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ective attention

검색결과 200건 처리시간 0.023초

전산화 인지재활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주의력에 미치는 효과: 단일대상연구 (Effects of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on the Attention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 Single-Subject Study)

  • 김만제;김수경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11
    • /
    • 2023
  • 목적 :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 아동을 대상으로 전산화 인지재활이 주의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개별대상자 실험연구 방법 중 다중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총 15회기를 주 3회씩 1회기 당 30분 동안 진행하였다.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의 주의력 영역에서 유지 주의력과 선택적 주의력 검사를 매 회기가 끝난 직후에 평가하였다. 선택적 주의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사전과 사후에 별 지우기 검사(star cancellation 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 전산화 인지재활 중재 후 유지 주의력과 선택적 주의력의 검사에서 정확도는 대상자 모두 향상되었다. 2표준편차 구간을 이용한 분석방법에서 대상자 1, 2가 유의한 증진이 나타났고 대상자 3은 유의하지 않았지만 평균값이 향상되었다. 결론 :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을 사용한 인지재활은 ASD 아동의 주의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음챙김 기공이 소아청소년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ndfulness-based qigong for children's concentration ability)

  • 홍순상;조성훈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49-58
    • /
    • 2012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Mindfulness-based concentration qigong for children (MBCQ-C) in healthy children with subjective poor attention. Methods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MBCQ-C on healthy children with subjective poor attention, who vistied Korean medicine hospital neuropsychiatry outpatient clinic. The MBCQ-C was practiced with 11 participants, 2 of them quit in the middle of the program, and hence, they were excluded for data analysis. MBCQ-C consisted of 8 sessions, and each session took about 60 minutes. The outcome measurement was Frankfurter Aufmerksamkeits-Inventar (FAIR), which measured selective attention, self-control and sustained attention.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elective attention, and sustained attention were significantly improved. Self-control also improved, but without any statistical significance. These results indicate MBCQ-C was effective for the improvement of attention abilities, but self-control, including upper cognition area needs more consistent exercise. Conclusions : The MBCQ-C consisting of 8 sessions were shown to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in improving the attention abilities of healthy children with subjective poor attention.

Association of the Comprehensive Attention Test and the Korean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Fourth Edit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 Min-Su Jang;Sang-Keun Chung;Jong-Chul Yang;Jong-Il Park;Joo-Han Kwon;Tae-Won Park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4권3호
    • /
    • pp.181-187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mprehensive Attention Test, Korean-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Fourth Edition, and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Rating Scale-IV scor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DHD. Methods: Fifty-five children and adolescents diagnosed with ADHD and not taking psychiatric medications were included in this retrospective study. A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Although simple visual and auditory selective attention have diagnostic value in traditional continuous performance tests, this study revealed that inhibition-sustained attention and interference-selective attention are also effective in evaluating ADHD. Furthermor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ttention and intelligence test scores varied depending on the use of visual or auditory stimuli.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clarifying our understanding of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DHD and can be used in future research.

2007·2009 개정 초등 과학 교과서 '우리 몸의 구조와 기능' 단원의 편집디자인에 따른 초등학생들의 시각적 주의 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Visual Attention on the Editorial Design of 'Structure and Function of Our Body' in the 2007·2009 Revised Elementary Science Textbook)

  • 신원섭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6권4호
    • /
    • pp.428-438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isual atten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editorial design of the 2007 2009 revised elementary science textbook 'Structure and function of our body'. For this purpose, eye movements were collected whi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watching real textbooks wearing mobile eye tracker. The BeGaze 3.7 program of SMI company was used analyzing eye movements. Twenty-six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voluntarily in mobile tracking research. Elementary students learned the contents of textbook related to 'digestive organ' and 'respiratory organ' by using double reading learning strateg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pre- and post-knowledge tes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effect between 2007 revised and 2009 revised textbook editing design. Seco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ended to give more visual attention to text than textbook illustrations. Third, the selective attention and persistent attention of elementary students showed a very strong positive correlation (.940), but the selective attention and self-control showe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499). Fourth, students with high level of attention and low level showed high visual occupancy in text than in illustrations. Fif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eferred the 2009 revised science textbook to the 2007 revised.

백화점 공간의 유형 차이에 나타난 선택적 주의집중 특성 - 주시시간의 경과에 나타난 주시특성을 중심으로 - (Features of Selective Attention shown by Difference of Space Type in Department Stores - Focused on Observation Features Over Observation Time -)

  • 최계영;김종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145-153
    • /
    • 2015
  • For this research with the objects of spaces in two department stores which can be referred to as representative facility of commercial space, observation test has carried out to estimate how much visitors rivet their eyes to the display of shops. In addition, to find out what effect the difference among the department types has on the selective attention to space element, the observation time was applied as a medium for estimation.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 from analyzing the observation frequency and the observation intensity feature of each section where the characteristics of design could be found at attention. First, both images of A and B had concentrative dominant-observation at left shops. In case of Image A, Customers began to observe the right shops very attentively after 25 seconds, and with Image B, the attentive observation at right and left took place alternatively after 35 seconds. In other words, regardless of the characteristics of shop displays, the left shops were observed first while in case of the observation after the early and middle time-frame the characteristics of shops were found to have effects on observation. Second, the normal observation showed some difference among attention sections over time while on the whole both images of A and B had the same highly attentive observation at the middle space. Accordingly,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middle space was playing a faithful role as background for commercial spaces. Third, the ignorant observation, which is the opposite to the attentive observation, was found different between the images of A and B. When the ignorant observation is considered to have intentionality, it will be possible to set up the display which may attract the attention aggressively by the process of figuring out the characteristics of ignored shops.

선택적 주의집중 모델과 YOLO를 이용한 선행 차량 정지등 검출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Preceding Vehicle Break-Lamp Detection System using Selective Attention Model and YOLO)

  • 이우범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85-90
    • /
    • 2021
  • 운전자의 안전 운전을 위한 첨단 운전자 보조시스템(AD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은 자율주행 자동차에서 중요한 연구 분야 가운데 하나이다. 특히, 이전에 자동차에 부착된 영상센서를 기반으로 한 ADAS 소프트웨어는 구축 비용이 저렴하고 그 활용도가 우수하다. 본 논문에서는 선행차의 주행 상황을 인지할 수 있는 선행 차량 후미등(Tail-Lamp)의 정지등(Break-Lamp) 영역을 검출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주행 영상으로부터 객체 추적에 우수한 성능을 보이고 있는 YOLO 기술을 이용하여 자동차 객체를 추출하고, 추출된 자동차 관심 영역의 HSV 영상을 이용하여 정지등의 밝기 변화 영역을 검출한다. 그 다음 검출된 각 정지등 후보 고립영역을 라벨링하여 후보 영역들 간의 모양 대칭성을 인지하는 선택적 주의집중 모델(Selective Attention Model)을 적용하여 정지등 영역을 검출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의 성능 평가를 위하여 다양한 주행 영상에 적용하여 실험한 결과 ADAS에 적용 가능한 성공적인 검출 결과를 보였다.

중첩단서 및 선택적 주의가 주관적 윤곽의 발생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uperimposition Cue and Selective Attention on the Formation of Subjective Contours)

  • 정재훈;정찬섭
    • 인지과학
    • /
    • 제2권2호
    • /
    • pp.261-278
    • /
    • 1990
  • 주관적 윤곽의 발생이 상향처리 과정에만 의존하지 않고 중첩단서나 선택적 주의와 같은 인지요인에 의한 하향처리 과정에 의해 영향을 받을수 있음을 검증하기 위해 두개의 실험이 수행되었다.첫번째 실험에서는 중첩단서의 효과를 조사학 위해서 중첩되어 있는 세개의 Kanizsa 삼각형의 유도요소에 색정보를 첨가하여 발생시킨 네온색확산 현상이 사용되었다. 서로 다른 두 색으로 이루어진 Kanizsa 삼각형을 피험자에게 제시한 다므 중첩부위의 윤곽표면의 색을 측정했는데,중첩부위가 중첩하는 삼각형의 색으로 지각되는 것이 확인되었다.이런 결과는 중첩단서가 일종의 하행정보로 작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두번째 실험에서는 선택적 주의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중첩의 방향이 애매해서 관찰자의 의도에 따라 반전가능한 두개의 Kanizsa사각형을 제시하고 그 중 한 쪽의 사각형에 선택적으로 주의를 기울이도록 한 다음 중첩부위의 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중첩부위가 두 사각형 중 선택적 주의를 받은 사각형의 색으로 지각되었는데,이것은 선택적 주위와 같은 인지요인이 주관적 윤곽의 발생과정에 중요하게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주관적 윤곽의 발생이 상향처리 과정에만 의존하지 않으며,중첩단서나 선택적 주의와 같은 인지요인에 의한 하향처리 과정에 의해서도 예민하게 영향을 받을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다층 퍼셉트론에서의 빠른 화자 적응을 위한 선택적 주의 학습 (Selective Attentive Learning for Fast Speaker Adaptation in Multilayer Perceptron)

  • 김인철;진성일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8-53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에러 역전파 알고리듬에 기반한 다층 퍼셉트론의 학습 속도를 개선하기 위해 선택적 주의 학습방식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식은 학습 과정에서 세 가지 선택적 주의 기준을 적용하여 학습 데이터베이스 내의 일부 데이터만을 입력 패턴으로 사용하거나 주어진 입력 패턴에 대해 신경회로망내의 특정 영역만 선택적으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선택적 주의 기준은 다층 퍼셉트론의 출력층에서 계산된 평균 자승 에러와 은닉층의 각 노드에서 획득된 클래스 의존적인 적합도(relevance)를 이용하여 설정된다. 학습 속도의 개선은 학습 반복 횟수 당 계산량을 줄임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고립 단어 인식시스템에서의 화자 적응 문제에 대해 제안한 선택적 주의 학습방법을 적용하여 그 유효성을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로부터 제안한 선택적 주의 기법이 학습 속도를 평균 60%이상 개선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인체의 상향식 선택적 주의 집중 시각 기능을 모방한 능동 스테레오 감시 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Active Stereo Surveillance System with the Human-like Visual Selective Attention)

  • 정범수;이민호
    • 센서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44-151
    • /
    • 2004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ctive stereo surveillance system with human-like convergence function. The proposed system uses a bottom-up saliency map model with the human-like selective attention visual function to select an interesting region in each camera. and this system compares the landmarks whether the selective region in each camera finds a same region. If the left and right cameras successfully find a same landmarks, the implemented vision system focuses on the landmark. Using the motor encoder information, we can automatically obtain the depth information and resultantly construct a depth map using the depth information. Computer simulation an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convergence method is very effective to implement the active stereo surveillance system.

대상- 및 공간-기반 주의가 작업기억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bject- and Space-Based Attention on Working Memory)

  • 민윤기;김보성;정종욱
    • 인지과학
    • /
    • 제19권2호
    • /
    • pp.125-142
    • /
    • 2008
  • 본 연구는 공간-기반 주의(space-based attention)와 대상-기반 주의(object-based attention)가 공간 및 시각 작업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두 가지 주의 자원 양상이 모두 관여하는 공간 스트룹 과제를 이용하여 작업기억의 재인율을 측정하였다. 작업기억과 공간 스트룹 과제의 자극 배열의 유사성 조건은 작업기억 과제 수행 시 공간 시연에 미치는 공간-기반 주의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구성되었으며, 스트룹 조건은 작업기억 과제 수행시 대상에 대한 시연에 미치는 대상-기반 주의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공간 작업기억과 공간 스트룹 과제의 자극 배열의 유사성이 높은 조건에서 공간 작업기억의 재인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트룹 조건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시각 작업기억의 재인율은 스트룹 일치조건보다 불일치조건에서 더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사성 조건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작업기억에서 요구되는 자원의 양상과 선택적 주의 자원의 양상이 동일한 경우에만 선택적 주의가 작업기억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