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soned laver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8초

배소김과 조미김의 지방질 산화 안정성에 대한 저장 조건의 영향 (Effect of Storage Conditions on the Oxidative Stability of Lipid in Roasted and Roasted-Seasoned Laver(Porphyra tenera))

  • 조길석;김준환;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902-908
    • /
    • 1995
  • 배소김과 조미김의 저장중 지방질 산화의 변질요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몇가지 광원, $a_w$, 포장 및 온도의 영향을 시험하였다. 배소김의 주요 지방산 조성은 16 : 0(14.9%) 및 20 : 5(46.4%) 이었다. 배소김과 조미김의 지방질 산화는 형광등 하에서 가장 심하였고 다음이 백열등, 암소저장 순 이었으며, 또한 지방질의 산화는 $a_w$가 증가할수록,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기체 및 광 차단 효과가 큰 포장지에 포장한 시료일수록 산화가 억제 되었다. 배소김과 조미김의 지방질 산화를 kinetics 측면에서 고찰한 결과 조미김의 지방질 산화가 배소김 보다 약 3배 빨랐으나 chlorophyll 감소량은 배소김이 조미김 보다 약간 많았다.

  • PDF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김(Pyropia sp.)스낵의 유탕공정 최적화 (Optimization of Frying Conditions of Laver Pyropia sp. Snack Using a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최기범;김동민;최윤진;김선봉;박주동;배성아;배기일;조승목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3권6호
    • /
    • pp.834-841
    • /
    • 2020
  • Laver Pyropia sp. is the most exported seafood in Korea and is one of the most consumed edible seaweeds. The export of laver has been centered on seasoned laver products; of note, laver snack products coupled with rice papers or glutinous rice paste are becoming more popular in Western countries. These laver snacks are manufactured using a deep frying process. Therefore, the frying conditions affect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fried laver snacks. In this study, we optimized the deep-frying conditions for laver snacks with gelatinized rice dough using a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The frying temperature (X1, 190-220℃) and frying time (X2, 10-30 sec)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the overall acceptance (Y1, points), hardness (Y2, N), and oil content (Y3, %). The optimal values of the frying temperature (X1) and time (X2) as per the overall acceptance (Y1) were 208℃ and 23.1 sec, respectively. The predicted overall acceptance (Y1=8.0 points), hardness (Y2=98.74N), and oil content (Y3=27.69%), were similar to the experimental values under the optimal conditions. Overall, the acceptance was inversely proportional to hardness; the decrease in hardness caused an increase in the crispiness of the laver snacks.

스피룰리나를 이용한 저염 조미김 제조 및 품질 특성 (Manufacturing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w-salt Seasoned Gim using Spirulina)

  • 김규민;이정섭;이주상;석진원;차선희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90-95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low-salt seasoned Gim (김) with new functionality to meet the diversification of the export market and consumer demand for Gim, which is one of the four major seafood products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Spirulina, a microalgae containing essential amino acids, vitamins, and minerals, is known to have antioxidant components such as phycocyanin. Therefore, to determine the suitability of spirulina as a seasoning material, we conducted seaweed. It can be used as a substitute for seasoning salt in the development of low-salt seasoned laver with enhanced functionality.

조미김의 HACCP 시스템 구축을 위한 생물학적 위해도 평가 연구 (A Study on Microbiological Risk Assessment for the HACCP System Construction of Seasoned Laver)

  • 김강열;윤성이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68-278
    • /
    • 2013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the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HACCP) system to the production of seasoned laver products. The hazard analysis examined microbial evaluations and developed a HACCP management plan through the heating process. Methods: In this study we chose three companies and performed the analysis thrice. During this study, general bacteria along with other food poisoning bacteria such as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Bacillus cereus, E.coil, O157:H7, Vibrio parahaemolyticus, were studied at varying temperatures from 100 to $300^{\circ}C$. Results: The presence of general bacteria was detected in raw laver in the samples analyzed from all the three companies, and the number ranged from $10^5-10^7$. Bacillus cereus was detected in samples from only two of the three companies analyzed. However,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E.coil, O157:H7, and Vibrio parahaemolyticus were all negative. General bacteria was reduced to $10^5$ after being subjected to temperatures of $100-250^{\circ}C$, but heating to over $270^{\circ}C$ reduced the number to below $10^3$, and the other microbes such as Bacillus cereus were not detected. Conclusions: In conclusion, the heating process ($270-280^{\circ}C$) along with RPM of 100-1200 were identified as CCP to reduce biological hazards.

중학생의 학교급식에 대한 음식기호도 - 광주ㆍ전남지역을 중심으로 - (Meal Preference on the School Food Servic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Gwangju and Chollanamdo Area)

  • 김경애;김수자;정난희;전은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44-154
    • /
    • 2003
  • A survey on meal preferences from 693 middle school students was conducted with the objective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 school food service in Gwangju and the Chollanamdo area.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and analysed with the SAS program. The most preferred rice was cooked rice; the most unusual meal preference was laver rice; and the most-liked bread was sweet red bean jam bun. The noodle of choice was Tchajangmyon, and the most-liked rice cake was reasoned bar rice cake. The highest ranted korean soups were boiled fish paste soup, kimchi stew, and short rib sour. The most preferred fried meal included fried beef with sweet and sour sauce, and favorite side-dishes were seasoning vinegar squid and kimchi. Yogurt and strawberry were the preferred desserts. A gender difference in preferred foods was seen. The males tended to favor rice with blackish bean sauce, dumpling soup, beef bean curd soup, beef soup, short rib soup, beef bone and tripe soup, hot shredded beef soup, chopped roast chicken, pork roast, roast meat, steamed pork short-ribs, fried port, fried ham, sausage, milk, and yogurt. Males were partial to staple foods and side dishes, The, females favored laver rice, seasoned bar rice cake, bean sprouts soup, fried squid ring, seasoned cucumber, seasoned bean sprouts, fried kimchi, fruits salad, corn salad and citrus fruits. Females tended to choose lighter meals. Meal preference according to residential area showed that, students in Gwangju had more preferences than students in the Chollanamdo area. Classified according to grades, third graders had the greatest meal preference.

조미김의 제조공정별 위해요소분석, 중요관리점 결정 및 한계기준 개발 (Hazard Analysis, Determination of Critical Control Points, and Establishment of Critical Limits for Seasoned Laver)

  • 강민정;이학태;김정연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1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조미김 식품제조 가공 업소에서 제조한 조미김을 대상으로 주요 원료 및 제조공정별 생물학적 위해요소분석을 실시하여 생물학적 중요관리점(CCP)을 파악하고, 이를 관리하고 모니터링하기 위한 한계기준을 설정하여 HACCP Plan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 일반세균수는 2차 가열공정 이전에서는 $10^3{\sim}10^4CFU/g$의 높은 수준으로 검출되었으나, 2차 가열 이후에서는 $1.0{\times}10CFU/g$ 미만으로 검출되었다. 조미김의 제조공정별 병원성미생물 분석결과, 모든 제조공정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로 조미김의 제조 유통시 CCP는 2차 가열 과정으로 결정되었다. 가열온도를 $170{\pm}5^{\circ}C$, $200{\pm}0.5^{\circ}C$, $230{\pm}5^{\circ}C$로 하고, 각각의 온도에서 가열시간을 $3.0{\pm}5$초, $4.0{\pm}0.5$초, $5.5{\pm}0.5$초로 실시하면서 일반세균과 병원성미생물을 시험한 결과, 2차 가열 전 병원성 미생물은 음성이었다. 일반세균은 $230{\pm}5^{\circ}C$일 때 현저히 감소되었고, 특히 가열시간을 $5.5{\pm}0.5$일 때 $1.0{\times}10CFU/g$ 이하로 나타났다. 미생물학적 위해요소를 HACCP 시스템에 적용하여 생산한 조미김의 경우 상품가치와 품질, 안전성을 확보하기에 가장 적절한 가열온도와 가열시간은 $230{\pm}5^{\circ}C$, 가열시간은 $5.5{\pm}0.5$초로 한계기준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제조공정별 위해요소분석을 활용하여 조미김의 중요관리점 및 한계기준을 설정하였고, 이를 통하여 HACCP 계획을 수립하고, 사후관리 등에 활용할 수 있다.

김(Porphyra tenera)의 조리방법에 따른 아미노산, 무기질, 중금속 함량 분석 (Composition of Amino Acids, Minerals, and Heavy Metals in Differently Cooked Laver (Porphyra tenera))

  • 황은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8호
    • /
    • pp.1270-1276
    • /
    • 2013
  • 완도에서 생산된 물김(Porphyra tenera)을 가공공장에서 마른김으로 가공한 것을 직접 구입하여 구운김 및 조미김으로 조리한 후, 마른김, 구운김 및 조미김의 일반성분, 아미노산, 무기질 및 중금속 함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조리과정 중의 화학적인 성분 변화를 탐색하였다. 김의 수분함량은 조리방법 별로 각기 다르게 나타났으며, 그냥 굽거나 조미하여 굽는 과정을 거치면서 수분, 회분, 조단백질 함량이 전반적으로 감소하였다. 조지방은 마른김보다는 구운김에서 함량이 낮았으나 조미김에서는 첨가한 참기름의 영향으로 그 함량이 42.42%까지 급격히 증가하였다. 마른김에서는 taurine, alanine, glutamic acid 등 13종의 아미노산이 검출되었고 감칠맛과 단맛을 나타내는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어 김 특유의 맛과 향미에 기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김을 불에 굽거나 기름과 소금을 가미하여 굽는 과정을 거치면서 마른김에 함유되어 있던 아미노산들의 함량이 감소하거나 파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른김에는 칼륨, 인, 칼슘, 마그네슘 등의 다량 무기질과 망간, 아연, 구리, 요오드, 철, 코발트 등의 미량 무기질이 함유되어 있었다. 구운김과 조미김은 마른김에 비해 칼슘과 칼륨 함량이 낮았고 굽는 조리과정을 거치면서 무기질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으나, 건조김, 구운김 및 조미김 모두 다른 식품에 비해 무기질이 풍부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른김, 구운김 및 조미김에서의 개별 중금속 함량은 비소>카드뮴>납>수은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중금속 함량은 구운김에서의 비소 함량을 제외하고는 조리과정을 거치면서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어패류에 대해 설정된 국내 식품오염물질 기준규격에 비추어 볼 때, 본 시료에 함유된 납, 수은, 카드뮴 함량은 기준규격완도에서 생산된 물김(Porphyra tenera)을 가공공장에서 마른김으로 가공한 것을 직접 구입하여 구운김 및 조미김으로 조리한 후, 마른김, 구운김 및 조미김의 일반성분, 아미노산, 무기질 및 중금속 함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조리과정 중의 화학적인 성분 변화를 탐색하였다. 김의 수분함량은 조리방법 별로 각기 다르게 나타났으며, 그냥 굽거나 조미하여 굽는 과정을 거치면서 수분, 회분, 조단백질 함량이 전반적으로 감소하였다. 조지방은 마른김보다는 구운김에서 함량이 낮았으나 조미김에서는 첨가한 참기름의 영향으로 그 함량이 42.42%까지 급격히 증가하였다. 마른김에서는 taurine, alanine, glutamic acid 등 13종의 아미노산이 검출되었고 감칠맛과 단맛을 나타내는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어 김 특유의 맛과 향미에 기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김을 불에 굽거나 기름과 소금을 가미하여 굽는 과정을 거치면서 마른김에 함유되어 있던 아미노산들의 함량이 감소하거나 파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른김에는 칼륨, 인, 칼슘, 마그네슘 등의 다량 무기질과 망간, 아연, 구리, 요오드, 철, 코발트 등의 미량 무기질이 함유되어 있었다. 구운김과 조미김은 마른김에 비해 칼슘과 칼륨 함량이 낮았고 굽는 조리과정을 거치면서 무기질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으나, 건조김, 구운김 및 조미김 모두 다른 식품에 비해 무기질이 풍부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른김, 구운김 및 조미김에서의 개별 중금속 함량은 비소>카드뮴>납>수은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중금속 함량은 구운김에서의 비소 함량을 제외하고는 조리과정을 거치면서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어패류에 대해 설정된 국내 식품오염물질 기준규격에 비추어 볼 때, 본 시료에 함유된 납, 수은, 카드뮴 함량은 기준규격 이하로 인체에 해가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수산식품인증제도에 대한 소비자 신념이 구매의도 편향성에 미치는 영향:조미김을 사례로 (The Effects of the Consumers' Beliefs of Seafood Certifications on The Behavioral Intention Biases in Making Certified Product purchases : Focused on Seasoned Laver)

  • 박정아;장영수
    • 수산경영론집
    • /
    • 제47권3호
    • /
    • pp.71-92
    • /
    • 2016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consumer beliefs for food certifications on the behavioral intentions and the behavioral intention biases to purchase the certified seafoods by a subjective probability model which is on the basis of the mathematical probability model and the covariance model. The food certifications used on this study are 'Organic foods', 'Traceability system of food products' and. 'HACCP'. The representative foods of fishery products on this study is seasoned laver. The current study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consumers have more than two different beliefs each for all certifications which a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The beliefs of the certifications have an impact on the consumers when they consider to buy the certified seafood products. Second, consumers try to persuade by themselves to ensure that their particular belief about the certification could lead to a purchase the seafood products. Consumer beliefs of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ion" on the organic foods certification is an important factor as much as the "guarantee of food safety" belief making a positive purchasing behavior intentions(PBI) bias for the organic seafood products. Consumers also have a positive PBI bias for certified seafood products in all certifications as long as a certification is considered to "guarantee the transparency of the food distribution process" as its belief. 'Traceability system' was the only one which didn't generate a positive PBI bias from the belief of "guarantee of food safety" out of three certifications.

1700년대~1960년대 문헌에 나타난 탕평채의 문헌고찰 (Literature Review of Tangpyeongchae in Cook Books Published in 1700~1960s)

  • 이경애;김보람;김향숙;신말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27-335
    • /
    • 2012
  • 탕평채의 전통 조리법 발굴을 위해 1700년대부터 1960년대의 고문헌 및 고조리서에 수록된 탕평채의 재료, 양념, 조리방법의 변화 등을 검토하였다. 탕평채는 1700년대 말의 문헌인 "경도잡지"와 "고사십이집"에 처음 소개된 후 "임원십육지", "동국세시기", "송남잡식", "진찬의궤", "진작의궤", "명물기략", "규곤요람", "시의전서", "조선요리제법",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주부의 동무, 조선요리제법", "조선요리학", "이조궁정요리통고", "우리나라 음식 만드는 법" 등에 탕평채가 수록되었다. 조선시대 궁중 연회음식을 수록한 "진찬의궤"와 "진작의궤"에는 청포채란 명칭으로 탕평채가 소개되어 있다. 탕평채의 재료 중 묵, 고기, 미나리, 숙주나물, 달걀, 김의 사용이 보편화된 것은 1900년대 중반 이후이며, 달래, 물쑥과 같은 봄나물을 재료로 사용한 기록도 있다. 1700년대 말에는 단지 초장(간장과 초로 만듦)으로만 무쳐 먹었던 탕평채는 이후 간장, 초 뿐 아니라 고추, 후춧가루, 깨소금, 참기름, 마늘, 파, 소금, 설탕 등을 사용해서 양념하여 보다 다양한 맛을 내고자 하였다. 또한 미나리, 고춧가루, 실고추, 지단채, 통잣, 잣가루, 깨소금, 김 등을 고명으로 사용했다. 탕평채의 조리방법은 1800년대 말의 문헌부터 비교적 자세히 기술되어 있다. 1800년대 말에는 모든 재료를 함께 양념했으나, 1900년대에는 다른 재료를 먼저 양념하고 마지막에 묵을 넣고 무치는 방법도 사용했다.

1700년대~1960년대 문헌에 나타난 탕평채의 문헌고찰 (Literature Review of Tangpyeongchae in Cook Books Published in 1700~1960s)

  • 이경애;김보람;김향숙;신말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89-497
    • /
    • 2012
  • 탕평채의 전통 조리법 발굴을 위해 1700년대부터 1960년대의 고문헌 및 고조리서에 수록된 탕평채의 재료, 양념, 조리방법의 변화 등을 검토하였다. 탕평채는 1700년대 말의 문헌인"경도잡지"와 "고사십이집"에 처음 소개된 후 "임원십육지", "동국세시기", "송남잡식", "진찬의궤", "진작의궤", "명물기략", "규곤요람", "시의전서", "조선요리제법",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주부의 동무, 조선요리제법", "조선요리학", "이조궁정요리통고", "우리나라 음식 만드는 법"등에 탕평채가 수록되었다. 조선시대 궁중 연회음식을 수록한 "진찬의궤"와 "진작의궤"에는 청포채란 명칭으로 탕평채가 소개되어 있다. 탕평채의 재료 중 묵, 고기, 미나리, 숙주나물, 달걀, 김의 사용이 보편화된 것은 1900년대 중반 이후이며, 달래, 물쑥과 같은 봄나물을 재료로 사용한 기록도 있다. 1700년대 말에는 단지 초장(간장과 초로 만듦)으로만 무쳐 먹었던 탕평채는 이후 간장, 초 뿐 아니라 고추, 후춧가루, 깨소금, 참기름, 마늘, 파, 소금, 설탕 등을 사용해서 양념하여 보다 다양한 맛을 내고자 하였다. 또한 미나리, 고춧가루, 실고추, 지단채, 통잣, 잣가루, 깨소금, 김 등을 고명으로 사용했다. 탕평채의 조리방법은 1800년대 말의 문헌부터 비교적 자세히 기술되어 있다. 1800년대 말에는 모든 재료를 함께 양념했으나, 1900년대에는 다른 재료를 먼저 양념하고 마지막에 묵을 넣고 무치는 방법도 사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