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dividual, Family and Industrial Factors Related to Injured Workers' Motivation for Change : Application of the Transtheoretical Model

산업재해 근로자의 변화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가족, 산업재해 요인 : 범이론 모형의 적용

  • Received : 2016.12.14
  • Accepted : 2017.01.09
  • Published : 2017.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motivation for change of injured workers. Data from 305 injured workers were anlayzed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Factors associated with injured workers' motivation for change were: multiple psychological security, acceptability of injury, and independence at personal level, family support at family level, and perceptive severity of injury, job, and return to job.

본 연구는 범이론을 적용하여 산업재해 근로자(이하 산재근로자)의 변화동기 수준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 가족, 산업재해 요인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산업재해로 요양 치료를 받고 있는 305명의 근로자로부터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재근로자의 변화동기 수준은 초이론 모형에서 대부분 전숙고, 숙고 단계에 머물러 있었다. 둘째, 산재근로자의 변화동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개인 요인은 심리안정성, 장애수용도, 독립성이었고, 가족 요인은 가족의 지지도였으며, 산재 관련 요인은 주관적 재해상태, 재해 당시 직업, 직업 복귀 상태였다. 이러한 결과는 산재근로자의 재활을 위해 개인의 심리와 가족의 지지에 초점을 둔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용노동부 2015년 산업재해현황분석, 2016.
  2. 홍희덕, 산재보험 재활사업 문제점 및 개선방안,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홍희덕의원 국정감사 보고서, 노동건강연대, 2010.
  3. 고용노동부, 제3차 산재보험 재활사업 중기발전계획, 2011.
  4. 김미옥, 박은주, "산재근로자의 정신건강 위험군 예측 요인," 한국장애인복지학, 제22호, pp.225-248, 2013.
  5. 김지원, "산재장애인 "요양기" 재활정책이 타직복귀시 고용의 질 향상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정책학회보, 제23권, 제1호, pp.199-230, 2014.
  6. 윤조덕, 박수경, "산재장애인 삶의 질과 재활정책의 과제," 한국사회정책, 제5권, 제2호, 1998.
  7. 최윤영, "산재근로자 재활서비스 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직업재활연구, 제19집, 제1호, pp.121-142, 2009.
  8. 김윤화, 재정유형에 따른 척수손상 환자의 재활동기 비교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9. 김윤봉, "산재장애인 직업복귀 기준 정립을 위한 개념 고찰," 직업재활연구, 제19집, 제1호, pp.203-224, 2009.
  10. 김채봉, 양정희, 최보람, 한성민, "산업재해 직업복귀자의 업무수행능력 융합적 영향 요인,"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7권, 제3호, pp.149-157, 2016. https://doi.org/10.15207/JKCS.2016.7.3.149
  11. 박수경, 안치민, "산재근로자의 원직복귀 예측요인," 한국사회복지정책, 제26권, 2006.
  12. 박은주, "산재근로자의 첫 직업복귀기간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64권, 제4호, pp.359-381, 2012.
  13. 박은주, "산재근로자의 재해 이후 취업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보장연구, 제30권, 제2호, pp.191-220, 2014.
  14. 양재성, 오순복, 임성수, "산재근로자 직업복귀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 분석 -요양종결 후 장해판정자를 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 제28권, 제3호, pp.153-177.
  15. 김미옥, 김연수, 김희성, "산재장애인을 위함 임파워먼트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사회복지학, 제61권, 제4호, pp.307-332, 2009.
  16. 김선미, 김은하, "산재근로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심리사회적 요인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29권, 제4호, pp.389-411, 2015.
  17. 박수경, 김동기, "산재환자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재활복지, 제11권, 제3호, 2006.
  18. 박은정, 최경운, "인지행동이론에 근거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산재근로자의 심리적, 정신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산업교육연구, 제33호, pp.25-52, 2016.
  19. 박종균, 산재장해인의 사회심리재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20. 신지은, 박부진, "게슈탈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산재환자의 자기효능감 및 임상요인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제18권, 제5호, pp.1083-1111, 2011.
  21. 이현주, "산업재해 근로자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사회보장연구, 제22권, 제1호, pp.153-177, 2006.
  22. 고용노동부 2015년 산재보험 사업연보, 2016.
  23. 박수경, 곽지영, "산재장애인의 장애수용과 관련 요인," 재활복지, 제15권, 제4호, pp.261-281, 2011.
  24. Viets, Vanessa Lopez, Denise D. Walker, and William R. Miller. "What is motivation to change? A scientific analysis." Motivating offenders to change: A guide to enhancing engagement in therapy, pp.15-30, 2002.
  25. 신성만 외, 동기강화상담-변화준비시키기, 시그마프레스, 2007.
  26. 유채영, "문제성 음주의 의사결정균형이 변화단계에 미치는 영향,"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25권, pp.99-130, 2007.
  27. 조금이, 박현숙, "알코올의존자의 변화동기 설명 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4권, 제 11호, pp.5762-5770, 2013. https://doi.org/10.5762/KAIS.2013.14.11.5762
  28. 전영민, "알코올 의존자의 변화동기 평가 : 변화 단계척도(SOCRATES) 개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제24권, 제1호, 2005.
  29. 이규미, "상담장면에서의 변화동기,"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2권, 제2호, pp.245-264, 2010.
  30. 구자철, 조유선, 김용화, 이남희, 길지혜, "보호관찰 가정폭력 대상자의 변화동기에 관한 연구," 보호관찰, 제16권, 제1호, pp.171-220, 2016.
  31. 김지윤, 강지언, 임무영, 금명자, "변화동기단계에 따른 알콜 중독 심각도의 차이," 재활심리연구, 제22권, 제3호, pp.429-440, 2015.
  32. 우재희, "알코올중독자의 스트레스대처방식, 사회적 지지와 변화동기의 상관관계,"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권, 제4호, pp.116-145, 2012.
  33. James O. Prochaska and Carlo C. DiClemente, "Stages of change in the modification of problem behaviors," Progress in behavior modification, Vol.28, p.183, 1992.
  34. 송미순, 김선호, "범이론모형(Transtheoretical Model) 기반의 운동행위강화 프로그램이 고혈압 노인의 혈압 및 신체활동량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2호, pp.364-377, 2011.
  35. 안옥희, 윤은자, 권성복, 정혜경, 류은정, "범이론 모형을 기초로 한 농촌지역 성인의 금연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제35권, 제7호, pp.1285-1294.
  36. 이윤희, 산재환자의 가족지지가 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동덕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37. 이진옥, 가족탄력성이 산재장애인의 장애수용도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38. 최정명, 오진주, 현혜진, 이현주, 윤순녕, "산재장애인의 특성에 따른 가족기능정도,"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14권, 제3호, pp.488-495, 2003.
  39. 탁진국 외, 산재환자 심리검사도구(척도) 개발 및 활용방안,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2010년 고용노동부 용역과제 결과보고서, 2010.
  40. 조아라, 자기초점화주의가 장애수용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41. 민병배, 남기숙, 의존적 성격장애와 회피성 성격장애, 학지사, 2008.
  42. 박수경, 산업재해장애인의 사회통합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