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ON's website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28초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패션 분야 연구 동향 - 대학원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Research Trends of Fashion Field among Chinese Students in Korea - Focused on Graduate Degree Thesis -)

  • 워이페이;박은경
    • 복식
    • /
    • 제66권1호
    • /
    • pp.58-72
    • /
    • 2016
  • Since the mid 2000s, a large number of Chinese students have come to Korea to stud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search trends of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the fashion field in Korea. For this study, a total of 235 graduate degree theses on fashion written by Chinese students in Korea (from 1992 to 2014) were collected through the RISS website. Various keywords were used to find the theses, including fashion, clothing and costume. Factors used in the analysis of these theses were the number of theses per year, major of the student, research trend of specific areas and research target a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Most of the theses were written by Fashion/Clothing majors (141 theses/60% of the total), while other majors - such as Business Administration, International Trade, Economics, Journalism/Broadcasting, and Movie Entertainment - made up the rest (94/40%). The theses researched in the study were focused on a specific field in fashion. Fashion Marketing/Socio-Psychology of Clothing was the most popular field (113/48.1%), and Fashion Design/Aesthetics came in second (87/37.0%). Other topics, such as Costume History, Clothing Construction/Textile Science, Costume Culture, followed. Chinese student's research target area was very limited, with Chinese Study being the most popular area, and Korean and Chinese Comparative Study coming in second.

인포메이션 아키텍처 설계를 위한 웹 기반 원격 카드소팅 도구의 개발 (The development of wed-based remote card sorting tool for information architecture design)

  • 정상훈;오기태;이건표;서종환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2호
    • /
    • pp.221-230
    • /
    • 2004
  • 많은 사용성 평가 방법들, 특히 실험실 기반의 사용성 평가방법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을 위해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용성 평가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과 시간, 노력이 필요하며, 더 나아가 부자연스러운 실험 환경으로 인한 부작용과 사용자들의 직접적인 참여의 부족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카드소팅 기법을 기본으로 하는 웹 기반의 참여적 도구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참여적 도구는 사용자들이 자신의 컴퓨터 운용 환경에서 웹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카드소팅 테스트에 참여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사용자들은 인터페이스 요소들로 구성된 카드들을 컴퓨터 스크린 상에서 드래깅하고 그룹핑 함으로써 자신만의 인터페이스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웹사이트의 구조에 대해 자신이 가지고 있는 멘탈모델을 자연스럽게 표현해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들이 테스트에 참여하는 과정 중에 생성된 모든 데이터들은 자료 수집을 위한 원격 서버에 자동으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도구의 활용을 통해 웹 디자이너들은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모되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보다 효과적인 카드소팅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인포메이션 아키텍처를 설계하는 과정에서 실제 사용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한 효과적인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젓이다.

  • PDF

Which articles have highly impacted research on genetic generalized epilepsy?

  • Park, Bong Soo;Lee, Dongah;Park, Seongho;Park, Kang Min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22권2호
    • /
    • pp.92-103
    • /
    • 2020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top-100 cited articles on genetic generalized epilepsy (GGE) published in journals that have made key contributions to the field of epilepsy. Methods: We searched the Web of Science website produced by Clarivate Analytics for articles on GGE, and sorted them according to the number of citations to identify the top-100 cited articles. We then manually reviewed the contents of the top-100 cited articles, which were designated as "citation classics". Results: The top-100 cited articles were published in 27 journals, with the largest proportion appearing in Epilepsia (19 articles). The articles originated from institutions in 17 countries, with 31 articles from the USA. The institution associated with the largest numbers of articles in the field of GGE was the University of Melbourne, Australia (9 articles). Panayiotopoulos C. P. was the first author of three articles, and was listed most frequently in the GGE citation classics. The publication years were concentrated in the 2000s, when 56 articles were published. The most-common study topics were genetics (35 articles) and neuroimaging (17 articles). Conclusions: This study has identified the top-100 cited articles on GGE. These citation classics represent the landmark articles on GGE, and they provide useful insights into international research leaders and the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국내 의학도서관 사서의 코로나19 상황 인식이 정보서비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Domestic Medical Library Librarians' Awareness of the COVID-19 Situation on Information Services)

  • 김태민;김해흰;이민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303-319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전 세계적으로 대유행을 하고 있는 코로나19 상황과 관련 하여 국내 의학도서관의 정보서비스 현황을 조사하고, 의학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코로나19 상황에 대한 인식이 관련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의학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한 코로나19 정보서비스 여부에 관현 현황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코로나19의 상황인식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Grunig의 상황이론을 적용하여, 문제인식, 제약인식, 관여도에 대한 인식의 정도에 따라 네 단계의 사서 유형을 분류하고, 3가지 인식이 코로나19 관련 정보서비스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내 의학도서관 144개 기관 중 25개 기관만 코로나19 관련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고. 도서관의 정보제공의 주체인 사서의 경우 코로나19 상황에 대하여 문제인식과 관여도가 높고, 제약인식은 낮았으며, 정보제공 수준은 매우 적극인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제약인식만이 코로나19 관련 정보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정보원이 확보된 시기의 추가적인 연구와 사서의 인식이 도서관 운영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후속 연구도 제안하였다.

부산시 공공도서관의 운영현황 및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ng Status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Public Library in Busan Metropolitan City)

  • 박재용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69-88
    • /
    • 2012
  • 본 연구는 부산시 공공도서관의 운영현황 분석을 통한 향후 발전방향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결과, 첫째, 일반적 이용현황은 대부분 소설대출이나 개인공부를 목적으로 방문하고, 도서관관련 정보나 행사는 오프라인을 통한 검색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온라인서비스사용기간이나 웹사이트 방문빈도는 낮았으나, 컴퓨터 설치확대와 홈엑세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온라인DB의 기술개선을 요구하였다. 셋째, 공공도서관에 대한 지역사회의 서비스중요성은 매우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도서관 운영지표 중 지역서비스의 중요성(m=3.86)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참고데스크(m=2.87), 체크아웃데스크(m=2.41), 컴퓨터가용성(m=2.47) 및 최신자료유용성(m=2.64)에서는 평균값이 3.0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공공도서관의 운영정책이 실질이용자의 요구사항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 골프선수의 TPI Level 1 Test Score에 따른 경기력 수준 분석 (Relationship Between Titleist Performance Institute Level 1 Test and the Performance of Professional Golf Players)

  • 김재은;도광선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7-35
    • /
    • 2022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PI Level 1 test and the performance of KPGA professional golf players. Methods : In 2019, 30 KPGA golf players attempted in the TPI Level 1 test. Their performance was then compared with the test based on the players' aggregated official records on the KPGA website, The most meaningful prize money ranking, average driving distance, fairway landing rate, and average number of putts were considered to evaluate their performance. Additionally, to obtain the average value of the players' accumulated records, the period from the first game in March 2019 to the end of October was considered. Results : The criterion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group and the lower group was set based on the 9 points of the TPI Level 1 test, which showed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The prize money ranking stood at 63.00±51.77 in the upper group and 113.92±68.79 in the lower group in the TPI Level 1 test,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ly higher (p<.05) for the upper group (p<.05). The average driving distance was 286.15±10.06 yds for the upper group and 277.39±8.49 yds for the lower group, group, with the driving distanc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upper group (p<.05). Further, the average number of putts for the upper group was 1.81±.02 and 1.85±.04 for the lower group, indicating a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 A higher TPI Level 1 test score is likely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erformance.. As a result of the statistical value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players must possess at least 9 out of 17 types of physical abilities Therefore, it can be considered that training and intervention to acquire these physical abilities are essential.

가상현실을 활용한 여행지 추천 콘텐츠 연구 (A Study on the Contents for Travel Destination Recommender Us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 송은지;캘빈 찬드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76-578
    • /
    • 2019
  • 가상현실은 체험하기 어려운 환경을 실제처럼 체험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로써 최근 게임, 의료, 국방, 제조업 등 여러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하여 여행할 행선지를 미리 맛보고 여행 장소를 고를 수 있는 콘텐츠 개발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여행지를 정할 때 웹 사이트나 책자를 활용하여 여행지에 대한 정보를 찾아본다. 최근에는 여행지를 추천해 주는 어플리케이션도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여행지에 대한 정보를 가상현실로 구현하여 보여 주면 보다 확실하고 실감나는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구글 맵 VR과 같이 전체적으로 지구를 보여주고 확대하거나 축소를 할 수 있고 키워드를 클릭하면 그 키워드에 맞는 관광지를 추천을 해 준다. 인테넷 브라우징 쿠키를 이용해서 이용자의 관심을 따라서 자동으로 관광지를 보여준다.

  • PDF

우리나라 출판사들의 SNS 활용 실태 분석 연구 -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the Usage of Social Networking Services by Book Publishers in Korea: Focused on Twitters, Facebook and Me2day)

  • 이종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75-90
    • /
    • 2011
  • 본 연구는 SNS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를 중심으로 출판사들의 SNS 활용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문제를 파악, 개선방안을 제언하고자 수행되었다. 분석결과, 첫째 SNS를 개설한 출판사는 전체 신고 출판사(41,407개) 중 0.5%(222개)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되었다[독립적 웹 페이지 개설한 출판사는 전체 출판사 중 3.7%(1,537개)]. 둘째 조사대상 SNS 222개 중 응답 212개(트위터 71개, 페이스북 74개, 미투데이 67개)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50.5%(107개)가 100명 이하의 독자 혹은 잠재 독자와 관계를 설정하고 있을 정도로 소통이 미흡하고, 출판사들이 게시한 글의 횟수 또한 1,000개 이하가 77.4%(164개)에 달할 정도로 낮게 나타났다. 셋째 출판사들이 게시한 글(300개)과 이용자들이 게시한 글(500개)을 분석한 결과, 게시한 글의 상당수가 출판도서의 마케팅, 소개, 추천, 독서와 관련한 글로 나타나 긍정적이었다. 하지만 출판사들의 SNS에 글을 게시한 이용자 글의 86.6%가 1회성 글로 나타나, 지속성이 미흡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제품 사용 중 표출되는 사용자의 대표감성 추출에 관한 연구 (Extraction of user's representative emotions expressed while using a product)

  • 정상훈;이건표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1호
    • /
    • pp.69-80
    • /
    • 2005
  • 지금까지 감성어휘에 대한 연구는 감성공학분야에서 많이 진행되었는데, 기존의 감성어휘에 대한 연구들은 대부분 제품의 외관에서 느끼는 인간의 감성을 표현하는 어휘나 제품의 외관 자체를 감성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어휘들에 관련된 것이 많았다. 하지만 제품을 사용하면서 표출되는 인간의 감성에 관련된 감성어휘에 대한 연구는 아직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 써는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하는 도중에 유발될 수 있는 인간의 감성 변화를 나타낼 수 있는 감성어휘들을 추출해 보았다. 우선 심리학, 언어학, 감성공학 등의 분야에서 수집된 기존의 감성어휘들을 조사하여 통합하는 과정을 거쳤다 또한 쇼핑몰 사이트 및 매니아들을 대상으로 하는 전문 사이트 등에서 사용자들이 남긴 제품 사용후기를 통해 감성어휘를 수집하였다. 마지막으로 소리내어 생각하기(Think Aloud)를 활용하여 실험실에서 사용자들로 하여금 일련의 태스크를 수행하게끔 하고 제품을 사용하면서 느끼는 자신의 감성을 말로 표출하게 하였다. 수집된 어휘들을 일정한 기준에 따라 삭제 또는 통합하고, 적합성 평가를 위한 두 차례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제품을 사용하는 도중에 유발될 수 있는 인간의 감성을 파악하기 위한 88개의 감성어휘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감성어휘들을 요인분석을 통해 '심미성', '사용적 만족성', '신규성', '불편성', '유쾌성', '우수성' 등 6개 감성 카테고리로 구분하여 사용자들이 제품을 사용하면서 표출하는 대표감성을 추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추출된 감성어휘와 대표 감성은 제품을 사용하면서 표출되는 인간의 감성을 측정하는 데에 필요한 주관적 평가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Multilevel Analysis of Factors Associated with Perceived Good Health and Multimorbidity among Older Adults: Using the 2017 Community Health Survey

  • Boo, Sunjoo;Han, Young Ran;Choi, Hye Young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1권spc호
    • /
    • pp.549-562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individual- and regional-level factors associated with perceived good health and multimorbidity among older adults. Methods: Secondary analysis of the 2017 Korea Community Health Survey was conducted on a sample of 67,532 older adults. The individual level data set was combined with regional-level factors from the administrative data released on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website. Distribution of perceived good health and multimorbidity in 254 public health centers were calculated using sampling weights and presented as percentages.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identify individual- and regional-level factors associated with perceived good health and multimorbidity. Results: Overall, 21.1% of subjects perceived their health to be good, ranging from 9.3% to 39.4% by region. The prevalence of multimorbidity was 15.9%, and varied between 6.6% and 22.6% by region. At the individual level, perceived good health was associated with men, younger age, higher educational levels, higher income levels, and those married and living with a partner and maintaining a healthy lifestyle. At the regional level, higher rates of health center personnel among public officials and higher levels of financial independence were associated with perceived good health. Multimorbidity was associated with marital status and healthy lifestyle, and higher rates of health center personnel among public officials. Conclusion: Regional factors such as health care personnel and local economy could affect population health. Our findings suggest the need to consider individual- and regional-level factors to promote good health among older adults and reduce the health gap by reg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