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curity Measure

검색결과 564건 처리시간 0.02초

Social Engineering Attack Graph for Security Risk Assessment: Social Engineering Attack Graph framework(SEAG)

  • Kim, Jun Seok;Kang, Hyunjae;Kim, Jinsoo;Kim, Huy Ka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11호
    • /
    • pp.75-84
    • /
    • 2018
  • Social engineering attack means to get information of Social engineering attack means to get information of opponent without technical attack or to induce opponent to provide information directly. In particular, social engineering does not approach opponents through technical attacks, so it is difficult to prevent all attacks with high-tech security equipment. Each company plans employee education and social training as a countermeasure to prevent social engineering. However, it is difficult for a security officer to obtain a practical education(training) effect, and it is also difficult to measure it visually. Therefore, to measure the social engineering threat, we use the results of social engineering training result to calculate the risk by system asset and propose a attack graph based probability. The security officer uses the results of social engineering training to analyze the security threats by asset and suggests a framework for quick security response. Through the framework presented in this paper, we measure the qualitative social engineering threats, collect system asset information, and calculate the asset risk to generate probability based attack graphs. As a result, the security officer can graphically monitor the degree of vulnerability of the asset's authority system, asset information and preferences along with social engineering training results. It aims to make it practical for companies to utilize as a key indicator for establishing a systematic security strategy in the enterprise.

정부의 정보 보안 대책 법제화의 사전 효과성 분석 방법 (An Ex Ante Evaluation Method for Assessing a Government Enforced Security Measure)

  • 심우현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41-256
    • /
    • 2015
  • 기업의 정보 보안을 보장하기 위해, 많은 정부가 다양한 보안 관련 대책을 의무화해오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보안 대책의 실행에 앞서, 이의 잠재적 효과성을 분석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안전벨트의 착용 법제화가 자동차 사고 사망자 감소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를 응용하여, 정부의 다양한 보안 대책의 사전 효과성 평가가 가능한 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인터넷 진흥원의 정보보호실태조사(기업편) 데이터를 개발된 모형에 적용하여 어떠한 보안대책의 법제화가 사회 및 산업 전반의 보안위험을 줄이는데 효과적인지 사전평가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보안교육의 법제화가 다른 보안대책에 비해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가계의 경제적 안정도: 단기지표와 장기지표의 비교 (Economic Security of Household: The Comparison of Short-term and Long-term Indicators)

  • 김강자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1권1호
    • /
    • pp.107-118
    • /
    • 1993
  • A dimension of well-being economic security was analyzed and compared with economic adequacy. Again it was tested whether two indicators of economic security(short-term vs. long-term) yield same distribution across all household groups. Economic Security was defined as the household ability to sustain a given level of consumption in the case of economic emergency; specifically loss of income. Measure of 8 different kinds of economic security were constructed from household net worth including and excluding home equity. Data were taken from the 1988 U.S. Consumer Expenditure Survey and 2148 households were selected to test hypotheses concerning the economic security of American households Empirical results showed a very low level of economic security in general. The first hypothesis that distribution of economic adequacy and economic security are same across all population groups was rejected. On the average security measure rather than adequacy measure was favor to white female-headed households and households who have old and highly educated house-holder. The second hypothesis that the indicators of long-term and short-term economic security yield the same results across all household was not rejected. In general the level of economic security was relatively higher when long-term indicator was used than short-term indicator was however the direction and relative size of effect of income and each control variable was almost same.

  • PDF

Enhanced Security Scheme to Support Secure and Fast ASN-anchored Mobility in Mobile WiMAX

  • Park, Chang-Seop;Kang, Hyun-Su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5권11호
    • /
    • pp.2204-2220
    • /
    • 2011
  • Without providing a proper security measure to the handover procedure in Mobile WiMAX, several security attacks can be mounted. Even though security schemes have been previously proposed for this purpose, they are still vulnerable to several security attacks due to fatal design flaws. A newly proposed security scheme in this paper is based on the framework of authentication domain and concept of handover ticket. A method of establishing security associations within the authentication domain is proposed, and a lightweight security measure to protect the management messages associated with the handover is also proposed. Especially, using the handover ticket, the new security scheme can defend against a Redirection Attack arising from a compromised base station. The new security scheme is comparatively analyzed with the previous security schemes in terms of Replay, Session Hijacking, Man-In-The-Middle, and Redirection attacks.

온라인 게임에서의 이상 징후 탐지 기법 조사 및 분류 (A survey and categorization of anomaly detection in online games)

  • 곽병일;김휘강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1097-1114
    • /
    • 2015
  • 빠르게 성장한 게임 시장의 규모에 따라 게임봇, 게임핵, 골드파밍, 사설서버, 시스템 해킹, 네트워크 해킹, 계정도용 등과 같은 게임을 이용한 여러 불법 행위가 증가해 왔다. 이러한 불법 행위를 예방 및 탐지하기 위해 게임 보안 솔루션들이 존재하지만 각 게임마다의 특징이 존재하기 때문에 부정행위로부터 보호하는 것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게임 보안은 게임의 기획과 조화되는 게임 보안 솔루션 및 탐지 방법들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온라인 게임에서의 보안 관련 연구에 대한 동향을 조사하였다. 온라인 게임에서의 부정행위를 분류하였고, 온라인 게임에서의 각 특징에 따른 부정행위 예방 및 탐지 방법을 분류하였다.

보안사고 예보시스템 (Forecast System for Security Incidents)

  • 이동근;임종인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3권6호
    • /
    • pp.69-79
    • /
    • 2016
  • 기업은 대부분의 경우 보안사고가 발생하면 내부 대응절차에 따라 신속한 사고처리에 집중하고 사고원인, 문제점 및 조치결과를 최고 경영진에게 보고하면서 사고를 마무리한다. 또한 외부에서 발생한 보안사고는 그때마다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내부와 연결하여 문제점을 발굴하고 조치를 하는 경우와 외부의 문제로 치부하며 잠시 관심정도만 가지고 넘기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기업은 보안사고 발생 시점에 관심과 역량을 집중하여 대응하는 것 뿐만 아니라 보안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지속적인 사고예방 활동을 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체계적이며 일관성 있고 시스템적인 방법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목적에서 본 논문에서는 보안사고 예보시스템을 제안한다. 보안사고 예보시스템은 기업의 내부에서 일어난 직접 보안사고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발생한 간접 보안사고로부터 향후 보안사고 예측에 도움이 되는 사고발생 유발인자들을 모아서 데이터베이스화하고 기업에서 가지고 있는 축적된 사고 경험과 대응 프로세스들을 시스템화하여 상호작용을 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보안사고 예보시스템은 잠재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사고의 예방조치활동에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USB 메모리를 위한 보안 솔루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curity Solution for USB Flash Drive)

  • 이선호;이임영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93-101
    • /
    • 2010
  • USB 메모리는 휴대성과 가격대비 고용량을 제공하는 이동형 저장매체로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고 있다. 이러한 USB 메모리의 분실 및 도난을 통하여 개인 정보 유출 사건이 증가함에 따라 보안USB 솔루션이 개발되어 사용자들에게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보안USB의 사용 불편함과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고 있어 더욱 안전하고 사용자 편의를 제공하는 보안 솔루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은 기존의 이동형 저장매체를 위한 보안 솔루션을 분석하고 더욱 안전하고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하는 보안 솔루션을 제시하고자 한다.

군보안상 해킹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acking countermeasures in Military security)

  • 김두환;박호정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133-142
    • /
    • 2017
  • 군보안상 해킹에 대응하기 위하여 군조직문화의 특성과, 군조직내 물리보안의 개념, 정보통신상의 해킹 개념을 이해하고, 군보안상 해킹사례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대응방안을 통해 군의 물리보안활동을 강화해야 한다. 군내부망에 대한 맹신에서 벗어나 H/W적인 보강방안, 군내 정보통신자산에 대한 통제방안, 국방망과 인터넷망과의 연동이 되는 접점에 대한 보안통제 강화방안, 법적인 보완장치, 군에 지원되는 외주용역업체 및 외부민간업체에 대한 인원 시설 보안측면에서의 보안관리방안 등이 요구된다. 군조직에서 해킹의 위험성과 실제 발생한 해킹사례의 분석을 통해 국방망에 대한 해킹보안을 위한 강화대책과 법규적 보완장치 및 외주용역직원 통제방안 등에 대한 정책수립이야말로 정보통신기술적인 H/W 안전장치와 연계하여 물리적인 접근차단방식 등의 적용보다도 오히려 군조직 특성에 효율적으로 기능할 수 있는 해킹 대응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Filter Method와 Classification 알고리즘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블랙컨슈머 탐지에 대한 연구 (Black Consumer Detection in E-Commerce Using Filter Method and Classification Algorithms)

  • 이태규;이경호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8권6호
    • /
    • pp.1499-1508
    • /
    • 2018
  •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전자상거래 시장이 기업들에게 고객층을 넓혀나갈 좋은 기회를 제공하고 있는 반면에 블랙컨슈머로 인한 기업들의 피해 사례 또한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전자상거래 고객 데이터를 통해 전자상거래상의 블랙컨슈머를 탐지해내는 머신 러닝 모델을 구축하고 최적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Feature selection의 filter method와 4개의 classification 알고리즘을 이용한 실험을 통해 F-measure 0.667의 정확도로 블랙컨슈머를 탐지하는 모델을 구축하였으며 F-measure에서 11.44%, AURC에서 10.51%, TPR에서 22.87%의 성능 향상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사이버 효과 지표를 활용한 사이버 전투 피해평가 시뮬레이션 도구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imulation Tool for Cyber Battle Damage Assessment Using MOCE(Measure of Cyber Effectiveness))

  • 박진호;김두회;신동일;신동규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9권2호
    • /
    • pp.465-472
    • /
    • 2019
  • 최근 몇 년 사이에 사이버 공격의 보편화로, 사이버 공간내의 공격을 사이버전이라는 일종의 전쟁으로 간주하고 있다. 그러나 사이버전은 직접적인 피해 식별이 불가하여 공격에 대한 아군의 피해 파악이 어렵다. 사이버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공격에 대한 피해를 효과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본 논문은 MOCE(Measure of Cyber Effectiveness) 산출 식을 활용하여 사이버 공격에 대한 피해를 산출할 수 있는 DEVSim++ 기반의 사이버전의 피해 평가 시뮬레이션을 제시한다. 또한 사이버 지휘 통제 단계에서 지휘관의 판단을 돕기 위해, 공격 분류별 피해 받은 개체 수를 벤 다이어그램 형태로 표현하여 결과를 직관적으로 가시화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