나 분류 위계를 하고 있어서 후기 구체적 조작 수준이다. 그러나 모든 교과서가 혼합물 속에 들어 있는 각각의 순물질들이 본래의 성질을 잃지 않고 그 성질이 보존된다는 것을 알게 하고 있기 때문에 초기 형식적 조작 수준이다. 둘째, '이온 결합 화합물'과 '분자'에 대해서 교과서 모두 초기 형식적 조작 수준으로 판정되었다. 그 자체의 규칙을 따르는 가상의 계로부터 연역적인 비교를 통하여 실체를 간접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형식적 모델을 사용한다거나 또는 원자가 구조를 가진다는 것을 설명하기 때문에 형식적 조작 수준이다. 셋째, '이온 결합', '이온 결합 화합물', '화학식', '공유 결합', '공유 결합 화합물', '분자식' 등의 용어들을 사용하는 '과학2' 교과서가 많이 있었다. 이러한 용어들은 중학교 '과학3'에서도 그리고 고등학교 '과학'에서도 사용되지 않고 있으며 고등학교 '화학I'과 '화학II'에 가서야 사용되는 용어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