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rch Portals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18초

민간 포털의 책, 전문정보 서비스와 대학도서관 서비스 (Search Portals and Academic Libraries: An Analysis of the Book Services and Academic Information Services of Major Search Portals)

  • 박소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81-195
    • /
    • 2009
  • 국내외 검색 포털들은 검색 이외에도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책, 전문정보 서비스 분야에도 적극적으로 진출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주요 검색 포털들의 책, 전문정보 서비스를 분석, 평가하고, 국내 주요 포털들과 대학도서관과의 연계 현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포털의 책 서비스, 전문정보 서비스의 개선에 활용되고, 이용자가 우수한 책, 전문정보 서비스 선택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대학도서관 서비스의 차별화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주요 검색 포탈들의 통합 검색 서비스 비교 평가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Unified Search Services Provided by Major Korean Search Portals)

  • 박소연;이준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65-278
    • /
    • 2008
  • 국내 검색 포탈들이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들 중 가장 대중적이고 인기가 있는 서비스는 통합 검색 서비스이다. 따라서 급변하는 국내 인터넷 환경에서 검색 포탈들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우수한 통합 검색 서비스를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검색 포탈들인 네이버, 다음, 야후, 엠파스의 통합 검색 서비스를 결과의 적합도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통합 검색 서비스 평가 시 본 연구에서는 실제 이용자들이 입력한 실제 질의들을 활용하였다. 또한 질의에 대한 검색 결과에서 이용자들이 실제 조회한 문서를 기록한 클릭 로그를 참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통합 검색 서비스의 개선에 활용되고, 이용자가 우수한 통합 검색 서비스 선택 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주요 포털들의 멀티미디어 검색 서비스 비교 분석 (An Analysis of Multimedia Search Services Provided by Major Korean Search Portals)

  • 박소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95-41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검색 포털들인 네이버, 네이트, 다음, 야후, 파란, 구글에서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검색 서비스를 메타데이터, 검색 기능, 검색 방법, 부가 기능, 결과 출력 방식 등의 관점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모든 포털들이 이미지, 동영상 검색을 제공하는데 비해 음악 검색은 네이버, 네이트, 다음만이 제공하고 있었다. 또한 음악 검색보다는 이미지, 동영상 검색에서 검색 기능이나 부가 서비스의 개발이 보다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었다. 네이버, 네이트, 다음은 국외 검색 포털들이 제공하지 않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검색 기능을 개발, 제공하고 있었고, 구글은 다양한 수준의 고급 검색 기능을 제공하고 있었다. 반면, 국내 포털들은 검색 결과에서 매우 제한적인 메타데이터만 제공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포털들의 멀티미디어 검색 서비스의 개선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 포털들의 서비스 분류체계 비교 분석 (An Analysis of Service Classification Systems Provided by Major Korean Search Portals)

  • 박소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41-26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검색 포털들인 네이버, 네이트, 다음, 야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들의 분류체계를 분류체계의 일관성, 분류체계의 논리성, 인터페이스의 일관성, 카테고리명의 명확성, 카테고리 및 사이트 배열 순서, 계층 구조 설계 등의 관점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기준에 따라 조사한 결과, 동일한 포털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들이 공통점이 거의 없는 독자적인 분류체계를 구축,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포털들의 통합 분류체계 구축과 인터페이스 표준화가 요구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포털들의 분류체계의 개선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검색 포털들의 모바일 검색 기능 분석 (Analysis of Mobile Search Functions of Korean Search Portals)

  • 박소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75-19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검색 포털들인 구글 코리아, 네이버, 네이트, 다음, 야후 코리아의 모바일 검색 기능을 분석, 평가하고자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유선 검색과 차별화되는 모바일 검색 기능인 음성 검색, 음악 검색, 코드 검색, 비주얼 검색(사물 검색) 등에 초점을 맞추고, 이러한 검색 기법의 특징을 포털별로 조사하고, 검색 성능을 인식의 정확도와 인식 속도에 근거하여 비교, 평가하고자 한다. 조사 결과, 네이버와 다음이 가장 다양한 모바일 검색 기능을 제공하고 있었으며, 구글은 음성 검색만을 제공하고 있었고, 네이트와 야후는 어떠한 특화된 기능도 제공하지 않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포털의 효과적인 모바일 검색 기능의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주요 검색 포탈들의 백과사전 서비스 비교 평가 (Evaluation of the Web-Based Encyclopedia Services Provided by Major Korean Search Portals)

  • 박소연;이준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17-230
    • /
    • 2006
  • 급변하는 정보 환경에서 검색 포탈들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우수한 백과사전 서비스를 확보하여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검색 포탈들인 네이버, 다음, 야후, 엠파스의 백과사전 서비스를 결과의 적합성, 최신성, 멀티미디어 제공 측면에서 분석,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별로 세부적인 평가 항목과 평가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백과사전 서비스 평가 시 본 연구에서는 실제 이용자들이 입력한 실제 질의들을 활용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포탈별 백과사전 기능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웹 기반 백과사전 서비스의 개선에 활용되고 이용자가 우수한 웹 기반 백과사전을 선택하는데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주요 포털들의 디렉토리 서비스 비교 평가 - 컴퓨터, 인터넷 분야를 중심으로 - (Comparative Evaluation of Directory Services Provided by Major Korean Search Portals: In the Field of Computer and Internet)

  • 박소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215-234
    • /
    • 2009
  • 디렉토리 서비스는 인터넷 초창기부터 존재해 왔던 포털들의 대표적 서비스이며, 웹 상의 정보들 중 선별된 사이트들을 주제별로 조직하여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검색 포털들인 네이버, 다음, 야후, 엠파스의 디렉토리 서비스와 Open Directory를 커버리지, 카테고리 생성 기준, 사이트 선택 및 등록 기준, 계층 구조 설계, 최신성과 명확성, 카테고리 및 사이트 배열순서, 분류 체계의 관점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디렉토리 서비스의 개선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용자가 우수한 디렉토리 서비스 선택 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검색 포털들의 동영상 검색 서비스 분석 평가: 네이버와 구글을 중심으로 (Analysis and Evaluation of Video Search Services of Korean Search Portals: Naver versus Google Korea)

  • 박소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81-20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주요 검색 포털들의 동영상 검색 서비스를 분석, 평가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네이버와 구글 코리아를 대상으로 동영상의 컬렉션별 분포, 작성 연도별 분포, 중복 동영상의 비중, 광고 동영상의 비중 및 특징, 검색 결과의 화질 등을 조사하고, 동영상의 적합도, 신뢰도, 최신성을 비교, 평가였다. 또한, 동영상의 적합도,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동영상들 중 오류 동영상의 유형 및 특징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구글이 네이버보다 동영상의 적합도가 높고, 네이버가 구글보다 동영상의 최신성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영상의 화질은 구글이 네이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글과 네이버 모두 중복되는 동영상의 비중이 높은 편이었으며, 광고 동영상은 네이버에서 구글보다 더 많이 노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포털들의 동영상 검색 서비스의 개선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검색 포털들의 검색어 추천 서비스 분석 평가: 네이버와 구글의 연관 검색어 서비스를 중심으로 (Analysis and Evaluation of Term Suggestion Services of Korean Search Portals: The Case of Naver and Google Korea)

  • 박소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97-31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주요 검색 포털들의 검색어 추천 서비스를 분석, 평가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네이버와 구글 코리아를 대상으로 추천되는 연관 검색어의 적합도 및 최신성을 평가하고, 연관 검색어의 개수 및 분포, 연관 검색어가 제공되지 않는 질의의 특징을 조사하였다. 또한 연관 검색어의 유형을 질의와 연관 검색어의 관계 측면에서 분석하고, 연관 검색어들 중 유해 검색어의 유형 및 특징, 비표준어의 유형 및 특징도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글 질의와 영어 질의, 대중적인 질의와 전문적인 질의의 연관 검색어의 특징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네이버가 구글보다 연관 검색어의 적합도와 최신성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글과 네이버 모두 새로운 연관 검색어를 제시하기보다는 질의에 단어를 추가 또는 삭제하거나, 질의와 동일한 검색어나 동의어 검색어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포털들의 검색어 추천 서비스의 개선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네이버와 구글의 모바일 통합 검색 컨텐츠 평가 (Evaluation of Mobile Unified Search Contents of Naver and Google Korea)

  • 박소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63-28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검색 포털들의 전반적인 모바일 통합 검색 현황을 조사하고, 네이버와 구글의 모바일 통합 검색 컨텐츠를 분석, 평가하였다. 즉 이 연구에서는 네이버와 구글을 대상으로 검색 결과에 노출되는 문서 수, 검색 결과 문서들의 컬렉션별 분포, 작성 연도별 분포와 같은 특징을 조사하고, 문서의 적합도, 최신성, 신뢰도 등을 평가하였다. 또한 네이버의 통합웹 베스트와 통합웹, 구글의 베스트 웹문서와 웹문서의 품질을 비교하였으며, 문서의 순위와 문서의 적합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포털의 효과적인 모바일 통합 검색 서비스의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