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ior Welfare Centers

검색결과 172건 처리시간 0.021초

노인복지회관을 이용하는 고혈압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이 자가간호행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Recovery Resilience on Self Care Behavior among the Elderly with Hypertension in the Senior Welfare Center)

  • 박세정;김선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182-191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고혈압 노인의 사회적 지지, 회복탄력성 및 자가간호행위의 관계를 파악하고 자가간호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C 지역에 위치한 3곳의 노인복지회관을 이용하는 고혈압 노인 183명을 대상으로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8년 8월 20일부터 8월 31일 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사회적 지지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79{\pm}0.78$점, 회복탄력성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4.10{\pm}0.71$점, 자가간호행위 정도는 5점 만점에 $3.93{\pm}0.51$점이었다. 자가간호행위는 사회적 지지(r=.204, p<.001) 및 회복탄력성(r=.405, p<.001)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자가간호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회복탄력성(${\beta}=.36$, p<.001)과 운동의 규칙성(${\beta}=.17$, p=.019)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들 변수들은 자가간호행위의 18.9%를 설명하였다(F=21.02, p<.001). 본 연구 결과 회복탄력성, 운동의 규칙성은 고혈압 노인의 자가간호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고혈압 노인의 자가간호행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운동을 규칙적으로 수행하도록 권고하고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개발 및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의 감정조절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Emotional Regulation on the Quality of Life in Elderly People)

  • 윤은경;조윤득
    • 한국노년학
    • /
    • 제30권4호
    • /
    • pp.1429-1444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감정조절 어려움이 삶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감정조절 어려움을 예방 또는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조사는 65세 이상의 노인대학과 경로당을 이용하고 있는 노인 345명을 대상으로 방문 조사하였다. 감정조절 어려움에 대한 측정도구는 Gratz와 Roemer(2004)가 개발한 것을 본 연구에 적합하게 재구성하여 요인분석을 한 결과, 감정조절 어려움은 5가지 요인으로 재분류하여 내적 감정반응 처리곤란, 표출된 감정의 통제곤란, 명확한 감정인식의 곤란, 감정대처의 어려움, 감정수용의 어려움으로 명명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과 수입유무, 경제적 상태, 과거 3개월 이내 입원력과 질환유무 등에서 개인특성에 따라 감정조절의 어려움에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삶의 질은 성별, 연령, 배우자유무, 거주형태, 교육정도, 수입유무, 경제적 상태, 과거 입원력, 질환유무 등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감정조절의 어려움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삶의 질 전체로 분석한 결과, 개인특성에서는 남성노인이, 수입이 있으면서, 질환이 적은 경우에 삶의 질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감정반응에 대해 처리가 곤란하거나 감정통제가 잘 안되고, 감정처리능력이 부족할 때 노인의 삶의 질이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감정조절의 어려움과 노인의 삶의 질과의 관련성은 높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초로 개인특성에 따른 감정조절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접근방법과 노인의 감정조절 어려움을 다차원적으로 분류하여 경감 및 보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안하였다.

노인의 인터넷 중독 경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Influence Factors on the Internet Addiction of the Elderly)

  • 고재욱;김수봉
    • 한국노년학
    • /
    • 제32권2호
    • /
    • pp.649-668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사회를 앞두고 우리나라 노인들의 신종 중독문제를 예방하고자 노인의 인터넷 중독 실태와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양적 증대를 넘어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거주하고 있는 만 60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지역 내 복지관, 문화센터, 경로당, 기타 지역에서 일대일 면접 조사를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는 노인 인터넷 중독 정도는 평균 36.16점(SD=10.02)이며 최소 20점에서 최대 65점의 분포로 나타났다. 인터넷 중독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컴퓨터 이용시간(β=.248, p<.001), 월용돈(β=.180, p<.01), 연령(β=.139, p<.01), 사회적 지지(β=.087, p<.05), 자기효능감(β=-.078, p<.05), 주이용 장소(β=-.116, p<.05), 가족관계 정도(β=-.147, p<.01), 주택형태(β=-.153, p<.01),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 변인들의 설명력은 17.6%로 나타났다. 즉 컴퓨터 이용시간이 많을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월용돈이 많을수록, 주택이 자가가 아닌 경우, 가족관계 정도가 낮을수록, 주이용 장소가 집이 아닌 경우, 자기효능감이 낮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인터넷 중독정도를 증가시키는 예측변인이 됨을 알 수 있었다. 조사결과를 통해서 인터넷 중독 노인을 대상으로 집단 심리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인터넷 이용 관련 매뉴얼을 제작 및 배포하여 중독 관련 요인에 따른 사례별 맞춤형 사례관리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일반 노인을 대상으로 인터넷 이용 관련 교육을 실시하여 잠재적 위험에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예방적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노인의 생활 만족도 영향 요인: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Correlates of lif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모진아;이경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517-526
    • /
    • 2018
  •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해외 학술지에 게재된 복지관 이용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체계적 문헌 고찰 및 메타분석을 통해 노인의 생활만족도를 증진하기 위한 한국형 노인 생활만족도 도구 개발 및 복지관 운영 및 정책 개발 시 기초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에 사용된 문헌은 2017년 11월 1일까지 게제 된 국외 논문을 Medline complete, Pubmed central, Scopus를 통해 검색하였다. 검색 용어는 "Elderly. OR aged/) AND Personal Satisfaction/ or life satisfaction. mp"를 사용하였고, 검색된 595편의 초록을 통해 최종 6편의 연구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각 연구의 내용을 정성적으로 분석한 후 3편 이상의 정량값이 있는 요인들은 메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노인 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신체적 건강(통합효과크기 0.582, p=.000), 정신적 건강(통합효과크기 0.423, p=.000), 경제적인 문제(r=.51, p=.001), 사회활동, 일상생활정도가 영향요인을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노인의 생활 만족도의 폭넓은 이해뿐만 아니라 초고령화 사회를 대비한 고령자 취업의 사회적인 함의 및 체계적인 건강관리를 통해 생활만족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베하스(BeHaS) 프로그램이 경로당 여성 노인의 신체적 요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예비연구 (Effects of the BeHaS Program on Physical Factors and Self-esteem of Elderly Women in a Senior Center: A Pilot Study)

  • 김종임;김지영;박은옥;박주아;이리나;박금옥;최영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373-383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경로당 여성 노인의 신체적 요인과 자아존중감에 대한 베하스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을 한 개 이상 가진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베하스 프로그램을 8주간, 주 1회, 1일 1.5시간씩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8주 간격으로 총 3회 측정을 하였으며 신체적 요인은 3회(Pretest1, Pretest2, posttest), 자아존중감은 2회(Pretest2, posttest) 하였다. 신체적 요인은 Repeated Measured ANOVA, 자아존중감은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대상자의 복부둘레, 당화혈색소, 총콜레스테롤,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자아존중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베하스 프로그램이 비만 및 혈당 관리, 콜레스테롤 감소,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사증후군이 있는 지역사회 주민의 건강향상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국악을 이용한 집단음악치료가 주간보호시설 노인들의 인지기능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Group Music Therapy with the Use of Korean Classical Music on Cognitive Function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at Daycare Facilities)

  • 송백윤;정광조;최애나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2권6호
    • /
    • pp.125-138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a music group therapy program has on cognitive function and life satisfaction. We targeted the elderly who are receiving service at a daycare center. This study monitored seventeen elderly subjects who were available for language communication, walking, and defecation function even if the subject had a slight mind-body function disorder based on using the service of the daycare facilities. The subjects visited each of the welfare centers one week prior to the Korean classical music group therapy program. We conducted a pre-test of MMSE-K(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orean version) modified by Park and Gwon(1989). We also supplemented the MMSE developed by Folstein(1975) and LSI-A(Life Satisfaction Index) for the elderly developed by Neugarten, Havighurst and Tobin(1961). We conducted the Korean classical music group therapy program for 15 sessions at 50 minutes each for 1~2 times a week from July 9 to September 13, 2013 at the daycare center for OO senior welfare center. The welfare center belongs to the experimental group, excluding the OO general welfare center, which is the control group. Finally, we carried out the post-test of the MMSE-K and LSI-A in the same manner as the pre-test. We carried out the post-test on July 17, 2013, 4 days after concluding the Korean classical music group therapy program. A t-test was used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cognitive function and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each group. We used SPSS/WIN 18.0 program. This study has significance by proving that the use of Korean classical music is conducive in the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t the daycare facilities. Also, we presented the actual contents of the study to the clinical field.

노인의 차별경험이 자아이미지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경제적 참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Discrimination Experience on Self-image and Self-esteem among the Korean elderly: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and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 안준희;김승용
    • 한국노년학
    • /
    • 제29권4호
    • /
    • pp.1645-1663
    • /
    • 2009
  • 본 연구는 노인들의 차별경험이 자아이미지를 매개로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 사회 경제적 참여가 이러한 효과를 조절하는지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C지역 복지관과 경로당에 다니는 노인 543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노인의 차별경험은 신체이미지, 능력이미지, 기질이미지 모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들이 자각하고 있는 자아이미지 중 능력이미지와 기질이미지는 자아존중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신체이미지는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사회적 참여는 차별경험이 신체와 기질 이미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질 이미지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경제적 참여는 차별경험이 자아이미지에 미치는 효과를 조절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능력이미지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인의 자아존중감을 높이는데 있어서 차별 수준을 낮추기 위한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기관에서 노인이 차별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사회적 경제적 참여 활동을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노인의 치매행동 관련 홀니스 프로그램 개발과 완충효과 검증 (The Development of Wholeness Program for Effects Dementia-Buffering Testing of the Demented Elderly)

  • 홍혜전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7권1호
    • /
    • pp.405-419
    • /
    • 2018
  • 이 연구는 치매행동 관련 홀니스 프로그램 적용 및 완충효과 검증 단계로 서울시에 위치한 M1과 M2 노인복지관에 개설되어 있는 주간보호시설 참여 노인 총 40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대상자들의 사전조사를 실시한 후 무작위로 M1노인복지관 노인 20명을 실험군으로, M2노인복지관 노인 20명을 통제군으로 배치하였다. 치매행동 관련 홀니스 프로그램 활동은 2016년 3월 14일부터 2016년 5월 30일까지 12주간, 주 2회, 60분간 수행하였다. 측정도구는 MMSE-K와 K-MBI, GDS-K를 사용하였다. 치매행동 관련 홀니스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동안 치매행동 참여 전과 참여 후 총 2회를 측정하였으며 SPSS-PC(version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첫째, 실험군과 통제군의 동질성여부를 파악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 둘째, MMSE-K와 K-MBI, GDS-K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간 대응표본 t-검증, 셋째, 사전·사후 간 변화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의 치매행동 관련 홀니스 프로그램은 인지능력의 변화(MMSE-K), 신체능력의 변화(K-MBI), 우울수준의 변화(GDS-K)에 모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거노인의 자아통합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주관적 건강요인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Ego integrity on QoL of Elderly Living Alone: Focused on Moderating Role of SF36 Health Factors)

  • 신학진;전상남;유길준;이은용
    • 한국노년학
    • /
    • 제30권4호
    • /
    • pp.1179-1195
    • /
    • 2010
  • 본 논문은 독거노인의 자아통합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했다. 또한 주관적 건강의 다양한 영역별 차이에 따라서 자아통합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다름을 검증했다. 설문조사를 위해서 전주시의 노인복지관 이용자 중에서 독거노인을 편의 추출하였고 265명이 분석대상이 되었다.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을 위해 자아통합감, 삶의 질 그리고 SF36 주관적 건강을 확인요인분석 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델을 이용하여 인과분석과 주관적 건강요인별로 조절효과를 분석했다. 분석결과로 첫째, 독거노인의 자아통합감이 클수록 노인의 삶의 질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신체기능이 저조할수록 자아통합감은 삶의 질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검증했다. 셋째, 신체로 인한 역할 제한이 많을수록 자아통합감은 삶의 질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를 통해서 주관적 건강이 노년의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상반된 견해가 발생하는 원인을 설명할 수 있었으며, 주관적 건강의 영역과 정도에 따라 개입 방향이나 효과가 다를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노년층의 스마트 정보격차 요인 및 해소방안에 관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Factors and Resolution Methods of the Smart Divide of Older Adults)

  • 백기훈;봉진숙;신용태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2권10호
    • /
    • pp.1207-1221
    • /
    • 2015
  • 본 연구는 1990년대 이후 정보화 과정에 이어 2010년대 들어 스마트폰의 확산으로 스마트화가 급속히 전개되는 가운데 특히 2000년대 이후 신속히 진행 중인 고령화로 인하여 심각해지고 있는 만 65세이상 노년층의 스마트 정보격차의 요인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해소방안을 모색하고자 추진되었다. 기존 연구에서 노년층의 스마트폰에 대한 자기효능감, 교육, 접근성, 유희성, 비용 합리성, 정책적 지원 등 6개 요인을 도출하고 정보기술수용모델(TAM)을 토대로 연구모델을 정립한 후, 전국의 14개 노인종합복지관을 통하여 총 243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델(SEM) 분석을 통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스마트폰에 대한 정책적 지원, 유희성, 자기효능감, 접근성, 비용 합리성, 그리고 교육 요인의 순서로 중요성이 우선시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에 노년층의 스마트 정보격차에 대한 다양한 해소방안 모색에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