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 Archiving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6초

자살유족 기록작업의 방법과 의미 (The Method and Meaning of the Archiving Project of Suicide Survivors)

  • 이영남
    • 기록학연구
    • /
    • 제59호
    • /
    • pp.207-275
    • /
    • 2019
  • 서울시자살예방센터(자살유족지원팀)와 자살유족 기록작업을 같이 했다. 자살유족지원팀은 자살유족의 심리지원을 위한 자조모임을 운영하고 있었다. 자조모임은 자살유족들이 모여 앉아 대화를 나누며 고통을 나누는 자리이다. 자조모임이 어느 정도 진행되자 모임에서 리더역할을 수행하는 성원들이 생겼다. 이들이 모여서 글을 쓰는 에세이 모임을 구성했다. 아들을 먼저 보낸 아버지(2명), 딸을 먼저 보낸 엄마(2명), 아들을 먼저 보낸 엄마(1명), 남편을 먼저 보낸 아내(1명). 이렇게 6명의 사람들이었다. 에세이 모임은 사직공원 앞에 자리를 잡은 한 공간에서 매주 만났다. 한쪽 벽면 전체를 차지하는 창문으로는 저녁이 들어오고 있었다. 낮에 있었던 일들은 지는 해를 따라 갔다. 10명(에세이 모임 6명, 자살유족지원팀 3명, 임상역사가 1명)이 탁자를 가운데 두고는 빙 둘러 앉았다. "자, 이제 무엇을 해야 할까?" 자살유족 기록작업은 2013~2014년에 있었다. 교육적으로 중요하고 특수한 환자의 임상사례를 학회, 잡지에 보고하는 것을 의학에서는 증례(證例. case report)라고 한다. 자살유족들과 같이 했던 기록작업을 증례로 소개하는 형식을 취해 정리했다. 증례 형식을 취한 것은 기록을 말하기 위해서는 인간을 말해야 하고, 인간을 말하기 위해서는 기록에 대해 말해야 하는 '인간과 기록의 상관성'이 중요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자살유족 기록작업에 대한 글이 이런 상관성에 대한 논의를 하는 데에 단초가 될 수 있다고 본다. 몇 년의 시간이 지났다. 당시 상황을 기록하는 데 필요한 객관적 거리가 확보되었을까? 그건 자신할 수 없지만, 작업의 과정과 방법을 서술하면서 '일상의 기록생산'에 대해 말해본다. 나아가 기록과 기록의 의미(인간)에 관한 몇 가지 단상을 말해본다. 1장에서는 기록의 출처를 다루었다. 그것은 기록하는 사람은 누구인가, 또는 누가 기록하는가 하는 것이다. 기록이 무엇인가 보다는 기록하는 사람은 누구인가 하는 물음이 앞서야 할 것 같다. 2장은 기록하는 형식에 관한 논의로 무엇을 위해 기록하는가, 무엇을 기록화 대상으로 삼는가, 어떤 기록형식이 필요한가 하는 것을 다뤘다. 3장과 4장은 일종의 기록방법론일 수 있는데, 3장에서는 쓰기, 4장에서는 대화를 다뤘다. 5장에서는 기록을 수용하는 의례를 다뤘다. 3개월이든 1년이든 자신이 기록했던 시간을 어떻게 수용하며 그 의미는 무엇일까 하는 것이다. 6장에서는 논의의 지평을 넓혀 일상의 기록생산, 일상적 아카이브를 다뤘다.

기관 리포지터리의 검색기능 향상을 위한 인명 접근점제어 시스템 구축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a Name Access Point Control System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Information Retrieval from Institutional Repositories)

  • 김미향;김태수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25-14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셀프 아카이빙(self-archiving)을 기본으로 메타데이터가 구축되는 기관 리포지터리의 인명 검색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인명 접근점제어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도서관의 전거데이터를 활용하면서도 전거형을 인정하지 않고, 정보원에 기재된 형식을 모두 접근점으로 사용하는 그룹화 방법을 사용하고, 동명이인 처리를 위해 저작자의 주제분야와 저작정보를 확장해서 사용하는 새로운 방법을 토대로 인명 접근점제어 데이터를 구축하고 시스템에 적용하여 검색의 기능이 향상되었다. 향후 기관 리포지터리 외에 도서관이 총괄하는 모든 메타데이터의 검색 기능 향상을 위해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국내 대학 리포지터리의 세계적 영향력에 관한 연구 (Global Impact of Institutional Repositories in South Korean University)

  • 신은자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97-218
    • /
    • 2017
  • 이 연구는 국내 대학 리포지터리의 글로벌 가시성과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관련 사이트인 OpenDOAR, ROAR, RWR 등에서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 분석 결과를 기관 리포지터리의 위상을 공고히 하고 영향력 확산에 노력하는 비영어권 아시아 주요 국가와 비교함으로써 국내 대학 리포지터리의 경쟁력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세 사이트에 모두 등재되어 있는 국내 대학 리포지터리는 9개에 불과하였다. 이 가운데 RWR 세계 순위 500위 안에 든 대학은 한 곳일 정도로 국내 대학 리포지터리의 세계적인 위상은 매우 낮았다. 반면 아시아 주요국인 일본과 대만은 대학의 리포지터리 수가 각각 257개, 52개일 정도로 많아 국내 대학 리포지터리 현황과 대조적이었다. 그렇지만 이 연구는 국내 선도적인 대학 리포지터리가 최근 연구업적관리시스템과 연계하여 구성원의 샐프 아카이빙을 보다 적극적으로 수행하기 시작하였다는 점을 새롭게 확인하였다. 이는 향후 대학 리포지터리의 양적 성장을 기대할 수 있게 하는 단서라는 점에서 긍정적이었다.

A Balance of Primary and Secondary Values: Exploring a Digital Legacy

  • Cushing, Amber L.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3권2호
    • /
    • pp.67-94
    • /
    • 2013
  • This exploratory research explores the concept of a digital legacy as a general concept and as a collection of digital possessions with unique characteristics. The results reported in this article are part of a larger study. In Cushing (2013), the author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a digital possession. In this study, these characteristics of a digital possession were utilized to explore how the characteristics of several digital possessions could form a collection, or a digital legacy. In addition to being explored as a collection of digital possessions, data was collected about the general concept of a digital legacy. In part I of the study, 23 participants from three age groups were interviewed about their general concept of a digital legacy. Five general characteristics describing a digital legacy were identified. In part II of the study, interview data from Cushing (2013) was used to create statements describing digital possessions. The statements were classified utilizing the archival concept of primary and secondary values, as well as the consumer behavior concepts of self extension to possessions and possession attachment. Primary value refers to the purpose for which the item was created, while secondary value refers to an additional value that the participants can perceive the item to hold, such as a perception that an item can represent one's identity. Using standard Q method procedure, 48 participants were directed to rank their agreement with 60 statements (written on cards), along a distribution of -5 to +5,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possession they would most like to maintain for a digital legacy. The ranked statements were analyzed using Q factor analysis, in order to perceive the most common statements associated with maintaining digital possessions for a digital legacy. Q method results suggested that most individuals described the digital possessions they wanted to maintain for a digital legacy using various combinations of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primary and secondary values. This suggests that while some participants will respond to personal archiving based on the concept of preserving identity (a perceived secondary value), this will not appeal to everyone. Information professional could consider this difference in appeal when marketing personal archiving assistance to patrons.

믿을 수 있는 디지털 아카이브 인증기준: OASIS 적용사례 (Trustworthy Repositories Audit Criteria: Self-Assessment of OASIS)

  • 이소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5-25
    • /
    • 2008
  • 현대사회의 개인과 단체가 일상적으로 생산하는 다양한 디지털 객체는 현대 인류에게는 정보자산이지만 미래 인류에게는 소중한 디지털 유산이 된다. TRAC은 디지털 보존이라는 막중한 책무를 자임한 디지털 아카이브가 그 책무를 실효성 있는 방식으로 수행하고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한 도구의 하나이다. 이 논문은 TRAC과 우리 나라의 웹자원에 대한 장기적 접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국립중앙도서관의 OASIS 간의 격차를 분석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평가 결과, OASIS는 조직 및 기술인프라 측면에 비하여 장기 보존 기능을 포함한 객체관리 인프라가 취약한 상태임이 확인되었다.

국내 학술지 저작권 및 오픈액세스 정책 안내시스템 모형 연구 (A Study on A Model Sample for Guidance System for Copyright of Domestic Journals and Open Access Policy)

  • 김규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65-288
    • /
    • 2016
  • 이 연구는 국내 학술지 저작권 및 오픈액세스 정책 안내시스템 모형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먼저 국내 학술지 논문의 저작권 정책 및 오픈액세스 현황을 조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국내 학술지의 경우 33.8% 정도만이 '학술지 논문의 권리귀속 규정'을 가지고 있었고 국내 학술지 논문의 권리귀속 주체로는 학회가 28.8%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리고 국내 학술지 중 34% 정도가 구독료를 지불해야 하는 Toll access 학술지이었으며 56% 정도가 무료접근이 가능한 학술지(Open Access 학술지, Hybrid Access 학술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국외 학술지 저작권 및 오픈액세스 정책 안내 시스템 사례로써 영국의 SHERPA/RoMEO와 일본의 SCPJ를 조사 분석하여 국내 적용시 고려사항을 도출하였다. 국외 사례는 학술지 논문에 대한 저자 셀프 아카이빙 정책 정보를 주로 수집하여 안내하고 있기 때문에 국내 오픈액세스 학술지 정책 정보가 추가적으로 반영될 필요가 있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국내 학술지 저작권 및 오픈액세스 정책 안내시스템 모형의 목적과 목표, 그리고 4가지 운영단계별 기본방향성과 운영방식을 제안하였다.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 지속사용의도 연구: 기술수용모델2(TAM2)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tinuous Intention to Use of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s: Focusing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2(TAM2))

  • 윤승욱;김건;김현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0호
    • /
    • pp.383-394
    • /
    • 2021
  • 본 연구는 기술수용모델2(TAM2)를 적용하여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24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21.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상관관계분석, 경로분석 등을 실시하여 주요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를 제시하면, 사용자의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인터페이스와 상호작용성, 상대적 이점은 지각된 유용성에, 기술적 자기효능감은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 모두는 지속사용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연구의 학술적 시사점으로는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을 적용하여 기술수용모델2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실무적으로는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수용성의 지속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관련 기업이나 개발자들이 어떤 부분을 중점적으로 고려해야 하는지를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교육이나 게임분야를 적용하여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공공기금으로 작성된 논문의 오픈액세스 정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en Access Policy to Public Funded Research Articles)

  • 정경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07-227
    • /
    • 2010
  • 한국연구재단의 등재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의 약 18%가 공공기금을 지원받고 있으며, 특히 공학분야에 공공기금논문이 많았고, 다른 공공기관보다 재단의 지원을 받은 논문이 가장 많았다. 그러나 이들 공공기금 논문의 상당수가 상용DB를 통하여 유료 서비스되고 있는 반면, 기초학문자료센터나 NTIS에서 무료 원문서비스되는 경우는 극히 적었다. 국외의 연구기관 다수가 공공기금논문에 대한 오픈액세스정책을 채택하고 있는 반면 국내 공공기금 지원기관은 이러한 정책이 없었다. 본 연구는 공공기금논문이 가장 많았던 공학 및 농수해 분야와 기금지원 빈도가 가장 높았던 한국연구재단을 중심으로 오픈액세스 이해당사자들과 협의를 통한 정책개발과, 오픈액세스 정책에 규정되어야 할 세부사항을 제시하였다.

국내 학술지의 저작권 관리 특성 분석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pyright Management for Korean Journals)

  • 정경희;김규환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69-291
    • /
    • 2016
  • 본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등재지 1,890종의 저작권 관련 문서를 분석하여 국내 학술지의 저작권 관리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등재지의 32.6%가 저작권 소유에 대하여 어떠한 공지도 하고 있지 않았다. 둘째, '규정'을 통하여 공지를 하고 있는 1,141종의 학술지 중에서도 77.1%가 구체적으로 양도할 권리를 명시하지 않고 있었다. 셋째, 발행자측이 저작권을 소유하고 있는 학술지(61%) 중에서 저자에 대한 이용허락을 밝히고 있는 학술지는 매우 적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술지 발행기관이 논문의 배포 목적과 방법을 명확히 설정하고 그에 맞는 저작권 정책을 마련하여 공지해야 할 것이다.

Awareness and Perceptions of Korean Researchers on Open Access

  • Cha, Mikyeong;Pyo, Soon Hee;Kim, Hye Sun;Kim, Wan Jong;Lee, Eun Jee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10권3호
    • /
    • pp.68-82
    • /
    • 2022
  •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awareness and perceptions of Korean researchers regarding mandatory open access (OA) and OA publishing of publicly-funded research papers. In July 2019, Korean researchers who had published in Science Citation Index Expanded journals as first authors and corresponding authors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distributed via e-mail. A total of 1,172 valid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SPSS 18.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level of awareness of OA differed significantly based on occupation and research experience (p<0.001). Although 52.56% of the respondents had experienced OA publishing, only 22.35% had self-archiving experience. Regardless of the amount of publishing cost support, researchers showed a high level of willingness to publish OA articles. Yet, since the importance of impact factor was evaluated to be very high, at present OA publication might have a limited role as a publication platfo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