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shells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9초

남해안 패류양식장에서 분리한 Vibrio parahaemolyticus의 병원인자 분포 및 항균제 내성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Distribution of Virulence Factors of Vibrio parahaemolyticus Isolated from Shellfish Farms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 박용수;박큰바위;권지영;유홍식;이희정;김지회;이태식;김풍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460-466
    • /
    • 2016
  • From 2013 through 2015, we investigated the contamination status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patterns of pathogenic Vibrio parahaemolyticus in commercially valuable seawater and shellfish (Oyster Crassostrea gigas, short-neck clam Venerupis philippinarum, ark shell Scapharca broughtonii and mussel Mytilus galloprovinciallis) from the southern coast of Korea. The detection rate of V. parahaemolyticus was highest in short-neck clams (23.7%), followed by ark shells (19.2%), oysters (15.9%), mussels (13.6%), and seawater (8.6%). The following percentages of PCR assays of shellfish were positive for the thermostable direct hemolysin-related hemolysin gene (trh) : oysters (12.8%), short-neck clams(11.8%), and ark shells (3.4%). Similar assays for the thermostable direct hemolysin gene (tdh) resulted in positive results for short-neck clams (5.9%) and ark shells (3.4%). Antimicrobial resistance was present in 100% of 8 tdh (+) and 2 trh (+) V. parahaemolyticus isolates challenged with ampicillin. However, all pathogenic V. parahaemolyticus were sensitive to 14 other antibiotics. To ensure the safety of shellfish consumption, the continuous monitoring of the prevalence and distribution of virulence factors of V. parahaemolyticus in shellfish farms is needed.

Bivalve Mollusks in Yeongil Bay, Korea, 1. Introductory Part and Annotated List of Species

  • Lutaenko Konstantin A.;Je, Jong-Geel;Shin, Sang-Ho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5권2호
    • /
    • pp.155-182
    • /
    • 2003
  • An annotated listing of bivalve mollusks collected at 31 sampling sites in Yeongil Bay (eastern coast of Korea) at a depth of 0-52m is presented here. A total of 98 species belonging to 75 genera and 36 families are enumerated; all species are provided with habitat data (bathymetric distribution and bottom sediments character), given separately far living and dead (empty shells) specimens, and some with taxonomic and zoogeographic comments. Fifty-six species are illustrated with photographs. Astarte hakodatensis Yokoyama, 1920 (Astartidae), Nitidotellina pallidula (Lischke 1871) (Tellinidae) and Lyonsia nuculanoformis Scarlato in Volova et Scarlato, 1980 (Lyonsiidae) are found to be new to the Korean fauna, and the genus Salaputium Iredale, 1924 (Crassatellidae) with one species Salapurium Iredale, 1924(Crassatellidae) with one species Salaputium cf. unicum Hayami and Kase, 1993, previously described as being found only from submarine caves in the Ryukyu Islands, is recorded as being found in the East Sea(Sea of Japan) for the first time.

말똥성게(Hemicentrotus pulcherrimus) 껍질 추출물의 Goto-Kakizaki 흰쥐에 대한 항당뇨 효과 (Anti-diabetic Effects of Hemicentrotus pulcherrimus Shells on Non-obese Type 2 Diabetic Goto-Kakizaki Rats)

  • 김길수;김대익;임애경;윤성란;김정옥;이기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1호
    • /
    • pp.1537-1543
    • /
    • 2011
  • 본 연구는 제2형 당뇨동물모델인 Goto-Kakizaki(GK)랫드에 대한 성게껍질의 항당뇨 효과를 조사하였다. 즉 Wistar 랫드로 구성된 정상군, GK랫드 대조군, GK랫드에 성게껍질을 각각 100 mg/kg 및 200 mg/kg 투여군으로 나누고 매일 1회씩 4주간 경구투여 하여 체중, 혈당, 혈장 인슐린 농도 및 경구당부하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게껍질을 투여한 GK랫드의 혈당은 203.8${\pm}$29.8 mg/dL에서 138.5${\pm}$21.2 mg/dL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성게껍질투여에 따른 GK랫드의 혈장 내 인슐린 농도의 변화는 없었다. 경구당부하 검사에서 성게껍질을 투여한 GK랫드는 15~120분에서 대조군보다 더 낮은 혈당으로 나타났다. 또한 췌장의 조직학적 변화는 성게껍질을 투여한 랫드에서 전체적인 췌도세포의 크기나 공포성 변화 및 선방세포의 배열 및 크기가 대조군에 비하여 정상군에 근접한 형태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게껍질은 당뇨모델인 GK 랫드의 혈당을 저하시키고 내당능이나 인슐린저항성을 개선하므로 향후 이를 활용하여 항당뇨 식품 및 원료개발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산 굴 패각의 광물학적 화학적 특성 (Minera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Oyster Shells from Korea)

  • 하수현;차민경;김강주;김석휘;김영규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49-159
    • /
    • 2017
  • $SO_2$ 가스 반응제로 사용되는 석회석의 대체 가능 물질로서 굴 패각의 광물학적 화학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생장환경에 따른 굴 패각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태안지역 및 통영지역의 굴 패각을 석회석과 비교하였고 추가로 보령 및 여수 지역의 굴 패각을 연구하였다. XRD 분석 결과 굴 패각은 아라고나이트로 구성되어 있는 폐각근 접합 부분 및 인대(ligament) 접합부분을 제외하고 방해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불순물로서 나타나는 해양 퇴적물이 패각 내 표면에 존재하거나 일부 패각 내 포유물 형태로 나타나기도 했다. 불순물 중 하나인 패각 표면의 따개비의 경우도 방해석으로 이루어져 있어 소성에 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현미경 관찰을 통하여 굴 패각의 미세구조를 파악할 수 있었다. 패각은 크게 각주층, 진주층, 초크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패각이 가장 큰 통영 굴 패각은 콘키올린(conchiolin)이라 불리는 단백질을 일부 함유하는 각주층과 진주층의 두께가 가장 작았으며 작은 크기의 태안 굴 패각의 경우 각주층과 진주층 두께가 가장 두꺼운 것으로 나타났다. 중간 크기의 패각 크기를 갖는 보령과 여수 굴 패각은 그 층들이 두 패각의 중간정도의 두께를 보여주었다. 이는 계속 바닷물 속에서 양식하는 통영과 조간대에서 공기와 바닷물 속에서 양식하는 태안의 생장 환경 차이로 판단된다. 굴 패각들은 석회석과 달리 상대적으로 높은 인과 황 함량을 보여주는데 이는 패각 내의 단백질에 의한 것이며 패각을 구성하고 있는 세 개의 층은 Mg 함량을 포함하여 일부 상이한 화학성분을 갖고 있기도 했다. 미량성분의 경우 패각의 경우 석회석 보다 Li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많았으며 이는 바닷물 성분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각 산지별 패각에서는 Zn의 함량 변화가 가장 커서 Zn의 함량은 생성환경에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 미량원소로 판단된다.

First Korean Record of Porcellanopagurus japonicus (Decapoda: Paguroidea), a Hermit Crab Living in Bivalve Shells

  • Jung, Jibom;Lee, Sang-Hui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6권4호
    • /
    • pp.391-395
    • /
    • 2020
  • This study reports the pagurid hermit crab Porcellanopagurus japonicus in Korean waters for the first time. This species has a right cheliped larger than the left one, reduced and globular abdomen, and symmetrical uropods. Porcellanopagurus japonicus is similar to P. nihonkaiensis, a previously reported congeneric species in Korea, but also has distinguished morph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s. There are currently issues with the Korean scientific name for P. japonicus, we suggest a reasonable Korean scientific name of this organism with its etymology. In addition, this species inhabits bivalve shells, which is not a typical habitat for hermit crabs, and the unique habitats of this and several other Korean hermit crabs are reviewed.

탄뎀가속기에 의한 방사성탄소 년대측정과 한국해에의 적용 (Radio-Carbon Age Determination by Tandem Accelerator Mass Spectrometry Technique and Its Application To The Korean Sea)

  • Suk, Bong-Chool;Toshio Nakamura;Nobuyuki Nakai;Asahiko Taira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7-40
    • /
    • 1990
  • 탄뎀가속기에 의한 방사성탄소 연대측정은 한국남해 및 남동해의 해저로부터 25개의 화석종 조개와 1개의 피트를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특히 AMS기술은 종래의 C-14측정방법에 비해 양적으로 수밀리그램의 원소태탄소만으로써 충분히 측정가능하다. 본고는 자체 제작한 분석라인에 의한 전처리방법 및 분석과정을 기술하고, 한국남해 및 남동해에 대한 후기경신세의 해수면변동사에 대하여 고찰한다. 측정결과년대는 -530$\pm$100년에서 3,500년 이상의 범위로 본해역의 퇴적상은 후기경신세 이후의 해수준변동에 의한 복잡한 퇴적환경을 시사한다.

  • PDF

한국 남해해역 패류군집에서 나타나는 시간평균화 현상과 최종 빙하기 이후 해수면 변동 (Post-Last Glacial Sea-Level Change and Time-Averaging appeared from the Molluscan Thanatocoenoses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 이연규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541-550
    • /
    • 2005
  • 한국 남해해역의 최종빙하기 이후 해수면변화 및 시간평균화 현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남동대륙붕 19개 정점, 서남해역 5개 정점에서 산출하는 패류유해 중 우점종 및 특징종 42개체에 대해 $^{14}C$연대측정을 행하였다. 측정결과 동일 정점 내에서 시간평균화(Time-averaging) 현상이 나타나며 최대 11,939년까지 연대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최종빙하기 이후 남해해역에서의 해수면은 약 15,000년 전 최종빙하기시 해수면이 현재 해수면보다 약 $150\~160 m$ 하강하였으며, 이후 약 9,000년까지 해수면이 약 60m로 급격히 상승하였다. 그리고 이후 약 $4,000\~5,000$년까지 수심 약 $50\~60 m$에서 안정적이었으며, $3,000\~4,000$년 사이 또 한번의 급한 해수면 상승으로 수심이 현재 해수면보다$10\~20 m$ 낮아졌으며, 이후 현재에 이르는 것으로 생각된다.

Coastal Typhoon Deposit in the Hampyung Bay, Southwest Coast of Korea

  • Park, Yong-Ah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1권1호
    • /
    • pp.32-36
    • /
    • 1996
  • The oyster shell bed (more than 47 cm thick) atop the Gaipri Point (granite coastal bluff) in the Hampyung Bay, southwest coast of Korea which is a coastal area of southeastern margin of the Yellow Sea basin has been interpreted as unique typhoon deposit formed at about 3610 yr BP or later. The unconformable boundary between the oyster shell bed by typhoon and the granitic soil horizon of the Gaipri Point is 820 cm high above the mean high-tide water level (MHWL). The $^{14}C$ age of the oyster shells is 3610${\pm}$70 yr BP.

  • PDF

여대생의 식물섭취(소비) 패턴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Food Consumption Pattern of College girls in Pusan Area)

  • 김상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393-401
    • /
    • 1991
  • 여대생의 평일 및 일요일의 식생활에서의 식사구조의 기본패턴을 파악하기 위하여 섭취된 식물을 16식품군으로 분류하여 식품 및 영양소섭취량과 16식품의 인자분석을 행하여 얻는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1. 식품섭취량에서 16식품군 중 두류, 육류, 음료를 제외한 13식품군의 섭취량은 평일의 식사에서보다 일요일의 식사에서 더 높았다. 2. 식품군간의 상관행렬에서 밥은 평일 및 일요일식사에서 여러 식품군과 정(正)의 상관을 가졌고, 특히 일요일의 경우는 평일보다 정(正)의 상관을 가지는 식품군이 더 많아 섭취된 식품이 다양함을 나타내었다. 또 빵 면류는 평일의 경우 과자 사탕류와, 일요일의 경우는 우유, 난류와 정(正)의 상관을 가지므로 평일은 간식형으로, 일요일에는 식사대용으로 이용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야채류, 김치류, 난류, 음료는 평일 및 일요일의 경우 거의 같은 종류의 식품군과 정(正)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평일은 어류, 육류, 유지류가, 일요일은 해조류, 과일류, 우유가 여러 식품군과 정(正)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3. 상관행렬을 인자분석하여 얻은 제1인자는 평일 및 일요일의 경우 한국형의 전통식사(밥식)인자로 해석되었고, 야채류, 감자류, 해조류, 김치, 난류 등의 식품군은 일상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일의 경우 두류, 어류, 유지류가, 일요일에는 밥, 육류, 해조류가 식사패턴에 깊게 관련되는 인자로 나타났다. 제2인자는 평일에서는 조절소인자, 일요일에서는 한국형식사인자이었고, 제3인자는 평일에는 간식 대용식인자, 일요일에는 조절소인자로 나타났다. 제4인자에서 평일은 부식인자, 일요일은 열량원인자이었고, 제5인자에서 평일은 밥식인자, 일요일은 빵식인자로 나타났다. 4. 평일 및 일요일의 2차원공간도에서 제1주성분은 평일 및 일요일에서 한국전통식(밥식) : 서구식(영양이 고려되지 않은 대용빵식), 제2주성분은 평일에서는 조절소 : 주식(열량)공급원, 일요일은 식사형 : 간식형을 나타낸 것으로 풀이되었다. 5. 영양소섭취량에서 아침식사의 경우 평일은 열량과 구성소영양소의 섭취량이, 일요일은 조절소영양소의 섭취량이 높았다. 점심식사에서는 일요일의 경우가 평일보다 모든 영양소의 섭취량이 높았다. 간식에서 일요일의 경우 당질, 섬유소, 비타민 C를 제외한 영양소의 섭취가 많았으며, 특히 비타민 C, 동물성에너지, 지질, 칼슘, 당질은 1일 평균영양소섭취비로 볼 때 간식에서 높은 섭취비율을 나타내었다. 저녁식사는 평일은 일요일보다 열량, 지질, 당질, 철분 이외의 타 영양소 섭취가 많았고, 일요일의 1일 평균영양소섭취량은 비타민 $B_1$ C, 동물성단백질을 제외한 영양소가 평일의 그것보다 높았다. 또 RDA와 비교한 영양소섭취비는 평일 및 일요일에서 열량(각각 77.4%, 82.3%), 철분(82.8%, 90.6%)이 RDA에 미달되었고, 그 외 영양소는 RDA를 상회하였다.

  • PDF

Mitochondrial Genetic Variation of Pen Shell, Atrina pectinata in Korea and Japan

  • Kim, Dongsung;Rho, Hyun Soo;Jung, Jongwoo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3권3호
    • /
    • pp.169-175
    • /
    • 2017
  • In the northwestern Pacific region, the pen shell (Atrina pectinata) is a widely distributed bivalve and economically important in fisheries. Recently, stock of this species has been greatly reduced due to overexploitation and marine pollution, which arouses interest in conservation. Studies on genetic and taxonomic entities of pen shells have not been tried in Korea, which makes difficult to take measures for effective conservation of this marine resourc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mitochondrial genetic polymorphism of pen shells collected from 4 locations in Korea and Japan using cytochrome c oxidase I (COI) gene sequences. A total of 39 haplotypes were identified among 86 individuals of pen shell. Although only 5 haplotypes were shared, no significant genetic differentiation was observed between Korean and Japanese popula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n shell populations of these regions share an ancestral population which might have experienced expansion during the Pleistocene, but gene flow must have been highly restricted after expan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