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mi-Honest 모델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정확성을 보장하는 결정적 Private Matching (Deterministic Private Matching with Perfect Correctness)

  • 홍정대;김진일;천정희;박근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4권10호
    • /
    • pp.502-510
    • /
    • 2007
  • Private Matching은 각기 다른 두 참여자가 가진 데이타의 교집합을 구하는 문제이다. Private matching은 보험사기 방지시스템, 항공기 탑승 금지자 목록 검색, 의료 정보 검색 등에 이용될 수 있으며 다자간의 계산으로 확장하면 전자투표, 온라인 게임 등에도 이용될 수 있다. 2004년 Freedman 등 [1]은 이 문제를 확률적으로 해결하는 프로토콜을 제안하고 악의적인 공격자 모델과 다자간 계산으로 확장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기존의 프로토콜을 결정적(deterministic) 방법으로 개선하여 Semi-Honest 모델에서 결과의 정확성을 보장하는 한편, 이를 악의적인 공격자 모델에 확장하여 신뢰도와 연산속도를 향상 시키는 새로운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정확성을 보장하는 결정적 Private Matching (Deterministic Private Matching with Perfect Correctness)

  • 홍정대;김진일;천정희;박근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6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2 (A)
    • /
    • pp.484-489
    • /
    • 2006
  • Private Matching은 각기 다른 두 참여자 (two-party)가 가진 데이터의 교집합 (intersection)을 구하는 문제이다. Private matching은 보험사기 방지시스템 (insurance fraud detection system), 의료정보 검색, 항공기 탐승 금지자 목록 (Do-not-fly list) 검색 등에 이용될 수 있으며 다자간의 계산 (multiparty computation)으로 확장하면 전자투표, 온라인 게임 등에도 이용될 수 있다. 2004년 Freedman 등은 이 문제를 확률적 (probabilistic)으로 해결하는 프로토콜 (protocol) [1]을 제안하고 악의적인 공격자 (malicious adversary) 모델과 다자간 계산으로 확장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기존의 프로토콜을 결정적 (deterministic) 방법으로 개선하여 Semi-Honest 모델에서 결과의 정확성을 보장하는 한편, 이를 악의적인 공격자 모델에 확장하여 신뢰도와 연산속도를 향상시키는 새로운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 PDF

익명성을 제공하는 공평한 그룹 복호화 기법 (A1lowing Anonymity in Fair Threshold Decryption)

  • 김진일;서정주;홍정대;박근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7권6호
    • /
    • pp.348-353
    • /
    • 2010
  • 그룹 복호화는 다수의 참여자 사이에서 수행되는 공개키 암호 시스템으로 하나의 암호문을 복호화하는데 지정된 수 이상의 참여자가 필요한 암호 시스템이다. 그룹 복호화를 실제 수행할 때에는 참여자의 공평성을 보장하기 위해 흔히 제3자를 도입하는데 이 때 제3자에 대해 필요한 신뢰의 수준 및 제3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제3자가 프로토콜을 잘 따르지만 중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델(semi-honest model)을 가정하고 이와 같은 제3자(STTP, Semi-Trusted Third Party)를 그룹 복호화 기법에 이용하여 복호화 참여자는 평문을 얻을 수 있지만 STTP는 평문을 알 수 없을 뿐 아니라 복호화 참여자의 익명성도 유지할 수 있는 그룹 복호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기존 프로토콜의 보안성, 공평성 등의 특징을 모두 유지하고 외부의 공격자가 STTP의 저장소를 볼 수 있는 경우에도 복호화 참여자를 알 수 없는 바람직한 특징을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