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condary school

검색결과 3,785건 처리시간 0.034초

거창군 중등교육세력권의 시.공간적 변화 (The Spatio-temporal Changes in the Sphere Influence of the Secondary Education in Geochang-Gun, Gyeongnam)

  • 이전;박우상;이종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656-670
    • /
    • 2006
  • 우리나라 대다수의 농촌 지역에서는 초 중등학교 학생 수 감소에 따라 교육기반이 붕괴 위기에 직면해 있으나, 경남 거창군에서는 외부에서 유입한 학생 수가 전체 고등학교 학생 수의 약 25%에 달하는 특이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거창군의 중등교육세력권은 1980년대에는 거창군의 접경지역에만 국한되었으나, 1990년대에 들어서부터 점차 전국적으로 확대되었다. 그러나 거창군의 중등교육세력권 확대는 전국적인 명문 고등학교로서의 위상을 확보한 사립 인문계 고등학교인 거창고등학교와 거창대성고등학교에 제한된 현상이라는 점에서 거창군 교육세력권은 불완전한 전국화로 특징지을 수 있다. 이러한 거창군 교육세력권의 시 공간적 변화에는 교육 정책 및 제도의 변화와 학교별 특성이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 PDF

통일대비 남북한 정보통신교육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Informatics Education for Preparing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 박정호;김영기;이태욱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57-165
    • /
    • 2007
  • 본 연구는 통일대비 정보통신교육 통합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남북한의 컴퓨터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비교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은 소학교에서는 정보통신교육이 전혀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며 중학교에서 주당 2시간씩 필수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수재학교, 제1중학교, 일반중학교 등 학교수준에 따라 교육과정에 차이가 있었고, 특히 일부 수재학교에 집중적인 교육이 실시되고 있었다. 둘째, 컴퓨터 교과서를 비교 분석한 결과 남한의 컴퓨터 교과서는 영역별로 골고루 내용이 선정되어 있었는데 북한의 경우 컴퓨터의 기초지식 및 문서작성에 대부분이 할애되어 있었으며 인터넷과 멀티미디어 등 최신의 내용이 전혀 수록되어 있지 않았다. 하지만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BASIC 프로그래밍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 활용 중심인 남한의 교육과 대조를 보였다.

  • PDF

자율주행 자동차를 이용한 중등 학생 대상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using Self-Driving Cars)

  • 류혜인;이정훈;조정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7호
    • /
    • pp.227-23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실생활의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중등 학생 대상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육의 효과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전 연구에서 개발한 K-12 대상 인공지능 교육체계를 기반으로 설계한 교육 프로그램은 실생활의 문제 중에서 최근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자율주행 자동차를 주요 주제로 선정하여 총 12차시로 구성하였다. 소프트웨어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중등 학생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하고 교육의 효과성 분석과 수업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인공지능에 대한 이해와 인공지능 효능감이 향상된 것으로 확인하였고, 수업 만족도는 교육 내용, 수업에 대한 재미, 수업의 난이도, 인공지능에 대한 흥미 등 모든 항목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등 학생 대상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Informational Leadership, Self-efficacy, Communication Ability, and Job Satisfaction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 Yu, Pyeong-su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4호
    • /
    • pp.205-212
    • /
    • 2022
  • 이 연구는 중등학교 교사의 정보화 리더십, 자기효능감, 커뮤니케이션 능력,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 관계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정보화 리더십, 자기효능감, 커뮤니케이션 능력, 직무만족 간의 구조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교사 정보화 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J-Do의 중등학교를 모집단에서 무선표집을 통해 표본을 추출하였다. 표집된 연구대상은 총 600명이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정보화 리더십, 자기효능감, 커뮤니케이션 능력, 직무만족 간에는 서로 유의한 상관이 있다. 둘째, 자기효능감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중등학교 교사의 정보화 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의미있는 매개효과를 주는 변인이다.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 Subject Matter Knowledge (SMK)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of Primary School Teachers in Classroom Teaching

  • Kwak, Youngsun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367-377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science content knowledge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hown in the primary school science classes. Through analysis of classroom teaching, explore the features and differences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cience PCK. Using open-ended interviews with the teachers and group discussions on a regular basis to analyze and compare classes of five primary school teachers, the relationship between CK and PCK. Regardless of the school level the teacher's PCK and professionalism is required with varying focus and emphasis. The features of the primary school teacher's PCK are as follows: Firstly, elementary teach secondary teach content, teachers value pedagogical knowledge (PK) content knowledge (CK). The primary school PCK requires more of understanding of students and teaching methods that to subject areas. PCK be without content knowledge, and the teacher's PCK is subject-specific In addi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PCK in the primary school science teaching, ways to set up professional exchange or collaboration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teachers, and to provide supplementary in-service training focused on content knowledge for primary school teachers.

예비 중등 교사들의 무리수에 대한 이해 (Preservice secondary matheamtics teachers' understanding of irrational numbers)

  • 이선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499-518
    • /
    • 2013
  • 학생들이 학습하는데 교사의 역할은 중요하다. 교사는 학생들에게 수학 개념을 가르치고, 학생들이 수학적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무리수 정의와 무리수 연산에 대한 예비 중등 교사들이 갖고 있는 이해는 어떠하며, 어떠한 차원으로 이해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다. 예비교사들의 무리수에 대한 이해를 분석하기 위해 Skemp(1976)의 연구와 Tirosh et al.(1998)의 연구를 참고하여 '형식적 차원', '직관적 차원', '알고리즘적 차원', '도구적 차원'으로 분석틀을 구성하였다. 사범대학과 교육대학원 5곳에서 65명의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무리수 정의와 연산과 관련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교사들은 무리수 정의에 대해 대체적으로 올바른 지식을 갖고 있었으나, 그러지 못한 예비교사들도 몇 명 있었다. 무리수 연산(덧셈)에 대해서 예비교사들은 많은 잘못된 이해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들은 주로 직관적 차원으로의 이해나 도구적 차원으로의 이해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 PDF

A Note on Teaching Statistics in The School Class

  • Lee, Sang-Bock;Lee, Dong-Ro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7권2호
    • /
    • pp.449-453
    • /
    • 2006
  • In teaching statistics in the secondary school, most math teachers do it and students enjoy it well before 11th grade. But, both of teachers and students feel statistics hard at 11th grade, which has been contained permutations, combinations, random variables, probability distributions, hypotheses and tests for normal distribution. In this study, we explore the efficient teaching methods of statistics for math teachers and also find many students enjoying it.

  • PDF

경피경간담도배액술로 치료한 외상 급성 췌장염에 의한 폐쇄 황달 (A Case of Obstructive Jaundice Secondary to Traumatic Pancreatitis Treated with 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

  • 박지숙;백종근;염정숙;박은실;서지현;임재영;박찬후;우향옥;윤희상;신태범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3권2호
    • /
    • pp.204-209
    • /
    • 2010
  • 소아에서 외상 급성 췌장염은 드물기는 하지만 주로 자전거 손잡이에 의한 복부 둔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치료는 손상의 정도에 따라 개별화되며, 저자들에 따라 치료 방법에 차이를 보이지만 대부분 췌장 도관의 손상과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외상 급성 췌장염의 합병증으로 췌장 거짓낭이 주로 발생하지만 저자들은 췌장염의 보존적 치료 경과 중 원위부 총담관의 협착과 담즙찌꺼기에 의한 담도 폐쇄를 경험하였고 경피경간담도 배액술로 성공적으로 치료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초중등 과학교사들의 과학연구윤리교육에 대한 인식 (The Perceptions of Science Teachers Regarding Science Research Ethics Education)

  • 김성덕;김효남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2권4호
    • /
    • pp.393-403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school teachers in science research ethics and perception of science research ethics education. A survey was administered for this study and a total 167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studying in K University graduate school participated. The survey was organized to examine participants' 1) science research ethics awareness, 2) status of science research ethics education, and 3) needs for science research ethics education, and 4) the perception of the direction of the science research ethics education in school. Each item was responded using either 1 to 5 Likert type scale, multiple choices questionnair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both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showed above average interest in science research ethics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nterest than elementary school teachers(p<0.05). In degree of awareness of science research ethics, plagiarism (M=3.98) was the highest, followed by free-riding(M=3.78), the scientist's social responsibility(M=3.71), and forge(M=3.61). In response science research ethics problem occurs in science education activities more than the average(M=3.39). Teacher's response on the teaching of science research ethics ranges from 3.02 to 4.47, but each science research ethics elements was showed a large deviatio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responded that science research ethics education needed(M=4.34). Science research ethics education should be included in the school curriculum. Eighty-five percent of the teachers responded that the science research ethics education should be started from elementary school. 'Discussion-type classes with examples' was preferred as an effective teaching. And teachers needed 'instructional materials' and 'teachers training' for science research ethics education.

과학 학습시 중.고등학생들이 선호하는 동기 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ferable Motivation Types in Science Learning of the Secondary School Students)

  • 김정석;권혜련;장남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77-485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eferable motivation types in science-learning an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ypes and scientific achievement of students in the secondary school.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e second grade 581 students sampled by random cluster sampling method in three middle schools and three high schools. Three motivation types in science learning were analyzed, and they were named to task-orientation, ego-orientation and work-avoidance. From our results, secondary school students preferred task-orientation and work-avoidance to ego-orientation. In the case of task-orientation, high school students, especially in male group, had much preferable tendency than that of middle school students (p<0.001). It is interpreted that, as the level of scientific content of texts or the cognitive level of students were higher, a preference for the motivation type was focused to the task-orientation, especially in male group. In the case of ego-orientation, the female group showed much preferable tendency than that of male group in middle school (p<0.05). However, the female group in high school students was not different from the other groups in this motivation type. In the case of work-avoidance, there were not only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s and females in the middle school (p<0.001), but also difference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female group (p<0.05). It showed that female group had much preferable tendency than that of male group, and this tendency was decreased to the higher grade students in secondary school. From the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motivation types and scientific achievement, task-orientation and work-avoidance were correlated to the scientific achievement. Its results were interpreted that the scientific achievement could be accomplished by the external motivation stimulus as well as the scientific content of texts. The task-orientation were comparatively correlated to the intelligence quality. It means that the students having high intelligence quality showed much preferable for the task-orient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