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edling Period

검색결과 307건 처리시간 0.02초

우량 수박종자 생산을 위한 적정 성숙일수 및 후숙일수 확립 (Establishment of Days after Anthesis(DAA) and Fruit After-ripening Period(FAP) for High-Quality Seed Production of Watermelon)

  • 박은지;이규빈;박영길;서정민;강점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4권12호
    • /
    • pp.1681-1689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days after anthesis (DAA) and fruit after-ripening period (FAP) for seed-harvesting of high quality watermelon seeds. Fruit weight and number of seed per fruit increased according to DAA, while those did not significant about FAP. Ratio of cotyledon at whole seed was higher about 2 to 4% compared to seed coat irrespective of DAA and FAP. Germinability of watermelon was not a significant effect by DAA, however, it had differences by FAP. Percent of germination (PB) was below 50%, when 30 days maturated fruits after anthesis was omitted ripening, while PB was increased to 92% by ripening. In addition, seeds at DAA 40 and FAP 20 were higher general seedling vigors (hypocotyl length, diameter etc.) in BP test. Results indicated that considering seed productivity, it had maximized seed viability at DAA 40 and FAP 20.

Lespedeza속(屬)의 종자저장기간별(種子貯藏期間別) 발아시험(發芽試驗) (The Effect of Different Periods of Seed Storage on Germination of Genus Lespedeza)

  • 한영창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0-36
    • /
    • 1976
  • 싸리류(類)의 종자저장기간별(種子貯藏期間別) 발아촉진처리별(發芽促進處理別) 발아율(發芽率)과 발아경과일수(發芽經過日數)를 조사(調査)하였든바 종자저장기간(種子貯藏期間) 40개월(個月)은 발아율(發芽率)이 30% 내외(內外)로 저조(低調)하였고 저장기간(貯藏期間) 28개월(個月)까지는 발아력(發芽力)에 큰 지장(支障)이 없었으며 발아촉진처리방법(發芽促進處理方法)으로는 80% 농류산(濃硫酸)에 3분처리(分處理) 및 과실중(果實中) 과피제거방법(果皮除去方法)이 가장 좋았다. 이들 처리(處理)가 타처리(他處理)에 비(比)하여 일주정도(一週程度) 빨리 발아율(發芽率)이 절정(絶頂)에 도달(到達)하였으며 종자저장기간(種子貯藏期間)이 단기(短期)인 것이 장기(長期)인 것에 비(比)하여 단시일내(短時日內)에 발아율(發芽率)이 절정(絶頂)에 도달(到達)하였다.

  • PDF

영상처리를 이용한 작물의 모종시기 결정 (Determination of Transferring Period of Several Plants using Image Processing)

  • 민병로;김웅;김동우;이대원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78-184
    • /
    • 2004
  • 본 연구는 영상 처리를 이용하여 채소의 모종 시기를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즉 작물의 높이, 장변 및 단변을 영상처리를 이용해 자동으로 측정하고자 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 것이다. 각 작물 당 20개씩의 실험체를 두어반복 측정한 결과, 들깨의 경우 높이는 평균 오차 5.0mm로 평균 실측 길이 대비 1.7% 오차율, 장변은 평균 오차 4.7mm, 오차율 3.9%, 단변은 평균 오차 5.5 mm, 오차율 6.9%로 나타났다. 도라지의 경우 높이는 평균 오차 2.4 mm, 오차율 8.1%, 장변은 평균 오차 3.4 mm, 오차율 7.2%, 단변은 평균 오차 4.0 mm, 오차율 10.4%로 나타났다. 상추의 높이는 평균 오차 4.0 mm, 오차율 9.1%, 장변은 평균 오차 3.4 mm, 오차율 7.2%, 단변은 평균 오차 3.6mm, 오차율 9.4%로 나타났다. 따라서 현장 환경에 맞게 좀 더 개선된다면 사람의 시각을 이용한 작물의 생장상태 판별보다 더 정확하다고 판단된다.

메밀채소의 생산성 및 채소적 가치 (Vegetable Value and Productivity of Buckwheat Seedlings)

  • Choi, Byung-Han;Park, Keun-Yong;Park, Rae-Kyeo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86-92
    • /
    • 1992
  • 최근들어 우리나라 국민의 식품소비 형태가 점차 고급화됨에 따라 메밀의 어린 식물체와 종실은 건강 별미식품의 원료로서 수요량은 단속 증가될 전망이다. 엽채소용으로 이용되는 메밀의 어린 식물체는 30% 이상의 단백질과 500mg / 100g 이상의 Rutin과 상당한 양의 미네랄, 비타민 함유하여 단경기 재배시 녹채소의 수량은 파종량, 파종기, 재배환경 조건에 따라서 262~2,270 / 10a로 차이가 매우 컸으며 예상조수익도 52.4~183.5만원 / 10a이었다. 엽채소용 메밀의 육묘기간을 20, 25, 30일로 하였을 경우 육묘기간이 길수록 초장, 줄기의 굵기, 잎의 수와 크기가 증대되었다. 4배체품종 신주대메밀의 생체중은 2배체품종 수원재래와 신농001에 비하여 35%가 더 무거웠으며 엽육이 두껍고 잎이 커서 상품가치가 더 좋았다.

  • PDF

온도ㆍ일장 2차원 Non-Parametric 모형에 의한 건답직파재배 벼의 출아기 예측 (Application of Non-Parametric Model to Prediction of Heading Date in Direct-Seeded Rice)

  • 이변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97-106
    • /
    • 1991
  • 온도와 일장을 예측변수로 하는 2차원 non-par-ametric model을 개발하여, 건답직파재배에서 파종기 이동 및 단일처리 (26개품종, 4월 10일부터 2주 간격으로 8회 파종, 해지기 직전 1시간 차광)를 하여 얻은 자료로부터 출아에서 출수까지의 일평균발육속도(DVR)를 추정하였다. 또한 여기서 추정한 DVR을 이용 독립자료에 대하여 모델을 검증하였다. 1. 발육 예측정도는 온도와 일장에 대한 smoothing parameter λ$_{T}$ 와 λ$_{L}$에 따라서 단조적으로 변하였으며 예측정도를 가장 높게하는 λ$_{T}$ 와 λ$_{L}$이 존재하였다. 2. 최적 λ$_{T}$와 λ$_{L}$은 품종에 따라서 달랐으며 5~100,000의 범위내에 있었다 3. 최적 λ$_{T}$와 λ$_{L}$에서 구한 DVR을 이용하여 발육을 예측하는 경우 C.V는 품종에 따라 0.5-2.6% 였으며 기존의 함수모델들 보다 예측 정도가 높았다 4. DVR을 계산하는데 이용되지 않은 독립자료를 이용하여 11개 품종을 대상으로 출수기를 예측한 결과 예측오차는 0-3일로 추정 정도가 높았다.

  • PDF

기수재첩, Corbicula Japonica의 인공종묘생산 (Production of Artificial Seedling of the Brackish water Clam, Corbicula jeponica)

  • 김완기;이채성;이정용;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3-29
    • /
    • 2002
  • 기수재첩의 인공 종묘생산 기술개발의 일환으로 산란기 조사, 산란유발, 난 발생 및 유생의 발달 과정을 관찰 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기수재첩의 산란기는 7월 하순부터 9월 하순가지이며, 주 산란기는 8월 초순부터 9월 중순으로 나타났다. 산란유발은 자외선 조사 자극과 생식소절개 방법으로는 반응이 전혀 없었다. 3$\textperthousand$ 해수의 온도 자극에서는 8월하순에 90.0%, 9월에 75.0%의 높은 반응률을 보였다. NH$_4$OH용액을 3$\textperthousand$ 해수에 첨가하는 자극은 1/1000∼3/1000 N에서 15∼45%의 반응률을 보였다. 기수재첩의 수정난은 직경 86${\pm}$3 um의 구형이다. 수정난의 발생은 23.0∼24.5$^{\circ}C$에서 2시간 후 4세포기로 되고, 15시간이 지나면 담륜자 유생 (trochophore larvae),수정 후 2일째에는 D상 유생, 9일째에는 각정기로 성장하였다. 수정 16일째에는 성숙 유생으로 성장하여 저서 생활을 시작하였다.

한·중 어업자원관리제도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Fisheries Resource Management System between Korea and China)

  • 차철표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3권2호
    • /
    • pp.146-167
    • /
    • 2001
  • Korea and China are two opposite countries located aside Yellow Sea and co-utilize the East China Sea. The two countries are close together from geological point of view, however, the competitive development of resources was more emphasized than the cooperative development of resour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because the special policy relationship. Additionally, after the communist government of China was founded in 1949, the political concep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was quite different. Therefore the establishment of appropriate international fisheries co-operation was impossible, and the international management problems of fisheries resources in Yellow Sea and East China Sea were let alone. UN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came to force in 1994, Korea and China adopted the exclusive economic zone system in 1996. On the other hand, Fisheries Law in Korea was enacted in 1953 in order to management of fisheries resources, and also China was enacted fisheries law in 1986. The two countries control the fisheries effort through fisheries license system, meanwhile through prohibition fishing area, prohibition fishing period, limitation of net size, and limitation of body length to conserve and manage the fisheries resource. The serious management methods of resource management in the two countries are similar such as the creation of promptly decreased species and those species that have commercial value, discharge of fish seedling stock, settlement of artificial reef and clean of fishing ground. Therefore, the two countries should consider not only the improvement of formal law system, but also how to recover the fisheries resources in circumference water zone and how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fisheries resource management. Specially the settlement and management of artificial reef should be chosen in the area that have the highest benefit to two countries, and should establish the common management system of discharge of fish seedling stock. And the two countries should adopt the same criteria through technical management and limitation of net size, limitation of body length, and prohibition area of special fisheries to ensure the highest fisheries benefit of fisherman in the two countries and the highest efficiency of fisheries resource management.

  • PDF

Glycine betaine 엽면 처리가 토마토 유묘의 생육과 삼투조절물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liar Application of Glycine Betaine on the Growth and Contents of Osmolyte in Tomato Seedling)

  • 강남준;권준국;이재한;박진면;이한철;최영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90-395
    • /
    • 2006
  • 토마토 유묘의 생육에 미치는 glycine betaine의 엽면처리 효과를 분석한 결과, 초장이나 건물중 등의 생육이 대조구인 증류수 처리에 비해 촉진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25mM glycine betaine 처리가 가장 좋았다. 저온스트레스 하에서 삼투조절 역할을 하는 가용성 당과 proline의 축적량이 증류수 처리에 비해 glycine betaine처리에서 낮은 경향을 보여 외부에서 엽면 처리한 glycine betaine이 삼투조절 역할을 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수용성 단백질과 유리 아미노산의 축적 양상에서도 잘 반영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glycine betaine의 엽면 처리는 저온기 시설 토마토 재배 시 야간 저온장해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이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Systematic Studies of 12S Seed Storage Protein Accumulation and Degradation Patterns during Arabidopsis Seed Maturation and Early Seedling Germination Stages

  • Li, Qing;Wang, Bai-Chen;Xu, Yu;Zhu, Yu-Xian
    • BMB Reports
    • /
    • 제40권3호
    • /
    • pp.373-381
    • /
    • 2007
  • Seed storage proteins (SSPs) are important for seed germination and early seedling growth. We studied the accumulation and degradation profiles of four major Arabidopsis 12S SSPs using a 2-DE scheme combined with mass spectrometric methods. On the 2-DE map of 23 dpa (days post anthesis) siliques, 48 protein spots were identified as putative full-length or partial $\alpha$, $\delta$ subunits. Only 9 of them were found in 12 dpa siliques with none in younger than 8 dpa siliques, indicating that the accumulation of 12S SSPs started after the completion of cell elongation processes both in siliques and in developing seeds. The length and strength of transcription activity for each gene determined the final contents of respective SSP. At the beginning of imbibition, 68 SSP spots were identified while only 2 spots were found at the end of the 4 d germination period, with $\alpha$, subunits degraded more rapidly than the $\alpha$ subunits. The CRC $\delta$ subunit was found to degrade from its C-terminus with conserved sequence motifs. Our data provide an important basis for understanding the nutritional value of developing plant seeds and may serve as a useful platform for other species.

민들조개 Gomphina melanaegis 방류지역의 민들조개 개체군 분포 분석 (Analysis of Population Distribution on Stocking Area of Sandy Beach Clam, Gomphina melanaegis)

  • 이주;이채성;김수경;김완기;조규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8권10호
    • /
    • pp.1163-1170
    • /
    • 2009
  • The clam, Gomphina melanaegis, which is commonly called the sandy beach clam because of its habitat, is a valuable organism in the sandy coast of East Sea, Korea. It is frequently observed in large populations between 0.5 and 5 meters. We have released 50,000 seedling, ranging from the diameter of approximately 3 mm, 2007, and 1,000,000 seedling, ranging from the diameter of approximately 0.2 mm, plus 100,000 adult individuals, ranging from the shell length of approximately 20~40 mm, 2008 at Jinha beach. The spawning period of G. melanaegis, was from June to August, and the main spawning occurred in July. This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population distribution on the stocking area of sandy beach clam, G. melanaegis. The relationship between shell length and ring radius in each ring was investigated as a regression l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hell length and shell height of released young clam was SH=1.0105SL-4.7764 ($R^2=0.7905$).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hell length and total weight of released young clam was $TW=0.0013SL^{2.3966}$($R^2=0.71$). It draws a deduction that the ring of this clam was produced once a year during the duration between June and Augu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