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field trip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24초

A Critical Review of the Research on Learning during Field-trips

  • Choi, Mee-Young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7-77
    • /
    • 2005
  • This review is aimed at the understanding of learning in field-trips relating to education in outdoor activities. The review specifically concerns what studies have been undertaken by seeking evidence from research published between 1950 and 2004. The review indicates three common arguments on learning during field-trips. First, the learning in an informal learning environment based on first-hand experiences is most significant when it has meaning for the learner from field-trips. Second, learning aims and strategies in field-trips have evolved along with world-wide concerns towards the environment. Third, the experiences from field-trips can impact significantly on students' cognitive and affective learning. However, the research of field-trip experiences from outdoor activities has focused on learning outcomes far more than on the learning characteristics which facilitate students' learning. Therefore, further study is required, which can provide clear evidence on how such learning characteristics through field-trips can help studentsto successfully attain educational goals.

과학관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과 교육에 대한 실태 조사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and the Status of Education Program on Science Museum Field Trips)

  • 문재원;나지연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8권1호
    • /
    • pp.87-101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and the status of education program on science museum field trips by using a questionnaire (188 teachers) and interview (6 teacher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factors influenc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choose the science museum as a place for field trips were 'student's interest', 'teacher's own experience related to the science museum', 'science curriculum', 'suggestions from a fellow teacher', 'space available for field work' and so on. Second, 82% of the respondents conducted pre-education program, but they mainly conducted safety education. Third, the teacher conducted post-education program less than pre-education program. In the post-education program, the most activities were to express and share knowledge and experience gained from the science museum. Fourth, 52.2% of the teachers provided tasks or activity sheets during science museum field trips. Fifth, the teachers mainly served as safety guide. In addition, the teachers thought that safety guide was the most important role of teacher in science museum field trips. Sixth, the teachers thought that the method of viewing the science museum's collection, which emphasizes the role of docent rather than the teacher, was more educational.

현장학습을 위한 천체관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stronomical Observation Program for Field Trip)

  • 김상달;박종철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2-62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learning content for astronomical observation that could perform astronomical programs regardless of weather conditions as a case for the present conditions of astronomical observation and the methods of new education for astronomical observation, and to suggest the methods of synchronized multiple astronomical observation and actual cases using the Internet network.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ethod of galaxy-oriented astronomical education helped those attempting to approach astronomy academically for the first time grasp useful concepts as to the astronomical space, and let them look at the space in an objective sense, which was effective in forming cosmic structure and concepts. Second, the administration curriculum of astronomical observation team was related to data that systematically contained annual astronomical education concerning the operation of astronomical observation teams; thus, they could be suggested as beneficial teaching materials to the teachers who wanted to organize a school club meeting. Third, it has been noted that the level of students' satisfaction in p2d program and MSO program was very high, and they turned out to be effective learning methods that could be implemented even in times of rain when it would not be possible to conduct astronomical observation activities.

  • PDF

'광물과 암석' 관련 야외지질학습에서 초등학생들의 학습 효과에 대한 탐색 - 생소한 경험 공간을 중심으로 - (Exploring Learning Effects of Elementary Students in a Geological Field Trip Activity concerning 'Minerals and Rocks' - Focus on Novelty Space -)

  • 최윤성;김종욱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430-445
    • /
    • 2022
  • 이 연구는 광물과 암석을 주제로 진행된 야외지질학습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의 학습 효과를 생소한 경험 공간(Novelty space) 개념을 중심으로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과 후 자율 동아리 활동 형식으로 서울의 한 공립초등학교에서 진행된 본 프로그램에 6학년 학생 총 10명이 참여하였다. 학생들은 교실 학습 환경에서 광물과 암석 표본을, 야외 학습 환경에서 노두에 노출되었거나 정원석 등으로 쓰이고 있는 광물과 암석을 각각 관찰하였다. 저자들은 각 차시별 연구 참여자들이 작성한 활동지(글, 그림), 연구자 참여 노트, 연구 참여자의 활동이 담긴 영상 및 음성 자료와 사후 인터뷰 자료를 수집하였다. 인지적 영역에서 학생들의 학습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Remmen and Frøyland (2020)의 암석 분류를 위한 관찰 분석틀과 Oh (2020)의 암석 기술어 분석틀을 활용하였다. 또한 심리 및 지리적 영역의 학습 효과를 탐색하기 위해 학생들의 그림과 담화 및 면담 자료를 귀납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교실 학습 환경에서 '일상적', '과도기적' 관찰 양상을 보였으며 야외 학습 환경에서(학교 운동장, 지역사회)는 '과도기적' 및 '과학적' 관찰 단계까지 발전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덧붙여 과학적 관찰 단계로 갈수록 더 많은 종류의 암석 기술어가 사용되는 것 또한 확인되었다. 심리, 지리적 측면에서 학생들은 익숙한 야외 학습 환경으로의 답사 장소 선정, 야외지질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심미적 감상 등을 표현하였다. 끝으로 이 연구는 학생들의 학습 효과 분석을 위한 도구로써 생소한 경험 공간 개념이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강조하며 아울러 가상야외지질학습과 같은 새로운 학습환경을 고려하는 학술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제안하는 바이다.

Improvement of Power Capability and Field Uniformity with Tapered Coaxial Matching Units in Strip Line for Measuring Electromagnetic Immunity of Vehicular Components

  • Chung, Yeon-Choon;Kang, Tae-Won;Park, Dong-Chul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information Science
    • /
    • 제2권5호
    • /
    • pp.60-64
    • /
    • 1997
  • The design process and construction method of a strip line is described for measuring radiated susceptibility of vehicular components having electrical cables more than 2 min length. he characteristic impedance of the trip line was determined 90$\Omega$ to obtain the field uniformity of $\leq$${\pm}$3 dB in the frequency range from 100 kHz to 500 MHz. Tapered coaxial lines were used instead of the traditional lumped circuit element for the impedence matching units, therefore, the strip line has high power capability. Using these techniques, the field uniformity and power capability of a strip line could be considerably improved.

  • PDF

'한국 역사 속 과학탐방'에 대한 교사의 인식 (Teachers' Perception about 'Science Field Trip to Korean Historical Sites')

  • 오경진;조광희;박상우;박승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61-470
    • /
    • 1999
  • 본 연구는 한국 역사 속 과학탐방에 대하여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교육적 가치, 지도방식, 어려운 점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데 있다. "98 과학교육자 큰모임"에 참석한 현직 교사 및 과학교육자 97명을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검사도구는 본 연구자들에 의해 개발되어 과학교육전문가 4인으로부터 안면 타당도를 검증받았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한국 역사 속 과학탐방은 교육적으로 매우 가치 있다고 응답하였다. 응답자의 다수가 한국 역사 속 과학탐방이 한국 문화를 이해하고, 탐구과정기능의 습득에 기여할 것이라고 하였다. 또한 발산적 탐구와 협동학습의 기회를 제공하며, 통합교과적이고 종합적인 사고능력을 기르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반응하였다. 정규 과학교과 내용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과학관련 진로지도 및 생활지도로 활용할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기존 과학탐방의 지도경험에 대한 조사를 통해 볼 때, 탐방 전 활동이 거의 없었고 탐방 중에는 교사설명 중심의 활동이 이루어졌으며 탐방 후에는 과학기사나 일기 형식의 작문을 주로 하였다. 이에 비해 교사들이 생각하는 바람직한 한국 역사 속 과학탐방의 지도방식은 학생용 탐방자료나 비디오를 통한 탐방 전 활동, 간단한 안내 후 조별 탐구로 이루어진 탐방 중 활동, 탐방결과에 대하여 발표 토론하는 탐방 후 활동을 강조하였다. 한국 역사 속 과학탐방의 어려운 점으로 교사들은 교수학습자료의 부족과 거리 비용 및 교통문제, 교사의 경험부족 등을 언급하였다. 또한 한국 역사 속 과학탐방이 잘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과학탐방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과 탐방활동에 대한 정규 교사 연수 과정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 PDF

구성주의 기반의 현장학습 지원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Development of a Constructionist Based Field-Trip Support System)

  • 안성훈;손찬희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33-45
    • /
    • 2008
  • 현장 학습은 학생들의 주위 환경에 대한 사고력과 학습력을 신장시키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 또한 실생활에서의 경험을 학습에 연관시켜주므로 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켜 준다. 더 나아가 학생 스스로 실생활에서 직면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현장 학습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RFID 기반의 지원 시스템을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현장 학습 지원 시스템은 박물관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설계하고 구현되었으나 같은 형태로 동물원, 미술관, 과학관 등에서도 충분히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설계 및 구현된 RFID 기반의 현장학습 지원 시스템은 현재 초중학교에서 많이 실시되고 있는 현장 학습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

구석기 유물 유적을 활용한 지구과학 학습자료 개발 및 활용 방안 (A Development of Earth Science Learning Materials Using Paleolithic Remains and Its Applications)

  • 조규성;이헌종;김정빈;정덕호;신민정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59-16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과학적 흥미와 호기심을 유발하기 위해 영산강 유역에서 발굴된 구석기시대 유물 유적을 활용하여 지구과학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구석기 유물 유적을 활용한 학습 자료는 예비 활동 자료, 박물관에서의 활동 자료, 유적지 답사를 위한 활동 자료, 구석기 유물을 제작하는 활동 자료로 구성되었다. 개발된 학습 자료에 대해 과학교사와 학생의 반응을 살펴보았다. 설문에 응답한 과학 교사들 10명 중 6명은 유물 유적을 활용한 교수 학습 자료가 탐구력 향상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학습 자료는 대부분의 교사들이 정규 수업이 아닌 동아리 활동, 현장학습, 과제부여 등에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반응하였다. 구석기 유물 유적을 활용한 학습자료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질문 방향이 다양해졌으며 질문하는 횟수도 증가하였다. 유물 유적을 활용한 학습자료는 학생들이 광물과 암석의 성질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본 학습 자료는 교사들의 학습 주제 선택의 폭을 넓혀줄 것이라 기대된다.

초등과학영재학생의 과학창의성과 다중지능의 관계 - 생명 영역을 중심으로 -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tific Creativity of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and Multiple Intelligence - Focusing on the Subject of Biology -)

  • 김민주;임채성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9권3호
    • /
    • pp.369-381
    • /
    • 2020
  •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ple intelligence and scientific creativity of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focusing on the subject of biology. For this, 37 science-gifted fifth-graders in the Science-Gifted Education Center at an Office of Education conducted a multiple intelligence test. In addition, researchers collected science-gifted students' results of scientific creativity activity at the botanical garden field trip. The main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rong intelligence was 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for gifted students, and weak intelligence was found to be naturalistic intelligence for them.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ple intelligence and scientific creativity of science-gifted students. Third, as a result of independent two sample t-test for each intelligence and scientific creativity scores divided into the upper and lower groups, only verbal-linguistic intelligence statistically differed significantly at the level of p<.05 (t=2.13, df=35, p=0.04). Fourth, as a result of conducting a two-way analysis to see if there were any interaction effects, verbal-linguistic and visual-spatial, logical-mathematical and visual-spatial, logical-mathematical and bodily-kinesthetic, and visual-spatial and musical-rhythmic intelligence all showed significant values at the level of p<.05 level in interaction effects on originality element comprising scientific creativity. Fifth, an analysis of students with high naturalistic intelligence showed that their scores of scientific creativity tasks conducted at the botanical garden field trip were all lowe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scientific creativity learning linking multiple intelligence in primary science education and gifted education.

지질 답사 보고서에 나타난 고등학생들의 내러티브 특성: 내러티브적 사고와 학업 성취도의 관계 (Narrative Characteristics in High School Students' Geological Field Trip Repor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rrative Mode of Thought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 정수임;신동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735-750
    • /
    • 2015
  • 이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지질 답사 보고서에 나타난 내러티브 텍스트와 Bruner가 제시한 두 가지 사고 양식 - 패러다임적 사고와 내러티브적 사고 그리고 학업 성취도가 어떻게 관련되는 지 살펴보고자 했다. 연구의 주요 목표는 특정한 상황에서 나타난 내러티브 텍스트의 사용여부로 학생들의 내러티브적 사고 경향을 구별하고, 우세한 사고 경향에 따라 인지적 성취 결과에 차이가 나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고등학교 2학년 학생 145명의 지질 답사 보고서의 텍스트 분석과 함께 답사지에 대한 회상 검사, 학업 성취도, 면담을 통하여 양적, 질적 연구를 수행했다. 텍스트 분석 결과, 학생들의 보고서에는 설명적, 논증적 텍스트와 함께 내러티브 텍스트가 상당 수 발견되었는데 이는 야외 답사지에서 학생들이 느끼는 심리적 상황과 지구과학 학습 및 현행 교육과정의 특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내러티브 텍스트로 보고서의 내용을 재구성한 학생들은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 비하여 3개월 후에 실시한 회상 검사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으나, 지구과학 I의 학업 성취도에서는 여학생들의 경우에만 더 높은 성취도가 나타났다. 내러티브 텍스트의 사용 여부로 내러티브적 사고와 패러다임적 사고 경향을 판단할 수 있는지 학생들과의 면담을 병행하여 조사한 결과, 내러티브 텍스트 사용과 사고 경향이 일치하지 않는 학생의 사례가 나타났다. 학습 내용에 따라 내러티브적 사고와 패러다임적 사고를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학생은 학습에 성공적이며 학업 성취도에서 좋은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