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curriculum

검색결과 3,187건 처리시간 0.032초

우리나라 국가 교육과정 문서상 교과 내용 체계표의 변천과 쟁점 -과학과 사례를 중심으로- (Trends and Issues of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Subject-Matter Content System Table: Focusing on the Science Subject Case)

  • 이경건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87-103
    • /
    • 2024
  • 우리나라 국가 교육과정에서 교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는 교과서 집필 및 교실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교수·학습, 그리고 교과 교육과정 연구 등에 이르기까지 큰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지금까지 교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 구성의 쟁점을 포괄적으로 정리한 연구는 드물었다. 본 연구에서는 교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가 신설된 제6차 교육과정으로부터 최근의 2022 개정 교육과정까지 내용 체계가 제시되어 온 방식의 변천을 살펴보았으며, 구체적인 사례로서는 과학과의 경우를 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도출한 교과 내용 체계의 구성의 쟁점과 제안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역', '분야', '범주' 등의 용어를 주의 깊게 사용할 필요가 있으며 각각이 단순히 논리적인 구별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특정 강조점을 지닌 내용 조직자로서 의도된 것인지를 명확히 해야 한다. 둘째, '핵심 아이디어' 등 혁신적인 내용 조직자로 기능할 수 있는 항목들의 성격을 엄밀하게 규정하여야 한다. 셋째,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의 3차원적 내용 요소 제시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되,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이 어떻게 동원되어 총론적 핵심 역량 각각을 형성할 수 있는지를 밝히는 데까지 나아가야 한다. 넷째, 교과별 내용 체계를 구성하는 일이 '총론과 각론의 괴리'를 해결할지 혹은 '총론과 여러 각론의 괴리'를 만들어낼지는 미지수이므로, 이를 국가 교육과정에서 시도하는 일에 주의가 필요하다. 다섯째, 우리나라 국가 교육과정 문서에서 교과 내용 체계 구성 방식의 겉보기 진자 운동이 관찰되는 바, 이것이 무의미한 반복에 머무르지 않고 변증법적인 진전을 이룰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기초치위생 교과목 통합교육과정 개발 (Development of integrated basic dental hygiene curriculum)

  • 이선미;안세연;원영순;김창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65-172
    • /
    • 2016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the integrated basic dental hygiene curriculum after reviewing and analyzing the traditional curriculum. First, the standardization of curriculum in three years and four years dental hygiene department curriculum is needed. Second, integration between subjects should include learning objectives of the curriculum. Third, the basic subjects of dental hygiene should provide and satisfy the learning goals of dental biochemistry, nutrition, dentistry and dental pharmacology, and the basic subjects should be integrated into clinical considerations. Fourth, the integration of the curriculum should make the students dental hygiene experts by nurturing and integration of basic sciences. The integration of curriculum is able to provide the unified subject that does not same and duplicated contents.

미용관련학과 학생들의 교육과정 주요요인과 교육만족도 (A Study of Student Satisfaction from Beauty Art-Related Departments on Educational Assessments)

  • 권도희;정영애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31-243
    • /
    • 2012
  • This study is aimed to improve future-oriented curriculum by investigating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from beauty art-related departments on their curriculum and major courses and proposing their basic direction and improvement plan. For this, a survey was conducted against students from beauty art-related departments in Busan (5 junior colleges and 1 four-year universit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according to a correlation analysis on major questionnaire items on the curriculum in beauty art-related department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observed in 'curriculum development', 'facility and administrative & financial supports', 'instructor/teacher activities', 'educational evaluation activities', 'academia-industry cooperation activities' and 'output evaluation'. In terms of educational satisfaction,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observed in all positive relations. Second, according to regression analysis on the evaluation of curriculum output factors in beauty art-related departments, output factor levels were high as 'academia-industry cooperation activities', 'age', 'teacher/instructor activities', curriculum requirement analysis' and 'curriculum development' were high. In overall, relatively good results (69.0%) were observed. A further study needs to be performed for improvement of satisfaction of students majoring in beauty art on their curriculum in educating students from beauty art-related departments by applying their educational evaluation to optimum standards.

Exploring the Concept of University Research Ethics Education and the Direction of Curriculum Development

  • LEE, Hyo-Young
    • 연구윤리
    • /
    • 제3권1호
    • /
    • pp.17-21
    • /
    • 2022
  • Purpose: Research ethics has social implications beyond the issues of personal morality and research integrity. In recent years, research ethics has become a more controversial topic in society.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the university research ethics curriculum is defined, the current status of the research ethics curriculum is analyzed, and the direction of the university research ethics curriculum development direction is discussed.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concept of university research ethics education and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ethics education were examined, an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university research ethics curriculum was explored based on the framework . Results: field education to secure university research ethics is still insufficient. In other words, only 12 universities for undergraduate programs and 37 universities for graduate programs included research ethics in their regular curriculum. Conclusions: The occurrence of research misconduct is mainly caused by not recognizing the error or not taking it seriously. In particular, university research misconduct results from a lack of understanding of research ethics, poor research education, a performance-oriented academic climate, and the absence of an institutional system for establishing research ethics.

Student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n Algebra-problem-based Curricula

  • Lee, Kwang-Ho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9권2호
    • /
    • pp.125-133
    • /
    • 2005
  • This paper investigates student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n algebra using problem-based curricula. Seven principles which National Research Council announced were considered because these seven principles all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a deep conceptual understanding. A problem-based curriculum itself provides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improving student learning. A problem-based curriculum encourages students to obtain a more conceptual understanding in algebra. From the results the national curriculum developers in Korea consider the problem-based curriculum.

  • PDF

초.중.고등학교 탐구 기능 요소에 대한 6차와 7차 과학 교육 과정의 비교 (Comparison with the 6th and 7th Science Curricular for Inquiry Skill Elements i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 하소현;곽대오;성민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02-113
    • /
    • 2001
  • 제 6차와 7차 교육 과정의 교과서가 아니고 교육부 고시 교육 과정과 교육 과정 해설에 제시된 초 중 고등학교 탐구 기능 요소의 종류와 빈도를 포괄적으로 조사하였다. 제 6차 교육 과정에 제시된 탐구 기능 요소의 종류는 모두 17가지였고, 7차 교육 과정은 23가지로 조사되어 7차 교육 과정은 6차 교육 과정에 비해 탐구 기능 요소의 출현 종류가 약 1.3배 증가되었다. 탐구 기능 요소의 전체 빈도는 6차 교육 과정에서 408회, 7차 교육 과정에서 729회로 조사되어 7차가 6차에 비해 약 1.8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급별 탐구 기능 요소의 총 활용 빈도는 초등학교의 경우, 6차 교육 과정 14가지 요소에서 155회, 7차 교육 과정 18가지 요소에서 188회, 중학교의 경우, 6차 교육 과정은 7가지 요소에서 44회, 7차 교육 과정은 16가지 요소에서 196회, 고등학교의 경우, 6차 교육 과정의 공통 과학은 10가지 요소에서 44회, 7차 교육 과정은 10가지 요소에서 50회, 고등학교 과학 4영역 I, II 의 경우, 6차 교육 과정은 11가지 요소에서 165회, 7차 교육 과정은 21가지 요소에서 279회로 나타냈다. 7차 교육 과정의 중학교 단계에서 탐구 기능 요소의 활용 빈도가 6차에 비해 약 4.5배 증가하여 초 중 고등학교 가운데 가장 큰 폭으로 상승하였고 전체적으로 볼 때, 7차 교육 과정은 6차 교육 과정보다 탐구 기능 요소의 종류가 약 1.3배, 그 빈도가 약 4.5배로 더욱 강화되었다. 그러므로,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 향상에 더욱 관심을 기울이고 그 중요성을 깊이 인식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에 따른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초등학교 3~4학년군 성취기준 분석 및 2015 개정 교육과정과의 비교 (Analysis of the 2022 Revised Science Curriculum Grades 3-4 Achievement Standards Based on Bloom's New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Comparison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김우중;김동석;신영준;권난주;오필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3권3호
    • /
    • pp.353-364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3~4학년 성취기준을 분석하여 2022 개정 교육과정의 3~4학년군 과학교육이 목표하는 바를 확인하고 차후 3~4학년군 과학 교과서 개발 및 현장 교사들의 교수학습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22 개정 교육과정 과학 교과 3~4학년군 성취기준 57개를 블룸의 목표분류체계에 따라 지식차원과 인지과정으로 분석하고자 했다. 성취기준이 복문이거나 2개 이상의 지식차원 또는 인지과정 차원을 복합하여 서술한 경우에는 전문가집단의 자문을 통해 문장을 분리하여 성취기준을 57개의 문장으로 만들어 분석하였다. 이후 기존에 연구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 과학과 성취기준과의 비교를 통해 개념 및 서술어의 분류 빈도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차원에서는 '사실적 지식'이 50개 (86%)로 나머지 '개념적 지식'(10%), '절차적 지식'(4%)에 비해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메타인지 지식'은 한 개도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인지과정 차원에서는 '이해하기'가 34개로 60%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서 '적용하기'가 11개로 19%, '창안하기'가 15%, '평가하기'가 6%로 나타났으며 분석하기와 기억하기는 아예 없었다. 셋째, 서술어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설명할 수 있다'가 9개로 가장 많았으며 비교가 여섯, 실천과 분류가 다섯으로 그 다음을 차지하였다. 넷째, 2015 개정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개념적 지식이 축소되고 사실적 지식이 압도적인 비중으로 증가하였다. 다섯째, 인지과정 차원에서는 이해하기가 크게 늘어난 데 반해 나머지 인지과정 차원은 축소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얻은 결론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2022 개정교육과정 초등학교 3~4학년군 과학교과의 지향점은 사실적 지식에 편중되어 있으며 인지과정 차원에서는 이해하기가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에 많은 개념과 적용이 줄어들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연구 결과와의 서술어 비교 연구 결과를 토대로 2022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3~4학년군의 과학 교과서 개발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으며, 이를 통해 현장의 교육과정에 어떠한 시사점이 있는지를 논의할 수 있었다.

학교도서관 교육 활성화 전략으로서 통합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연구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as the Activation Strategy of the School Library Instruction)

  • 송기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87-116
    • /
    • 2007
  • 학교도서관 교육은 학생의 정보활용능력을 위한 도구교과 중 하나이다. 따라서 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가 학교도서관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중요한 전략이다. 학교도서관 통합 교육과정은 학교도서관 교육의 사고전략과 교과교육 과정의 학습주제를 통합한 것이다. 학교도서관 통합교육과정의 목적은 사서교사의 교육적 역할을 강화하고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신장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계와 협동 전략으로써 범교과 학습주제를 기반으로 10학년을 위한 통합교육과정 개발 사례를 제시하였다.

  • PDF

프로그래밍 학업성취도에 관한 사례연구: 하드웨어 교과과정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programming academic achievement: Focused on the hardware curriculum)

  • 이승우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5권4호
    • /
    • pp.779-790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H/W 전공자들의 프로그래밍 수준을 S/W 전공자들과의 상대적 비교 분석을 통하여 파악하고자 첫째, H/W와 S/W 분야 졸업예정자들에게 C언어와 C++언어에 관한 프로그래밍 학업성취도를 비교 측정하였다. 둘째, H/W와 S/W의 교과과정 편성을 비교 분석하여 프로그래밍 학업성취도 향상에 관련된 정보를 교과과정을 통하여 도출하였다. 셋째, 수학적 학습능력이 프로그래밍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파악하기 위해서 수학 교과목과 프로그래밍 교과목간의 학업성취도에 관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그 관련성을 분석했다. 이를 통하여 향후 H/W 교과과정에서 학과차원의 특수성과 실정을 반영한 효율적인 프로그래밍 학업성취도 증대 방안에 관하여 제안하였다.

A Study on Information Graphics in the 10th Grade Social Studies Textbooks

  • Lee, Sang-Bock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6권4호
    • /
    • pp.843-848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case study is to understand how the idea of data view and information graphics is used in the social studies high school textbook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and social studies middle school textbooks for the 10th grade students. We set up three questions for this study; what kinds of information graphics are used in the textbooks, how the graphics are organized in the social studies middle school, and how the 7th social studies curriculum is related with the 7th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Through the data analysis, we found that 1) photographs, information tables, illustrations, etc., are used and frequencies of their usages are in descending order, 2) double lines graphs, and stripe graphs are often adopted for the comparison of populations, 3) the relation of the two subjects curricula is not well developed, especially in the curriculum steps of information maps, scatter diagrams, and comparison of populations. Finally we suggest that new web site of data view or information graphics be provided for two curricula, workshop of information graphics be needed for social studies teachers, and modification of the 7th probability and statistics curriculu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