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mi-dry

검색결과 239건 처리시간 0.03초

적색광을 이용한 국화의 개화조절 (Flowering Control by Using Red Light of Chrysanthemum)

  • 홍성창;권순익;김민경;채미진;정구복;소규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23-127
    • /
    • 2013
  • 적색광을 이용한 국화의 일장연장 처리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국화의 개화억제를 위한 적색광 강도를 구명하고 생육에 대한 영향을 검토하였다. 국화는 적색광에 의한 파야처리로 개화가 억제되었고 연속된 초적색광 처리로 개화하여 개화의 광가역적 반응을 나타냈다. 인공광 생육실 환경하에서 적색광 $1.4{\mu}mol/m^2/s$ (PAR) 로 일장연장 처리시 국화의 개화가 완전히 억제되었다. 적색광 $1.4{\mu}mol/m^2/s$ 처리는 관행의 전구식형광등 50 Lux 처리와 같이 국화의 개화를 억제시켰다. 적색 LED를 이용한 일장연장 처리로 관행의 전구식형광등 처리보다 국화의 초장은 17 %, 엽면적은 48 %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엽수와 생체중은 각각 11 %, 36 %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한산거제만 해역의 수질 장기변동 특성 (The Characteristic of Long Term Variation of the Water Quality from Hansan-Geoje bay, Korea)

  • 권정노;박영철;엄기혁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89-201
    • /
    • 2013
  • 한산거제만 해역의 장기수질 특성을 알기 위해 1987년부터 2010년까지 만내 2개 정점에 대한 표 저층 수질에 대한 장기관측 자료를 분석하였다. 한산거제만 해역의 수질 영양수준은 중영양(Mesotrophic) 단계이고, 영양염은 대체로 하계인 8월부터 꾸준히 증가하여 갈수기인 11월에 최대 농도를 보인 후, 동계를 지나 이듬해의 춘계인 5월에 최저 농도가 되는 계절적 변동 특성을 보였다. 요인분석 결과 한산거제만은 영양염, 계절, 담수유입, 오염 및 내부생산 등의 5개 요인이 해역 수질 특성의 76.82%를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계열분석 결과 수온, DO 및 저층 DIP는 증가, pH 및 COD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N/P비를 기준으로 DIN의 변동 추세는 1990년대를 전 후하여 과잉에서 부족으로 전환되었다. 또한 한산거제만은 전형적인 폐쇄성 내만이며 대규모 양식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1987년 이후 DIP를 제외하곤 수질이 대체로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산거제만 해역의 지속적 이용과 보존을 위해서는 DIP 증가 또는 축적의 원인 파악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한산거제만의 주요 양식생물과 환경과의 상호관계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넙치 자어 사육에 있어서 먹이 종류에 따라 고밀도로 배양한 rotifer의 먹이효율 (Dietary value of rotifer fed on the different diets in high density culture for flounder larvae, Paralichthys olivaceus)

  • 박흠기;이균우;이상민;김성구;이종화;임영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93-97
    • /
    • 2000
  • 본 연구는 먹이종류에 따라 고밀도로 배양한 rotifer를 넙치 자어에게 공급하였을 때 이들의 먹이효율을 조사하였다. Rotifer 고밀도 배양의 실험구 먹이는 18 시간 동안 담수산 Chlorella를 공급한 후 6시간 유지효모 및 $Marine\;{\alpha}$를 공급한 것과 24시간 동안 담수산 농축 Chlorella 및 해수산 농축 Chlorella를 공급한 것으로 하였다. 배양수조는 $2l$를 이용하였고 수온 $28{\circ}C$를 유지하였다. $Marine {\alpha}$와 해수산 농축 Chlorella를 공급한 실험구의 n-3 HUFA 함량이 유지효모와 담수산 농축 Chlorella를 공급한 실험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Marine\;{\alpha}$와 해수산 농축 Chlorella를 공급한 실험구가 유지효모와 담수산 농축 Chlorella를 공급한 실험구보다 넙치 자어의 성장과 생존률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Marine\;{\alpha}$로 배양된 rotifer를 섭취한 넙치 자어 자체의 지방산 중 n-3 HUFA비율이 다른 먹이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안정적 배양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실험을 통해서 rotifer 고밀도 배양시 안정적인 rotifer 성장과 rotifer의 질적 개선을 위해서는 24시간 해수산 농축 Chlorella를 공급하는 것이 효율적이며 이들을 넙치 자어에게 공급하였을 때 가장 적절한 먹이일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능성어 (Epinephelus septemfasciatus) 자어의 소화기관 구조 및 조직학적 특징 (The Structure of Digestive Tract and Histological Features of the Larvae in Sevenband Grouper, Epinephelus septemfasciatus)

  • 박종연;김나리;박재민;명정인;조재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9-18
    • /
    • 2016
  • 이 연구는 능성어 (Epinephelus septemfasciatus)의 소화관 발달과정을 형태학적과 조직학적인 방법으로 부화 후부터 60일 동안 관찰하였다. 먹이 급이는 부화 후 2일부터 20일 동안 Rotifer (Brachionus rotundiformis)와 클로렐라 (Chlorella ellipsoidea)를 급이 하였고, 20일부터 Rotifer와 brine shrimp (Artemia salina)를 급이 하였으며, 23일부터 Rotifer와 Artemia, 배합사료를 급이 하였다. 자치어 10마리를 임의로 선택하여 10% 중성포르말린에 고정한 후 형태학적 관찰과 파라핀포매법에 의한 조직학적인 관찰을 하였다. 능성어의 RLG는 평균 0.87으로 육식성어류의 특성을 보여주었다. 부화 직후의 자어는 입과 항문은 열려있지 않았고, 소화관은 난황을 따라 일직선상으로 관찰되었다. 부화 후 5일째 후기 자어는 입과 항문이 열리면서 첫 섭식 활동이 관찰되었고, 부화 후 8일째 변태가 시작되었다. 부화 후 11일째 후기 자어 식도는 네 개의 층이 구분 되었으며, 식도와 중장, 직장에서는 배상세포가 관찰되었다. 부화 후 19일째 후기 자어는 공식이 시작되었으며, 그로인해 개체의 성장차이가 관찰되었다. 위는 내부가 팽창되면서 분문위, 위체부 및 유문위의 구분이 가능해졌고, 유문수가 분화되었으며, 장 전체에서는 배상세포를 관찰할 수 있었다. 부화 후 28일째 위내부에 위선이 분화되었다. 부화 후 38일째 후기 자어는 위에서 위액이 분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유문수에 점막주름이 확인되었다. 부화 후 38일째에서 치어기로 이행하는 시기 동안 위 내강은 넓어지고, 위선의 숫자와 장내점액세포, 점막주름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거나 길어졌으나 조직화학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형태학적 및 조직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능성어의 소화관 분화 및 발달에 관한 정보를 얻고자 하였으며, 초기 종묘생산과정에서 적절한 먹이투여시기를 확립함으로써 성장 및 생존율 향상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Methodologies for the Determination of Endogenous Phosphorus Losses in Growing Pigs

  • Alves, Debora Aline;da Rocha, Leonardo Tombesi;dos Santos Camargo, Claudiele Aparecida;Figueiredo, Andriele Medianeira;Ceron, Marcos Speroni;Lucca, Walter;Zanella, Irineo;de Oliveira, Vladimir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11호
    • /
    • pp.1632-1638
    • /
    • 2016
  • A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ndogenous basal losses of phosphorus (EBLP) in pigs fed diets containing gelatin (GEL) or spray-dried porcine plasma (SDPP) as protein sources and to determine the standardized total tract digestibility (STTD) of phosphorus (P) in SDPP. The trial was carried out at the Federal University of Santa Maria, Brazil. Twelve castrated pigs with an initial body weight of 55 kg were individually allotted in metabolic crates during two 12-day periods, each with 7 days of adaptation and 5 days of total fecal collection.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collecting periods we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arker-to-marker approach, using ferric oxide as an indigestible marker. Pigs were submitted to four semi-purified diets, one being a P-free diet with 30% of GEL as the protein source and three were diets with 10%, 20%, and 30% inclusion of SDPP respectively. Data were subjected to analysis of variance and the model included the effects of period, animal and treatments; the results of the three diets with increased levels of SDPP were subjected to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intercept of the relation of between ingested P and absorbed P represented the EBLP, while the slope indicated the STTD of P in SDPP. The EBLP means obtained by P-free diet and regression method were compared with the Student t test. The EBLP were 128.95 mg/kg dry matter intake (DMI) and 153.63 mg/kg DMI (standard error = 77.0; p<0.06) using the P-free diet with GEL as the protein source and the regression method, obtained with diets containing increased levels of SDPP, respectively. The apparent digestibility of P was 87.9%, 94.2%, and 92.9% for the treatments containing 10%, 20%, and 30% inclusion of SDPP, respectively. The estimated STTD of P obtained with the linear regression was 97.4%. When the EBLP estimated by the P-free diet was used to corrected the apparent digestibility of P in diets containing SDPP, the STTD of P in SDPP was 96.9%, 98.8%, and 95.9% for 10%, 20%, and 30% SDPP, respectively.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SDPP can replace GEL to estimate the endogenous losses of P. In addition, the STTD of P in SDPP estimated with the P-free diet was 97.2% and it was 97.4% by the regression method, utilizing SDPP.

Comparison of Carcass Characteristics, Meat Quality, and Blood Parameters of Slow and Fast Grown Female Broiler Chickens Raised in Organic or Conventional Production System

  • Comert, Muazzez;Sayan, Yilmaz;Kirkpinar, Figen;Hakan Bayraktar, O.;Mert, Seli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7호
    • /
    • pp.987-997
    • /
    • 2016
  •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compare the carcass characteristics, meat quality, and blood parameters of slow and fast grown female broiler chickens fed in organic or conventional production system. The two genotypes tested were medium slow-growing chickens (SG, Hubbard Red JA) and commercial fast-growing chickens (FG, Ross 308). Both genotypes (each represented by 400 chickens) were divided into two sub-groups fed either organic (O) or conventional (C) systems. Chickens of each genotype and system were raised in a semi environmentally controlled poultry house until 21 d of age and were assigned to 5 pens of 40 chickens each. Then, O system chickens were transferred into an open-side poultry house with an outdoor run. At 81 d of age, 10 female chickens from each genotype and from each production system (n = 40) were randomly chosen to provide material for analysis, and were weighed and brought to the slaughterhouse to assess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quality. The blood parameters were determined by using 5 female chickens from each genotype and from each production system (n = 20). FG had the higher live weight, along with carcass, breast, and thigh-drumstick weights compared to SG (p<0.05). FG had the higher breast yield, whereas SG had the higher thigh-drumstick yield (p<0.05). The O system resulted in a higher amount of abdominal fat (p<0.05). In addition, the O system values were higher for dry matter, crude ash, crude protein, and $pH^{15}$ values in breast meat, and for crude ash, crude protein, and $pH^{15}$ values in drumstick meat (p<0.05). In addition, total saturated fatty acids, total mono-unsaturated fatty acids, and total omega 3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 system than in the C system. Thus, the O system showed a positive advantage compared to the C system regarding female chicken meat quality, primarily within the ash, protein, and total omega 3 fatty acid profiles.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indicated that the main factor affecting the carcass characteristics of female chickens was genotype, whereas the organic system contributed to enhanced meat quality. These findings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elative roles of genotype and production systems in female broiler characteristics, and might aid producers in designing their facilities to optimize yield and quality while maintaining acceptable animal welfare standards.

수도 품종변천에 따른 유용형질의 특성변이에 관한 연구 (Studies on Agronomical Characteristics of Rice Varieties Recommended during 1910-1980 in Korea)

  • 홍성호;이은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2-40
    • /
    • 1983
  • 우리나라 수도 품종의 시대적 변천에 따른 그들 품종의 생육형질 및 수량구성형질들의 변이를 조사비교하여 앞으로 품종육성 및 재배기술 발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연대별 주요품종을 5개씩 25개 품종을 공시하여 5대 품종군, 즉 ${circled1}$1907년대의 재래품종들을 GI군, ${circled2}$ 1920년대의 도입품종들을 GII군 ${circled3}$ 1930년대에 육성 보급된 품종들을 GIII군, ${circled4}$ 1950년대에 육성 보급된 품종들을 GIV군, ${circled5}$ 1971년 통일품종 육성이후에 육성된 품종들을 GV군으로 구분하여 이앙시기를 5월 15일, 5월 30일, 6월 14일 및 6월 29일의 4회로 하여 시험조사 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PDF

벼 육묘상자 깔판종류가 묘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fferent Bottom Seats in Seed Tray on Seedling Growth of Rice)

  • 정병원;손재근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9권
    • /
    • pp.23-29
    • /
    • 2001
  • 벼 자동화 육묘시설에서 무상토 육묘 개발의 가능성올 제시하고자 깔판 종류에 따른 모의 생육특성과 생산비 절감효과에 대해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깔판종류에 따른 10일묘의 초장은 처리간에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육묘일수가 증가할수록 상토를 사용한 표준구가 무상토구보다 초장이 다소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문지 5장을 깔판으로 이용하여 파종한 15일묘의 경우 표준구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물중의 경우 15일묘까지는 P.E 필름구를 제외하고 처리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파종 15일이후부터는 표준상토구, 신문지 5장, 골판지 순으로 건물중 증가 양상을 보였다. P.E 필름을 깔판으로 사용한 것에서는 다른 처리구에 비해 육묘일수 경과에 따른 건물중 증가가 크게 둔화되고 묘충실도도 가장 불량하였다. 깔판종류에 따른 매트 형성 정도는 신문지 5장과 골판지 처리구에서 가장 양호하였으며, P.E 필름에서는 거의 매트가 형성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신문지 5장을 깔판으로 이용하여 육묘하여도 시판상토를 이용한 표준구와 비슷한 건묘 육성이 가능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무상토 육묘에 소요되는 노동력과 경비를 관행중묘와 비교할 때 노동시간이 49.3%, 10a 당 묘생산비는 26.6% 절감되었다.

  • PDF

우리나라 산사태의 형태분류에 따른 사례 (Case study of landslide types in Korea)

  • 김원영;김경수;채병곤;조용찬
    • 지질공학
    • /
    • 제10권2호
    • /
    • pp.18-35
    • /
    • 2000
  •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히 발생하는 산사태는 쇄설성유동(debris flow)이며 이는 집중호우 시기인 6월-8월 사이에 대부분 발생한다. 조사통계에 의하면 2일간의 강우량이 200mm 이상일 때 발생하기 시작한다. 이들은 산사면의 노두 발달이 양호한 지역에서는 발생하지 않으면 노두가 없는 지역에서만 발생한다. 초기에는 전이형슬라이드(translational slide)로 시작되며 파괴물질이 산사면의 계곡으로 유동되면서 쇄설성유동으로 전이된다. 쇄설성유동의 원인이 되고있는 전이형 슬라이드의 발생인자는 강우와 인위적 조건을 제외하면 암석의 종류, 지형고도, 사면경사, 입도분표, 투수계수, 건조밀도, 공극율 등이다. 이들 발생인자들의 통계처리, 특히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의하여 인자들의 정량적 가중치를 구하여 산사태 발생 확률을 정량화 하였다. 암반포행(rock mass creep)은 대부분 경상계 퇴적암지역에서 발생되면 직접원인은 거의 사면 하단 부의 절토 때문이다. 전단전이는 적은 편으로 1m 내외이나 포행암반의 규모가 크기 때문에 매우 위험하다. 칠곡, 부산 황룡산 터널입구, 사천 산사태 등이 이 범주에 속한다. 포행의 원인이 되는 상부 전단대는 대부분 주변에 발달되어있는 단층이나 대규모 전달절리와 연과되어 있어 사면설계 조사시 지질구조에 주의를 요한다. 회전형 슬라이드(rotational slide)는 토양층이 두껍거나 기반암이 심히 풍화된 연약층에서 발생하여 이들도 흔히 사면 하단부의 절토와 연관되어있다. 이 산사태는 원호 또는 반원호형으? 진행되는 특징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제 3기 응회암 지역이 취약하다. 이는 화산재와 화산쇄설 물질이 흔재된 제3기 응회암의 절리가 매우 잘 발달되어있어 팽윤과 흡수율이 높고 이로 인하여 심부까지 풍화에 취약하기 때문으로 경주 산사태와 포함-구릉포간 국도면의 산사태가 이 종류의 산사태에 속한다.

  • PDF

건식공법을 이용한 건축물의 외벽 화재 확산의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Fire Spreading External Wall of Buildings Using Dry Construction Method)

  • 박정우;조남욱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4호
    • /
    • pp.75-85
    • /
    • 2018
  • 2016년 6월 영국 그렌펠 타워 화재는 외단열에 의한 수직화재확산으로 인한 대표적인 피해사례이다. 외단열 공법에서 많이 사용되는 유기단열재는 단열성능이 좋은 반면 화재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 알루미늄 복합패널을 외벽 마감재로 사용하는 외단열 공법에서 알루미늄 내부에 사용되는 플라스틱은 수직 화재확산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알루미늄복합패널을 외벽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철재 프레임 때문에 외벽과 외벽 마감재 사이에 중공층이 형성된다. 외벽에 화재가 발생하면 가연성외벽의 연소뿐만 아니라 단열재로부터 발생된 화염이 중공층을 통해 수직으로 급격히 확산되어 인명 및 재산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국내의 경우 국토교통부고시 2015 - 744에 의한 소재단위 성능시험이 수행되고 있으며, 영국에서는 실제 규모의 화재시험으로 외벽의 수직화재확산 시간의 측정이 가능한 BS8414 시험이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국내 고시 기준으로 적합한 준불연 소재의 알루미늄복합패널을 대상으로 영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실규모 외벽화재시험(BS 8414)을 수행하여 수직화재확산에 대한 거동 관찰과 현재 마감재료의 소재단위 평가의 한계를 확인하고자 하며, 실제 규모의 화재 시험을 통한 외벽화재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시스템 도입 필요성 확인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