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sonal effects

검색결과 598건 처리시간 0.026초

고창 개방형 조간대 표층 퇴적물의 2014년 계절 변화 (Seasonal Variation of Surface Sediments in 2014 on the Gochang Open-Coast Intertidal Flat, Southwestern Korea)

  • 강솔잎;양우헌;진재화;전승수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89-106
    • /
    • 2016
  • 고창 개방형 조간대는 황해의 동편, 한국 서남해 연안에 위치하며, 대조차, 개방형 연안, 모래 저질의 특징을 보인다. 본 연구는 고창 조간대에서 표층 퇴적물의 계절별 퇴적상 변화를 연구하였다. 2014년 2월, 5월, 8월, 11월의 사계절에 3개 측선을 따라 총 252개 지점에서 표층 퇴적물을 채취하고 분석하였다. 고창 조간대의 2014년 표층 퇴적물은 주로 세립 사질 퇴적물로 구성되며, 계절별로 겨울에 조립하고, 여름에 세립한 경향을 보였다. 연구 지역 인근의 계절별 파랑과 조위 관측 자료에 근거하여, 고창 조간대의 표층 퇴적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파랑이 조석보다 계절의 변화 효과가 큰 것으로 해석되었다. 겨울에 상대적으로 큰 파고의 파랑 영향으로 표층 퇴적물이 조립한 반면, 여름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파고의 파랑 영향으로 세립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고창 조간대의 2014년 퇴적상 공간 분포는 고조대의 계절별 편차가 저조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으며, 고조대 입도가 조립하고 분급이 불량하게 나타났다. 고조대에서 저조대 방향으로 갈수록 입도가 세립해지고 분급이 양호해지며 계절별 편차가 작아졌다.

'계절 변화'에 대한 탐구적 과학글쓰기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학습동기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cience Writing Heuristic Class on 'Seasonal Change' on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Scientific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순식;이용섭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78-289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계절변화'에 대한 탐구적 과학 글쓰기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학습동기 및 과학적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P광역시 소재 Y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집단으로 선정된 1개 학급 24명을 대상으로 '계절변화' 단원에 대한 10차시 수업을 탐구적 과학글쓰기 형식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계절변화'에 대한 탐구적 과학글쓰기 수업은 초등학생들의 과학학습동기 및 과학적 태도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이것은 학생들이 탐구한 내용을 글로 표현하는 과정에서 자신감과 흥미를 가지게 되었고 자신이 탐구한 내용을 글로 표현하고 동료들과 논의하는 과정에서 호기심과 협동성 그리고 끈기가 생겨 이것이 과학적 태도 향상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탐구적 과학글쓰기 수업에 참가한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만족도, 흥미도, 참여도 조사 결과에서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

해산패류의 계절별 표준대사에 미치는 승온 효과 -I. 순화온도의 영향- (Influence of Increased Temperature on the Standard Metabolism in the Marine Bivalves Acclimated to Seasonal Water Temperature -I. Effects of Acclimation Temperature)

  • 김경선;진평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463-468
    • /
    • 2002
  • 본 연구는 계절적으로 다른 수온에 순화되어 있는 패류에 대한 승온 효과를 분별하고 특히 시기별로 성장이 다른데 따른 승온 효과를 판별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실험 동물은 남해안 산 참굴, Crassostna gigas,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 및 진주담치, Mytilus edulis의 3종이었으며 각 계절별로 채집하여 순화되어 있는 계절 수온과 순화 온도보다 4, 7 및 $10^{\circ}C$와 3, 6 및$ 9^{\circ}C$로 승온시킨 실험 해수에서 표준산소소비량과 여수량을 측정하였다. 생활사로 보아 가을에 치패기에 있는 참굴은 $14^{\circ}C$ 순화 수온 이상의 수온상승은 오히려 생리적 저해를 주었고 순화 수온이 $7^{\circ}C$인 겨울에는$ 9^{\circ}C$의 승온도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성재에서 여름에 순화 수온 $24^{\circ}C$ 이상의 승온은 저해를 주었다. 봄에 치패기에 있는 바지락은 순화수온보다 $6^{\circ}C$의 승온도 효과가 현저하였으나 그 이상의 수온 상승은 오히려 저해를 주었고 가을과 겨울에는 순화수온보다 온도가 $9^{\circ}C$까지 승온되어도 현저히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여름에는 순화수온 $24^{\circ}C$ 이상의 승온은 현저한 저해영향을 주었다. 진주담치는 봄 치패기에 순화수온보다 $3^{\circ}C$ 승온은 매우 효과적이었으나 그 이상 수온 상승은 저해를 주었다. 여름과 가을의 순화수온보다 높은 수온상승은 영향이 경미하였으며, 겨울에는 승온되어도 별다른 승온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으로 보아 온배수의 승온 효과는 패류의 생활사 중 겨울에는 매우 효과적이었으나 치패기에 있어서는 순화 수온 보다 다소 높은 수온 상승도 오히려 저해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상관측소의 이전이 계절평균 일교차의 균질성에 미치는 영향 (The Relocation Effect of Observation Station on the Homogeneity of Seasonal Mean of Diurnal Temperature Range)

  • 김지현;서명석;홍순희
    • 대기
    • /
    • 제20권4호
    • /
    • pp.437-449
    • /
    • 2010
  • The relocation effect of observation station (REOS) on the homogeneity of seasonal mean of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 diurnal temperature range (DTR) and relative humidity (RH) was investigated using surface observation data and document file. Twelve stations were selected among the 60 stations which have been operated more than 30 years and relocated over one time. The data from Chunpungryeong station were used as a reference to separate the impacts of station relocation from the effects caused by increased green house gases, urbanization, and others. The REOS was calculated as a difference between REOS of relocated station and REOS of reference station. Although the REOS is clearly dependent on season, meteorological elements, and observing stations,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s are found in many stations, especially the environment of observing station after relocation is greatly changed. As a result, homogeneity of seasonal mean of meteorological elements, especially DTR and RH, is greatly reduc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ffect of REOS, along with the effect of urbanization, should be eliminated for the proper estimation of climate change from the analysis of long-term observation data.

Seasonal variation of assimilable organic carbon and its impact to the biostability of drinking water

  • Choi, Yonkyu;Park, Hyeon;Lee, Manho;Lee, Gun-Soo;Choi, Young-june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4권3호
    • /
    • pp.501-512
    • /
    • 2019
  • The seasonal effects on the biostability of drinking water were investigated by comparing the seasonal variation of assimilable organic carbon (AOC) in full-scale water treatment process and adsorption of AOC by three filling materials in lab-scale column test. In full-scale, pre-chlorination and ozonation significantly increase $AOC_{P17\;(Pseudomonas\;fluorescens\;P17)}$ and $AOC_{NOX\;(Aquaspirillum\;sp.\;NOX)}$, respectively. AOC formation by oxidation could increase with temperature, but the increased AOC could affect the biostability of the following processes more significantly in winter than in warm seasons due to the low biodegradation in the pipes and the processes at low temperature. $AOC_{P17}$ was mainly removed by coagulation-sedimentation process, especially in cold season. Rapid filtration could effectively remove AOC only during warm seasons by primarily biodegradation, but biological activated carbon filtration could remove AOC in all seasons by biodegradation during warm season and by adsorption and bio-regeneration during cold season. The adsorption by granular activated carbon and anthracite showed inverse relationship with water temperature. The advanced treatment can contribute to enhance the biostability in the distribution system by reducing AOC formation potential and helping to maintain stable residual chlorine after post-chlorination.

Seasonality and Long-Term Nature of Equity Markets: Empirical Evidence from India

  • SAHOO, Bibhu Prasad;GULATI, Ankita;Ul HAQ, Irfa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4호
    • /
    • pp.741-749
    • /
    • 2021
  • The research paper endeavors to investigate the presence of seasonal anomalies in the Indian equity market. It also aims to verify the notion that equity markets are for long-term investors. The study employs daily index data of Sensex, Bombay Stock Exchange, to understand its volatility for the period ranging from January 2001 to August 2020. To analyze the seasonal effects in the stock market of India, multiple regression techniques along with descriptive analysis, graphical analysis and various statistical tests are used. The study also employs the rolling returns at different time intervals in order to understand the underlying risks and volatility involved in equity returns.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reveal that daily and monthly seasonality is not present in Sensex returns i.e., investors cannot earn abnormal returns by timing their investment decisions. Hence,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is that the Indian stock market performance is random, and the returns are efficient. The other major conclusion of the research is that the equity returns are profitable in the long run providing investors a hope that they can make gains and compensate for the loss in one period by a superior performance in some other periods.

국내 수력발전댐 저수지 수질의 시공간 변화 분석 (Analysis Temporal and Spatial Changes of Water Quality in Domestic Hydropower Dam Reservoirs)

  • 박경덕;강동환;조원기;양민준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373-388
    • /
    • 2022
  • This study analyzed the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for five hydropower dam reservoirs in South Korea. Water temperature, pH, dissolved oxygen, and chlorophyll-a (Chl-a) showed high fluctuations in summer and autumn at all reservoirs, indicating the existence of seasonal effects. At all five reservoirs, the concentrations of suspended solids (SS) and total nitrogen (TN) fell under the "slightly bad" category and those of total organic carbon (TOC) fell under the "slightly good" category or higher, according to "the standard for living environment of lake water quality." Variations in the concentration ranges and degrees of change in SS, TN, and TOC among reservoirs were observed, indicating the influences of rainfall, surrounding environments, and seasonal changes. Daecheong and Namgang Dam showed high Chl-a concentrations in summer, indicating that the metabolism of microbial communities, such as algae, was active.

저수지 전기비저항 모니터링에서의 온도효과 (Temperature Effects in the Resistivity Monitoring at Embankment Dams)

  • 김은미;조인기;김기석;용환호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21권2호
    • /
    • pp.82-93
    • /
    • 2018
  • 저수지 안전진단을 위하여 수행되는 전기비저항 모니터링 자료는 대기의 온도에 영향을 받는다. 특히 국내와 같이 사계절의 온도 변화가 큰 환경에서는 지중온도 변화에 의한 전기비저항의 변화를 무시하기 어렵다. 따라서 온도효과는 전기비저항 모니터링 자료의 정밀한 해석을 어렵게 한다. 이 연구에서는 저수지에서 획득된 다점온도 모니터링 자료를 분석하여 시공간적 지중온도를 추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역산 결과 얻어진 지하 전기비저항 모델에 대하여 온도보정을 수행하였다. 온도보정 결과, 계절변화에 의한 온도 효과는 주로 상부에 국한되며, 심부에서는 무시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그러나 댐 제체의 온도 분포만을 가지고 온도 보정을 수행하면 그 효과를 완전히 제거할 수 없다.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저수지 물의 온도 변화에 의한 효과는 대기온도 변화도 함께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다시기 원격탐사자료 기반 무감독 변화탐지의 계절적 영향 제거 (Seasonal Effects Removal of Unsupervised Change Detection based Multitemporal Imagery)

  • 박홍련;최재완;오재홍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51-58
    • /
    • 2018
  • 최근, 다양한 위성센서가 개발되면서 다시기 위성영상의 취득이 용이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재난/재해, 국토모니터링 등과 같은 활용분야에 다시기 위성영상을 적용하기 위한 변화탐지 기법에 대한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특히, 빠른 시간 내에 변화지역의 추출이 가능한 무감독 변화탐지 기법의 개발과 관련된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지만, 계절적 변화 등과 같은 방사적 차이로 인해 오탐지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무감독 변화탐지 기법 중의 하나인 $S^2CVA$ 기법을 적용하여 생성한 변화방향 벡터를 이용하여 계절적 영향으로 인한 오탐지를 감소시키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동일한 계절을 가지는 RapidEye 위성영상과 다른 계절에 촬영된 RapidEye 위성 영상에 $S^2CVA$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S^2CVA$의 변화방향벡터가 계절적 영향에 따른 오탐지를 제거할 수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정량적 평가를 위해 변화탐지 결과의 ROC 곡선과 AUC 분석을 통해 기존의 방법에 비해 변화탐지 성능이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평택호에서 수환경과 식물플랑크톤의 계절적 동태 (Seasonal Dynamics of Aquatic Environment and Phytoplankton in Pyeongtaek Reservoir, Korea)

  • 신재기
    • ALGAE
    • /
    • 제18권2호
    • /
    • pp.145-156
    • /
    • 2003
  • Seasonal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major aquatic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variation of phytoplankton in Pyeongtaek Reservoir in March, June, September, and December 2000. Heavy rainfall mainly occurs from late June to mid-September, and water quality of reservoir was high in the influent zone of stream and riverine zone of reservoir. The biomass of phytoplankton was related to aquatic environmental factors. In particular, its value increased where nutrient concentration was high. Likewise, the increase of turbidity was found to have anthropogenic effects on the varying quantity of phytoplankton. The phytoplankton composition in quantitative survey identified into 43 genera and 71 species. Species numbers of Bacillariophyceae, Cyanophyceae, and Chlorophyceae accounted for 17%, 15%, and 49%, respectively, with the remainder constituting less than 3-7%. The distribution of such phyla also significantly varied according to seasons, accounting for 25%, 37%, 61%, and 14% in March, June, September, and December, respectively. Bacillariophyceae and Chlorophyceae were observed throughout the year, while Cyanophyceae proliferated in June and September. Euglenophyceae and Dinophyceae were prevalent in March and September, while Cryptophyceae occurred in March and December. The succession trend of phytoplankton showed the maximum cell density was followed by Bacillariophyceae (6.8$\times$$10^3$ cells ${\cdot}$ml)$\rightarrow$ Chlorophyceae (3.7$\times$$10^3$ cells ${\cdot}$ml)$\rightarrow$Cyanophyceae (1.3$\times$$10^4$ cells ${\cdot}$ml)$\rightarrow$Cryptophyceae (1.2$\times$$10^3$ cells ${\cdot}$ml). The cell density was the highest in the upstream. Dominant species were composed of Aulacoseira ambigua, Stephanodiscus hantzschii f. tenuis of Bacillariophyceae, Anabaena spiroides var. crassa, Microcystis aeruginosa, Oscillatoria amphibia of Cyanophyceae, Actinastrum hantzschii var. fluviatile, Pediastrum duplex var. reticulatum of Chlorophyceae, Euglena gracilis, Trachelomonas spp. of Euglenophyceae, and Chroomonas spp., Cryptomonas spp. of Cryptophyceae. As a results, seasonal variation of phytoplankton in Pyeongtaek Reservoir was evident in spite of inflow the high concentration of nutrients from watershed streams, because hydrological control and anthropogenic disturbance in reservoir were found to have major effects on the retention time of wa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