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tific data

검색결과 2,640건 처리시간 0.025초

KREONET 기반의 과학기술협업연구 플랫폼(RealLab) 설계 및 프로토타입 구축 (Design and Prototyping of Scientific Collaboration Platform over KREONET)

  • 권윤주;홍원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4권9호
    • /
    • pp.297-306
    • /
    • 2015
  • 클라우드 컴퓨팅은 유연한 사용 및 제반 비용 절감 등을 이점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그 사용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최근, 과학기술연구 분야에서도 연구 인프라 구축 및 운영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서 클라우드 컴퓨팅의 적용이 시도되고 있다. 특히, 과학기술 연구 분야는 대용량 실험데이터의 확보 및 결과데이터 공유 등 네트워킹 기반의 다양한 협업을 필요로 하므로 고성능 네트워킹 인프라를 기반으로 한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의 제공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KREONET/GLORIAD 상에서 실험환경과 데이터의 공유 인프라를 포함하여 과학기술연구 분야의 통합 연구 환경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협업연구 플랫폼인 RealLab을 제안한다. 그리고 그 활용시나리오를 통해 물리적인 시스템의 설치 없이 필요로 하는 연구 환경을 신속하게 생성할 수 있고, 대용량의 실험데이터를 빠르게 전송 및 공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해양관측데이터 관리를 위한 결정요소 도출 (Deriving the Determining Factor for the Management of Oceanographic Data)

  • 김선태;이태영;김용
    • 정보관리연구
    • /
    • 제43권3호
    • /
    • pp.97-115
    • /
    • 2012
  • 해양관측데이터의 관리와 서비스를 위한 결정요소를 두 가지 측면에서 도출하였다. 1) 해양관측데이터가 생성되는 관측의 유형들과 해양과학의 기본적 구분인 해양물리, 해양화학, 해양생물, 해양지질 분야에서 생산된 대표적인 유형의 샘플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2) 국내에서 서비스되고 있는 해양관측데이터 서비스(KODC, NFRDI, KHOA)를 조사하여 검색에 사용되는 검색요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9개 영역(일반, 관측선, 위성, 관측기기, 관측소, 공간정보, 프로젝트, 관측데이터, 자료처리)에서 42개 결정요소를 도출하였다.

과학 현상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의문 유형과 초등교사들의 설명 유형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atter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lanations and the Patter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Questions on Scientific Phenomena)

  • 신동훈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6권2호
    • /
    • pp.149-160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atter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lanations and the patterns of students' questions types on scientific phenomena.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 collected questions related to scientific phenomena from 255 $3rd{\sim}6th$ students in 2 elementary schools. Classifying the students' questions collected, 20 representative questions for each type were selected. Data regarding teachers' scientific explanation from 62 teachers of 3 elementary schools were also collect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questions for each science field show that the students in the 3rd, 4th, and 5th grades have the most questions regarding biology, and those in the 6th grade have more questions regarding earth science. Regarding question types, object exploration questions and explican exploration questions formed the majority. Moreover, the higher the students' grades, a decrease in the number of conjectural questions an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causal questions were observ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teachers' explanation, the following explanation types could be discerned; conjecture, hypothesis, prediction, teleological explanation, information given to feed exploration questions, as well as verification and information supply fer verification purposes. There were 4 kinds of relationships between question types and explanation types. One was the explanation fitting to each question type, a second was the explanation with additional content than the question required, a third was where the explanation was inappropriate to the question, and a forth was where the teacher responded that they "don't know." This stud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questioning as a scientific inquiry process and explanation, will help to promote discussion regarding science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 PDF

AHP를 활용한 레이더 기반 AI 과학화 경계시스템 효과 분석 (Efficacy analysis for the Radar-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AI) Scientific Guard System based on AHP)

  • 문미남;신규용;이호찬;곽승현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135-143
    • /
    • 2022
  • 북한의 핵 및 미사일 위협, 전쟁 양상의 변화, 저출산에 따른 병역자원의 감소 등 국방환경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우리 군은 국방혁신 4.0을 추진하고 있으며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 등과 같은 첨단과학기술을 적용한 과학기술 강군을 육성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계작전을 위해 최첨단 과학기술이 적용된 레이더 기반 AI 과학화 경계시스템의 효과를 계층분석적 의사결정방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을 활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과학화 경계시스템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요소를 선정하고, 그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한다. 각각의 평가요소들은 경계시스템의 작동 및 운용의 핵심 개념으로부터 핵심 요소를 도출하고, 각 요소와 경계작전의 효과 사이의 상관관계에 대한 전문가들의 자문을 통해 선정되었다. 평가요소들의 중요도를 토대로 레이더 기반의 AI 과학화 경계시스템과 기존의 과학화 경계시스템의 상대적 효과를 알아본다.

"더블 퍼스트 클래스"를 통한 중국 서부 대학의 연구 효율성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Efficiency of Western China's Universities under the "Double First-Class" Initiative)

  • 이우명;심재연
    • 산업진흥연구
    • /
    • 제8권4호
    • /
    • pp.257-266
    • /
    • 2023
  • 이 연구는 중국 서부지역의 대학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며, 2017년부터 2021년까지 12개 대학의 연구수준을 정적 효율성과 동적 효율성을 모두 고려하여 조사하였다. 정적 효율성은 데이터 포락 분석(DEA)을 사용하여 검사하였고, 동적 효율은 Malmquist 모델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서부12개 대학의 과학연구 효율성은 일반적으로 높지 않았으며 '쌍일류' 건설의 맥락에서 대학의 과학연구 효율성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과학연구 효율성의 원인으로 최근 몇 년 동안 효율성이 크게 증가하였다. 연구 활동의 TFP (Total Factor Productivity)는 기술진보지수의 영향을 받아 초기에 증가하다가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패턴을 보였다. 연구 결론은 서부 대학들의 과학연구 활동을 위해 자원을 합리적으로 배분하여 효과적인 과학연구 메커니즘을 갖추어서, 관리기준을 개선하여야 한다. 이에 과학혁신과 이에 상응하는 성과를 촉진하여, 궁극적으로 중국 서부의 과학기술 수준을 높일 수 있어야 하겠다.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Pre-service Scienc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 ;최준환;임재항;남정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53-262
    • /
    • 2007
  • 이 연구에서는 교사양성 과정에 있는 예비 과학교사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사범대학 과학교육학부 4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중에서 선정하였으며 물리교육 전공 5명, 생물교육 전공 8명, 지구과학교육 전공 1명, 화학교육 전공 8명으로 총 22명으로 구성되었다.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개방형의 질문지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질문지는 크게 과학 지식의 본성, 과학적 방법의 본성, 과학이 미치는 영향의 세 가지 영역으로 이루어졌다. 면담은 반구조화된 형식으로 이루어졌으며, 참여자 1인당 평균 20분 정도 소요되었고, 면담 내용은 모두 녹음한 후 분석을 위하여 전사하였다. 대부분의 예비 과학교사들은 과학 지식의 가변성 및 발달적인 속성에 대해서는 비교적 이해를 잘 하고 있었으나 과학적 진설의 존재에 대한 이중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과학이 개인 및 사회생활에 미친 영향으로 기술의 측면을 언급하고 있으며, 과학과 기술과의 관게에 대한 제한된 인식으로 가지고 있었다. 과학적 방법에 대해서는 가설연역적 방법을 이용한 실험연구가 더 과학적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실험의 과정에 대해 일련의 정형화된 단계가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로부터 볼 때 예비 과학교사들은 과학의 본성의 다양한 측면들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으며 매우 제한된 인식을 갖고 있다고 생각된다.

영과잉 및 허들 회귀모형을 이용한 과학화 전투훈련 자료 분석 (Analysis of scientific military training data using zero-inflated and Hurdle regression)

  • 김재오;방성완;권오정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8권6호
    • /
    • pp.1511-1520
    • /
    • 2017
  • 본 연구는 과학과 전투훈련 자료를 분석하여 작전 및 군사훈련 방법을 향상하고 필요한 군사교리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우리는 과학화 전투훈련 중 대대급 공격작전에 대해 개별 전투원이 공격작전간 개인 화기를 이용하여 적을 중상 이상의 전투불능 상태로 만든 인원수를 반응변수로 둔다. 본 연구의 반응변수는 영이 지나치게 많이 관측되어 전통적인 일반화 선형모형에서 분석이 제한된다. 우리는 과대산포 및 영이 과도하게 관측된 점을 고려하여 영과잉 회귀모형과 허들 회귀모형을 자료에 적합하여 분석한다. 우리의 분석 결과는 대한민국 육군의 보병대대와 같은 소부대의 다양한 작전 및 전술적 요인에 대한 분석과 전술제대의 군사교리 검증함에 있어 적절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현행 주민번호제도의 문제점에 관한 연구: 정보 제공 자유도를 기반으로 (A Study on The Problem in Policy of Korean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On Basis of Freedom of Data Provision)

  • 이혜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1호
    • /
    • pp.45-51
    • /
    • 2016
  • 개인정보 유출 사고를 불러일으키는 근거를 과학적으로 발굴해 보려는 연구는 아직까지 전무한 실정이다. 본 논문은 해킹을 통한 주민 정보 유출의 정도를 결정짓는 근거 요인을 찾아내기 위해 시도됐다. 연구의 중요도에 비추어 이를 위한 연구가 문헌상에 나타나지 않았던 점은 과학적인 연구방법론을 찾아내고 적용하기 곤란한 연구주제인 점에서 본 논문에서는 과학적 분석 모형을 제안하였고 그에 기반 한 분석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개인 식별에 동원되는 데이터의 경직성 요인이 유출 수위에 가장 결정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강도가 강할수록 해킹건수와 비례하는 것이 증명됐다. '주민 데이터 자유도' 개념을 정립함으로써 국가별 주민식별관련 주민 자유도 허용 순위를 결정할 수 있었다. 영국과 한국이 순위 열 양단에 위치하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자유도 면에서 영국이 국민에게 가장 많은 자유를 허용하는 국가로, 또한 한국이 가장 좁은 의미의 자유를 허용하는 국가로 매겨졌다.

초등학생의 과학 탐구의 특징에 대한 이해 -VASI-E를 바탕으로- (Korean Elementary Students' Understanding about Scientific Inquiry using VASI-E Questionnaire)

  • 유혜진;박지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83-92
    • /
    • 2021
  • 본 연구는 과학 탐구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이해를 조사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4학년 119명을 대상으로 VASI-E 검사지를 실시하고, 21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응답 결과에 대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VASI-E는 VASI를 초등학생용으로 수정한 검사지로, VASI가 포함하고 있는 8개의 과학 탐구 특성 중 5개만 포함하고 있다. 과학 탐구의 시작, 과학 탐구 방법의 다양성, 탐구 절차와 결과의 관련성, 자료와 결론도출의 일관성, 과학적 설명에 관련된 다섯 개의 측면이 VASI-E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VASI-E에서 살펴보고 있는 과학 탐구의 특징에 대해 학생들의 이해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과학 탐구의 시작'의 경우, 과도기적 관점을 가진 학생(53.8%)이 가장 많았다. 학생들은 과학 탐구가 과학적 질문에서 시작한다는 특징에 대해 간과하였다. 둘째, '과학 탐구 방법의 다양성'에 대해서는 초보자적 관점(54.6%)이 가장 많았다. 실험을 과학 탐구의 유일한 방법으로 알고 있거나, 실험과 관찰을 동일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질문과 탐구 절차'에 대해서는 '전문가적 관점'(47.9%)과 '초보자적 관점'(34.5%)을 가진 학생들로 양극화되었다. 과학적 질문을 생성할 수 있는지와 질문에 따른 탐구 절차의 적합성을 결정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수준이 나뉘었다. 넷째, '자료와 결론 도출의 일관성' 및 '자료와 선행 지식에서 기인한 과학적 설명'에 대해서는 과도기적 관점(55.5%)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전문가적 관점(42%)이 뒤를 이었다. 학생들은 데이터로부터 과학적 설명이 도출된다는 것을 알고는 있지만, 그 과정을 잘 설명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과학 탐구 지도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예비초등교사의 '과학 창의성'과 '과학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의 연관성 -틀 내 및 틀 간 창의성을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cientific Creativity' and 'Scientific Creativity Education': Focus on Creativity 'within a Frame' and 'between Frames')

  • 최취임;박지영;이선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515-524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예비초등교사의 '과학 창의성'과 '과학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의 연관성을 틀 내 및 틀 간 창의성을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틀 내 창의성은 패러다임 내에서 작동하는 이론적 창의성과 실험적 창의성으로 구분되고, 틀 간 창의성을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져오는 이론적 창의성을 의미한다. 자료 수집은 심층 면담으로 이루어졌으며, 분석은 틀 내 및 틀 간 범주를 토대로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예비초등교사들은 주로 틀 내 창의성의 관점에서 '과학 창의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이들은 '과학 창의성'을 틀 내 창의성 관점에서 실험적 창의성과 이론적 창의성의 관점에서 다양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반면 예비초등교사들은 '과학 창의성 교육'은 틀 내 실험적 창의성의 관점에서 가능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 교육에서 고려할 수 있는 과학 창의성의 특성과 이를 위한 과학교육의 방향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