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men Sinapsis Albae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4초

백개자(白芥子) 피내침(皮內鍼)이 여대생의 월경곤난증(月經困難症)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emen Sinapsis Albae Pressing on Dysmenorrhea of Women`s University Students)

  • 배정심;심형화;허성웅;윤현민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2권1호
    • /
    • pp.165-176
    • /
    • 2005
  • 본 연구는 백개자 피내침(皮內鍼)이 여대생의 윌경곤란증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한의학의 경락학설(經絡學說)을 기반으로 한 단일군 전 후 실험설계(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를 이용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04년 1월부터 5월까지 이었으며, 대상자는 B시에 있는 D대학의 보건진료소에 월경곤란증으로 진통제 복용을 위해 방문하는 여대생 중 진통제를 복용하지 않고 본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하고, 현재 전신적 질환 이 없고 산부인과나 한의원 진료를 받지 않으며 피임약을 복용하지 않고 임신이 아닌 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월경곤란증에 백개자 피내침으로 류치(留置)한 결과 실험 전 총 평균 $2.11{\pm}0.66$에서 실험 후 총 평균 $0.85{\pm}0.57$로 월경곤란증이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t=12.777, p=0.000). 2. 백개자 자극과 진통제의 효과 비교에서 백개자 자극이 진통제보다 '진통효과 나타난 시간'은 빠르다가 78%, '진통효과'는 좋다가 84%, '진통효과의 지속시간'은 길다가 82%, '월경 불편감'은 덜하다가 86%로 나타났다. 3. 생리특성에 따른 월경곤란증의 차이는 초경시기에서 초등학교 군의 평균은 $1.90{\pm}0.62$, 중학교군의 평균은 $2.32{\pm}0.65$로 중학교 때 초경을 시작한 군에서 월경곤란증이 높게 나타났으며(t=-2.305, p=0.026), 월경곤란증의 형태에 따른 차이는 원발성의 평균은 $1.96{\pm}0.67$, 속 발성의 평균은 $2.60{\pm}0.33$으로 속발성 군에서 월경곤란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3.149, P=0.003). 그 외 월경주기, 월경기간, 가족력 등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삼음교, 음릉천, 신수혈의 백개자 피내침(皮內鍼)이 여대생의 월경곤란증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킴을 알 수 있고 시간과 비용 그리고 노력면에서 아주 효율적인 방법임이 확인 되었다.

  • PDF

백개자 경혈 지압이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의 피로 및 수면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emen Sinapsis Albae Acupressure on Fatigue and Sleep Related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 강미애;김영경;신정순;여형남
    • 임상간호연구
    • /
    • 제21권2호
    • /
    • pp.180-187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effects of semen sinapsis albae acupressure on fatigue and sleep among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for breast neoplasms. Methods: The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Participants were 46 hospitalized patients (23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3 in the control group) who were undergoing chemotherapy during November and December 2014. The experimental group underwent routine chemotherapy nursing care and at the same time received acupressure on the spots of Zoksamli, Samumgyo and Shinmun. The control group underwent routine chemotherapy nursing car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est and t-test with the SPSS 21.0 program. Results: The level of fatigue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lower than in the control group (t=5.82, p<.001). The level of sleep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in the control group (t=-5.16, p<.001).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 that acupressure i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decrease fatigue and increase sleep in patients with breast neoplasm undergoing chemotherap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