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edling Growth

검색결과 1,673건 처리시간 0.026초

Phytotoxic Effects of Xanthium occidentale Extracts and Residues on Seedling Growth of Several Plant Species

  • Chon Sang-Uk
    • Plant Resources
    • /
    • 제8권2호
    • /
    • pp.116-121
    • /
    • 2005
  • Compositae plants are known to contain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that are allelopathic to agricultural crops as well as weed species. Aqueous or methanol extracts and plant residues from leaves of Xanthium occidentale were assayed against alfalfa (Medicago sativa) to determine its allelopathic effects,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tracts applied onto filter paper significantly inhibited seed germination as well as root growth of alfalfa. Aqueous leaf extracts of $40g\;L^{-1}$ were completely inhibitory on root growth of alfalfa, while root growths of barley (Hordeum vulgare L.) and soybean (Glycine max L.) were less sensitive. Leaf residue incorporation at $100g\;kg^{-1}$ into soil on seedling growth of barnyard grass (Echinochloa crus-galli Beauv. var. oryzicola Ohwi) inhibited both shoot and root fresh weights of barnyard grass by 94 and $96\%$, respectively. Methanol extracts from BuOn and EtOAc fractions of X. occidentale reduced alfalfa root growth more than did those from hexane and water fractions. The results based on bioassay of extracts and residues show that X. occidentale had potent an allelopathic activity against other plant species.

  • PDF

시비수준 및 용기용적에 따른 편백 용기묘의 생장 특성 (Growth of Containerized Chamaecyparis obtusa Seedlings as Affected by Fertilizer and Container Volume)

  • 제대영;서희영;조현서;안현철;김춘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1호
    • /
    • pp.26-34
    • /
    • 2015
  • 본 연구는 편백나무 1-0 용기묘를 대상으로 시비수준(2 g/L, 1 g/L, 대조구)과 용기용적(500 mL, 400 mL, 320 mL)에 따른 생육특성, 묘목 내 탄소 및 질소함량, 320 mL 용기용적에서 생육한 편백 2-0 용기묘의 산지 식재 후 생장상태를 조사하였다. 편백나무 용기묘의 근원경 생장량은 2 g/L 시비처리구 3.14 mm, 1 g/L 시비처리구 2.75 mm, 대조구 2.41 mm순이었으며, 묘고의 경우 1 g/L 시비처리구는 21.88 cm로, 대조구 20.92 cm나 2 g/L 시비처리구 19.06 cm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다. 용기용적의 경우 500 mL가 320 mL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근원경과 묘고 생장을 보였다. 시비 수준에 따른 묘목 건중량은 1 g/L 처리구가 $4.41g\;seedling^{-1}$로 대조구 $3.67g\;seedling^{-1}$나 2 g/L 처리구 $2.92g\;seedling^{-1}$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또한 500 mL이나 400 mL 용기용적이 320 mL 용기용적에 비해 유의적으로 묘목 건중량이 높았다. 잎 내 질소 함량은 시비처리구(2.45-2.60%)가 대조구(1.51%)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묘목 각 부위 별 탄소함량의 경우 시비처리나 용기용적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편백나무 2-0 용기묘를 산지 식재한 후 근원경과 묘고 생장을 조사한 결과 시비처리 용기묘가 대조구에 비해 생장이 양호하였다. 편백나무 용기묘 생장 및 산지 식재 후 생육특성을 고려할 때 용기묘 양성을 위한 적정시비수준은 1 g/L로 나타났다.

번종후 말면 비닐피복이 묘삼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inyl Mulching from the Sowing to Germination on the Seedbed for Production of Ginseng Seedling)

  • 이종철;안대진;하정주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9권2호
    • /
    • pp.146-153
    • /
    • 198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know the effect of vinyl mulching from the sowing to germination on the seedbed for germination and production of seedling. Embryo growth was restrained with decreasing the water content in seed and stopped below 10% water content. Germination was possible over 55% water content but radicle growth was stopped at 55% water content. Ratioes of embryo / emdosperm length were about 50% at seeding time, and about 80% at just before freeing season, and the ratio was increased from the thawing season again. Vinyl mulching increased the soil water content and soil temperature. Germination rate and number of available seedling in vinyl mulching were increased 10% and 12%, respectively.

  • PDF

지렁이 분립 배출물이 오이의 초기생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worm cast extract on the frowth of cucumber(Cucum is sativus L.cv,H.N.Semiwhite)seedling)

  • 박세진;이주삼;김명원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79-85
    • /
    • 1994
  • Worm cast is one of the effective and the least harmful organic fertilizer. The purpost of this work is to elucidate the physiological role of worm cast in the plant growth. Worm cast extract contains 17.83ppm of zinc, but either cadmium or lead were not detected in it. Cucumber (Cucumis sativus L. cv. H. N. Semiwhite) was germinated and incubated with percentage-varied extract. While 10% extract stimulated sprouting of seeds, 100% extract had no effct on it. 50% extract and 100% extract enhanced hypercotyl elongation and fresh weight most effectively. Dry matter and zinc concentration in hypercotyl were increased as percentage of extract increased. Protein con-tent was not affected by extract, 100% extract inhibits water uptake of seedling. Considering these, enhancement of seedling growth was mainly based on increment of water uptake.

  • PDF

담수 직파 벼에 있어서 Methiocarb 단제 및 Thiram 혼합제가 새 피해 경감과 모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thiocarb Singles and Mixtures on Bird-repelling and Seedling Growth in Water-seeding Rice)

  • 이철원;송범헌;정봉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78-383
    • /
    • 1997
  • 벼 품종 안중벼를 공시하고 조류 기피제인 methiocarb을 여러 가지 제형으로 제조하고, 약량을 달리하여 최아 볍씨에 처리한 후 새 피해, 초기 생육 및 약해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시험 1> Methiocarb 제형별 새 피해 경감 효과와 모의 생육 1) Methiocarb의 처리는 제형과 약량에 관계없이 새에 의한 피해가 없었으나 무처리구는 5일후에 30%, 10일 후에 85%, 15일 후에는 100%의 피해를 입었다. 2) 입모율은 처리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파종 15일 후의 초장과 잎수는 methiocarb 15g 처리구에서는 methiocarb 10g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작아서 약해가 있었다. 3) 파종 35일 후 약해에 대한 회복 상태를 보면 methiocarb+thiram 15g 처리구는 초장이 유의하게 작았으나, methiocarb FS 15g처리구 초장은 무처리구와 큰 차이가 없었다. 2. <시험 2> Methiocarb 제형의 벼 종자 분의에 의한 본답 시험 1) Methiocarb 처리구는 무처리구에 비하여 새 피해가 유의하게 경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파종 25일 후의 초장과 잎수는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파종 10일 후에는 약제 처리구는 경후한 약해가 발생하였으나 파종 20일 후에는 무처리구와 큰 차이가 없었다.

  • PDF

시설양묘과정에서 용기에 따른 편백 유묘의 생장 특성 변화 (Container Types Influence Chamaecyparis obtusa Seedling Growth During Nursery Culture)

  • 조민석;양아람;황재홍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4호
    • /
    • pp.556-563
    • /
    • 2014
  • 본 연구는 시설양묘과정에서 편백 용기묘(2-0묘) 생산을 위해 요구되는 적정 용기의 구 용적 및 생육밀도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용기 20구(400 mL/구, 150본/$m^2$), 24구(320 mL/구, 200본/$m^2$), 35구(240 mL/구, 260본/$m^2$)에서 편백의 근원경, 간장, 생체량, 뿌리밀도 및 묘목품질지수를 조사 분석하였다. 용기에 따른 근원경, 간장, 생체량, 뿌리밀도 및 묘목품질지수는 20구 용기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지만, H/D율과 T/R률은 용기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단위 면적 당 총 물질생산량은 35구에서 가장 낮았으며, 20구와 24구 용기에서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또한, H/D율과 T/R률을 제외한 근원경, 간장, 물질생산량, 뿌리밀도 및 묘목품질지수는 용기 구 용적과는 정의상관관계, 생육밀도와는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시설양묘 단계에서 편백 2-0묘는 20구(400 mL/구, 150본/$m^2$) 용기가 적정 규격으로 판단된다. 편백 2-0묘 생산을 위한 적정 용기의 선정으로 우량 묘목 생산 및 경제적 비용 절감 효과와 함께 우수한 조림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배추 종자 및 어린 싹의 성장 시기에 따른 3-butenyl isothiocyanate 및 total glucosinolates 함량 변화 (Changes in 3-Butenyl Isothiocyanate and Total Glucosinolates of Seeds and Young Seedlings during Growth of Korean Chinese Cabbages)

  • 김연경;김건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65-369
    • /
    • 2003
  • 배추의 품종별 종자 및 성장 시기에 따른 3-butenyl isothiocyanate 및 total glucosinolates를 분석하기 위하여 동풍배추(Winter Pride) 및 55일 배추(55 Days) 품종의 종자, 발아 1일, 3일, 5일, 7일 된 어린 배추를 떡잎(cotyledon), 배축(hypocotyl), 뿌리(root) 부분으로 나누고 anion-exchange column(Dowex 1${\times}$2-100)을 통과시키고 아세톤 침전법을 사용하여 제조한 crude myrosinase로 반응시켜 함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종자에서는 55일 배추의 3-butenyl isothiocyanate의 함량이 동풍 배추 종자보다 다소 높았다. 55일 배추의 3-butenyl isothiocyanate 함량은 3-day-old seedlings의 떡잎과 배축에서 가장 높았으며 동풍 배추의 떡잎에서는 3-day-old seedlings까지 함량이 증가한 후 감소하였으며 배축은 3-day-old seedlings까지 함량이 증가하였다. Total glucosinolates를 분석한 결과 종자에서는 동풍 배추보다 35일 배추의 함량이 다소 높게 조사되었으며 55일 배추의 떡잎은 3-day-old seedlings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배축 부분은 7-day-old seedlings까지 증가하였으며 뿌리 부분의 glucosinolates는 성장 기간동안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동풍 배추의 떡잎과 배축 부분은 -day-old seedlings까지 증가하다가 감소하였다.

좀향유의 삽목 증식 및 시비에 따른 유묘의 생장 효과 (Cutting Propagation and Seedling Growth Effect According to Fertilizer Application of Elsholtzia minima Nakai)

  • 김태근;김현철;송진영;이희선;고석형;이유미;송창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43-252
    • /
    • 2015
  • 본 연구는 제주특산식물인 좀향유의 현지 내・외 보존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증식체계를 마련하고 전처리제 처리에 따른 발근 특성과 시비에 따른 유묘의 생장 효과를 등을 알아보았다. 온실과 밀폐상의 온습도 조사결과 평균 온도는 비슷하였으나 공중 습도는 온실보다 밀폐상이 높은 습도를 유지하였으며, 좀향유 삽목 후 온실은 10일, 밀폐상은 7일만에 최초 발근을 확인하여 밀폐상의 빠른 발근율을 보였으며 온실과 밀폐상에서의 생존율, 발근율, 뿌리수 등은 근소하게 밀폐상이 높게 조사되어 온실보다 밀폐상이 효과적이었다. 발근억제물질 제거를 위한 전처리제 처리는 AgNO3 77.5%를 제외한 다른 처리구에서 95% 이상의 높은 발근율로 조사되어 좀향유의 경우 발근억제 물질은 적은 것으로 판단된다. 유묘의 용기별 질소 시비량 및 Osmocote 시비시험 결과 시비량과 용기의 조건에 따라 생존율과 생장 등에 차이를 보였다. 배양판에서 완효성 비료인 Osmocote를 시비한 결과 생존율, 지상부, 지하부 생장 등이 가장 양호하여 좀향유의 유묘 증식을 위해서는 Osmocote 시비가 바람직 할 것으로 판단된다.

파종기 및 육묘기간에 따른 들깨의 생육 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owing Season and Seedling Duration of Perila of Perila(Perila Frutesces BRITTON var, Japonica HARA))

  • 정찬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9-22
    • /
    • 2008
  • 들깨품종은 지방종인 충주 종을 공시하여 육묘이식에 의한 맥 후작 재배 가능성을 검토하여 얻어진 결과를 보면 맥 후작 육묘 이식 시험에 있어서는 파종기와 육묘일수에 관계없이 9월 1일부터 9월 3일 내에 모두 개화하는 단일성 작물임을 알 수 있었고, 10a당 종실수량은 5월 15일 파종에 6월 24일(40일 육묘) 이식함이 최고에 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