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curity Acceptability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19초

사용후 핵연료의 제처리와 직접 처분의 경제성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Economics of Reprocessing and Direct Disposal of Nuclear Spent Fuel)

  • 강성구;송종순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5권2호
    • /
    • pp.89-96
    • /
    • 2000
  • 원자력 정책에서 안전성과 운영실적, 환경보전, 경제성 등은 매우 중요한 인자이다. 핵주기의 선택은 에너지정책, 연료의 다양성, 공급의 안정과 관련된 모든 사회적, 환경적 영향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원전의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인 사용후 핵연료 관리는 높은 방사선준위 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관리기간이 소요되는 어려운 사업이다. 본 연구는 사용후 핵연료 관리방안인 재처리와 직접 처분의 비용분석, 안전성, 대국민 용인 측면을 살펴보았다. 직접 처분이 재처리에 비해 약 7%정도의 경제성이 있고, 직접 처분의 사용후 핵연료는 재처리폐기물보다 높은 위험도를 갖는다. 대국민 용인측면에서는 두 가지 처리방법 모두 찬성하지 않는다. 결론적으로, 사용후 핵연료관리는 모든 사회/환경적 영향과 경제성을 고려한 핵주기 정책과 병행하여 지속적인 기술개발을 통한 안전성확보가 필요하다.

  • PDF

원자력 시설 수용 선호의 이질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eterogeneous Preference of Nuclear Facility Acceptance)

  • 원두환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9권4호
    • /
    • pp.853-874
    • /
    • 2010
  • 본 연구는 국민들의 원자력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분포가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해서 설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잠재계층분석을 실행하였다. 잠재계층분석을 통해 응답자를 원자력에 대해 동일한 인식을 가진 몇 개의 집단으로 구분하고 각 집단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전국 성인남녀 1,025명을 대상으로 원자력의 청정성, 경제성, 필요성, 안정성에 관한 응답을 통해 응답자를 3개의 계층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첫 번째 계층은 응답자 분포가 가장 높은 계층으로 원자력에 관해서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지만 적극적으로 동의하지 않는 계층이다. 두 번째 계층은 전체 표본에서 1/4 정도 분포하며, 이 계층의 특징은 원자력의 청정성, 경제성, 필요성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지지하는 계층이다. 마지막 계층은 국내 경제, 에너지 여건을 감안할 때 원자력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동의하지만 청정성, 경제성, 안정성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는 계층이다. 이 결과를 통해 국민들의 85% 정도가 전반적으로 원자력을 긍정적으로 인식한다고 말할 수 있다. 원자력에 대해서 부정적 인식을 나타내는 계층은 15% 정도 있지만 이 계층도 원자력의 필요성에서는 어느 정도 공감을 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원자력 수용성 문제 해결의 시작은 원자력 시설 안전성에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과 투명한 정보 제공을 위한 노력으로 안전에 대한 우려를 감소시키는 방안 마련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산업재해 근로자의 변화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가족, 산업재해 요인 : 범이론 모형의 적용 (Individual, Family and Industrial Factors Related to Injured Workers' Motivation for Change : Application of the Transtheoretical Model)

  • 송문희;권희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258-268
    • /
    • 2017
  • 본 연구는 범이론을 적용하여 산업재해 근로자(이하 산재근로자)의 변화동기 수준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 가족, 산업재해 요인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산업재해로 요양 치료를 받고 있는 305명의 근로자로부터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재근로자의 변화동기 수준은 초이론 모형에서 대부분 전숙고, 숙고 단계에 머물러 있었다. 둘째, 산재근로자의 변화동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개인 요인은 심리안정성, 장애수용도, 독립성이었고, 가족 요인은 가족의 지지도였으며, 산재 관련 요인은 주관적 재해상태, 재해 당시 직업, 직업 복귀 상태였다. 이러한 결과는 산재근로자의 재활을 위해 개인의 심리와 가족의 지지에 초점을 둔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식품자원의 활용가치 향상을 위한 가공적성 연구 (Study on Processing Properties for Improving the Utilization of Food Resources)

  • 김영붕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49권2호
    • /
    • pp.51-55
    • /
    • 2016
  • The needs to develop high value-added foods are expanding due to the trends of food market, such as importance of food security by enlarged international free trades and expanded market size for processed foods. However, our home country exhibits limit transport to development of new products and high-value added area compared to other advanced countries. For this reason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nd Institute of Planning and Evaluation for Technology have launched "High Value-Added Food Technology Development Program" for improvement of value of food resources for practical use since 2013. The program contains research to increase the values of agricultural and animal resources and the construction of database. Main research topics are studies in pretreatment techniques to improve the values of agricultural and animal resources, improvement of acceptability, and processing qualities that would be engrafted on materializaton and commercialization technologies. In addition the construction of a consolidated database regarding the research achievements is included in the program. Currently, studies in processing qualities for about 30 food materials re under progress, being suitable for materialization, for examples drying, fermentation, grinding, heat-treatment, and so on. The research results are provided in public through the consolidated database website after reconstruction in the form of united database format. To date the database containing the about 300 of research contents for process qualities has been constructed.

The Color-Developing Methods for Cultivated Meat and Meat Analogues: A Mini-Review

  • Ermie Jr Mariano;Da Young Lee;Seung Hyeon Yun;Juhyun Lee;Yeongwoo Choi;Jinmo Park;Dahee Han;Jin Soo Kim;Sun Jin Hur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356-371
    • /
    • 2024
  • Novel meat-inspired products, such as cell-cultivated meat and meat analogues, embrace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food safety and security, animal welfare, and human health, but consumers are still hesitant to accept these products. The appearance of food is often the most persuasive determinant of purchasing decisions for food. Producing cultivated meat and meat analogue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to conventional meat could lead to increased acceptability, marketability, and profitability. Color is one of the sensorial characteristics that can be improved using color-inducing methods and colorants. Synthetic colorants are cheap and stable, but natural pigments are regarded as safer components for novel food production. The complexity of identifying specific colorants to imitate both raw and cooked meat color lies in the differences in ingredients and methods used to produce meat alternatives. Research devoted to improving the sensorial characteristics of meat analogues has noted various color-inducing methods (e.g., ohmic cooking and pasteurization) and additives (e.g., lactoferrin, laccase, xylose, and pectin). Additionally, considerations toward other meat components, such as fat, can aid in mimicking conventional meat appearance. For instance, the use of plant-based fat replacers and scaffolds can produce a marked sensory enhancement without compromising the sustainability of alternative meats. Moving forward, consumer-relevant sensorial characteristics, such as taste and texture, should be prioritized alongside improving the coloration of meat alternat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