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curriculum

검색결과 3,196건 처리시간 0.033초

OECD Education 2030 교육과정 내용 맵핑 본검사 참여 연구 : 수학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content curriculum mapping of Korea in the OECD education 2030 project: Focused on mathematics)

  • 조성민;이미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8권4호
    • /
    • pp.507-518
    • /
    • 2019
  • OECD는 학습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국제 비교 연구의 일환으로 교육과정을 분석하는 Education 2030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OECD Education 2030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수행된 국어, 수학, 사회/역사, 과학, 체육, 예술(미술/음악), 기술·가정/정보 교과에 대한 교육과정 내용 맵핑 연구(Curriculum Content Mapping, 이하 CCM)의 본 검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는 CCM 본검사에 참여한 결과 중 수학과의 내용을 정리한 것으로, 우리나라 2015 개정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 CCM 프레임워크의 역량이 어느 정도로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 및 교육과정 국제 비교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A Note of A Partial Amendment of Probability and Statistics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 Lee, Sang-Bock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8권4호
    • /
    • pp.1065-1071
    • /
    • 2007
  • A partial amendment of probability and statistics education in Korea has carried out from January, 2007. We have compared between the patial amendment and 7th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Some ideas are proposed to achieve goals of the revision; textbooks of mathematics are well supervised by well-trained statisticians and teachers are periodically trained for the statistical knowledge.

  • PDF

2015 개정 교육과정과 IB DP에 따른 물리학 교과서 비교 연구: '상대성 이론' 단원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Physics Textbooks based on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IB DP: Focused on the 'Relativity' Unit)

  • 권문호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4권1호
    • /
    • pp.15-37
    • /
    • 2020
  • 우리나라의 과학과 교육과정이 학생들에게 가해지는 학습 부담을 줄이기 위해 '학습량의 적정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IB DP는 학습량이 많을 뿐 아니라 정량적인 계산을 필요로 하는 내용을 상당 부분 포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국가에서 선택하고 있으며 IB를 선택하는 학교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과 IB DP의 물리학 교과서에서 다루는 '상대성 이론' 단원을 중심으로 물리학 교과서의 단원 구성 및 성취기준, 학습 요소, 수식을 비교하고, 우리나라의 수능 문항과 IB DP의 EA 평가 문항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의 과학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와 관련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4년제 간호교육기관의 기초간호학 4개 교과목(인체 구조와 기능, 병원미생물학, 병태생리학, 약물의 기전과 효과) 운영 현황 (Survey of Curriculum for 4 Subjects (Structure and Function of Human Body, Clinical Microbiology, Pathophysiology, & Mechanism and Effect of Drugs) of Biological Nursing in Undergraduate Nursing Education)

  • 이경숙;최은옥;정재심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6권1호
    • /
    • pp.17-25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curriculum on biological nursing: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human body, clinical microbiology, pathophysiology, and function and effect of drugs. Methods: Data was collected by searching and reviewing internet websites of 102 nursing schools or universities which provide 4 years nursing educa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74 curriculum on biological nursing science were available and analyzed by title, credits, hours, types of major (core or selective), offering semester, and laboratory practice. Results: The titles of 4 courses were diverse and were offered as core major (core requisites) or selective major. Structure and function of human body was offered in priority with more credits. Laboratory practice was poorly established in most courses. Biological nursing science courses were mostly taught in the second semester of the first year and the first or second semester of second year nursing education courses. Conclusion: There is a need to standardize the curriculum on biological nursing science and to expand the use of titles proposed by academic society. Also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to identify curriculum details and to reflect the needs of professors.

7차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삽화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 분석 (An Analysis for Gender-Role Stereotyping of Illustrations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Based on the 7th Curriculum)

  • 노태희;차정호;왕혜남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3권1호
    • /
    • pp.85-91
    • /
    • 2004
  • 이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기의 과학 교과서와 실험관찰 교과서에 제시된 삽화를 성역할 고정관념 측면에서 분석하고 6차 교육과정기의 과학 교과서와 비교하였다. 교재에 나타난 삽화에서 성별에 따른 등장인물의 빈도를 세고, 활동 유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과학 교과서의 전체 삽화 수는 6차에 비해 7차에서 2배정도 증가하였다. 2) 아동의 경우 학습활동에서는 성에 관계없이 등장 빈도가 대체적으로 균형을 이루었지만, 학습 외 활동에서는 남학생의 등장 빈도가 여학생보다 더 높았다. 3) 행동 특성에서는 남녀 학생 모두 적극적으로 묘사되었고, 소극적으로 묘사되는 여학생의 비율은 6차 과학 교과서에 비해 감소하였다. 4) 성인의 경우에는 남성의 등장 빈도가 여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5) 가사 활동을 하는 모습에서는 여성의 등장 빈도가 40%로 높게 나타난 반면, 남성은 드물게 나타났다.

  • PDF

과학영재교육원 기초반을 위한 초등 정보과학영재 교육과정 개발 (Development a Curriculum of the Elementary Gifted Children of Information Science for the Basic Course of Science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 오성훈;이애정;이재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89-96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초등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현재 각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초등 정보과학영재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내용을 분석하였다. 둘째, 재량 및 특활 시간에 이루어지고 있는 ICT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초등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교육 요소를 추출하였다. 셋째, 초등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교육과정을 실제 교육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 교육내용을 여러 가지 영역으로 분류하였으며 각각의 영역에 따른 학습주제를 원격교육, 참여교육, 집중교육으로 분류하였다. 넷째, 연간 교육일정에 따른 초등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 PDF

과학 교육과정 개혁 연구의 쟁점들 (The Issues in the Current Studies on the Science Curriculum Reform)

  • 이명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916-929
    • /
    • 2004
  • 근래에 과학교육과정의 개혁에서 쟁점화 된 내용이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ERIC 자료에 수록된 논문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과학교육과정 개혁에 관련된 논문수는 70년대부터 시작하여 90년대 말에는 최고에 이르고 있기 때문에 분석 대상 논문을 최근 10년간의 132편으로 하였다. 두 편이상의 논문이 수록된 18종의 잡지에 전체의 약 66% 의 논문들이 보고되었다. 개혁의 쟁점들을 '개혁 주제', '개혁 소개', '개혁 비판과 전망' 으로 분류하였고, 개혁 주제는 구체적으로 '교사', '과학적 소양', '통합과 교수', '개혁 과정' 으로 구별되었다. '교사'관련 내용은 주로 교사들의 믿음과 신념에 대한 것이고, '과학적 소양'은 소양개념 정의의 불확실성, '통합과 교수'는 통합의 어려움과 관련된 교수 문제, '개혁 과정'은 개혁 참여 인사들의 개인적이거나 집단적 힘의 조정 문제, '비판'은 과학교육 기준의 현장 구현과 과학의 본질에 관련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교과서의 사회정서학습 요소 분석 (Analysis of Science Social Emotions Learning on Secondary Science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and Textbooks)

  • 김서영;박현주
    • 대한화학회지
    • /
    • 제66권2호
    • /
    • pp.163-170
    • /
    • 2022
  • 본 연구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중등학교의 모든 학생들이 이수해야 하는 공통과목인 중학교 과학, 고등학교 통합과학과 과학탐구실험의 성취기준 139개와 교과서 활동 496개를 대상으로 과학과 사회정서학습 요소를 분석하였다.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경우, 7개의 과학과 사회정서학습 요소 중 '문화적 이해'는 거의 포함되지 않았고, '수리', '창의적 사고'는 중학교에서 높은 빈도로 나타났으며, '비판적 사고', '사회적 기술', '윤리적 이해'는 고등학교에 높은 빈도로 포함되어 있었다. 교과서 활동의 경우,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사회정서학습 요소의 경향성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비판적 사고', '창의적 사고', '사회적 기술' 등이 중점적으로 제공되고, '윤리적 이해'와 '문화적 이해'는 제한적으로 반영되어 있었다. 총체적인 사회정서학습 요소 함양을 위해서는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구체화 또는 교과서 활동 및 교수-학습 과정에서의 보완 등이 필요하다.

과학 교사의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역량 실태 (Conditions of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ism on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at the School Level)

  • 곽영순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03-212
    • /
    • 2014
  • 학교 교육과정의 자율화가 확대됨에 따라 단위학교를 중심으로 교사의 교육과정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는 연구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단위 학교의 교육과정 편성 운영 자율성 확대에 부응하기 위해 요청되는 교사의 전문성, 자율성, 책무성 확대 방안을 교사의 교육과정 역량 측면에서 찾고자 하였다. 미래 학교의 교사는 구체적인 학교 상황에서 교육과정을 어떻게 해석하고 적용할 것인지를 탐색하고 개발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분석, 국내외 사례연구, 설문조사 등을 통해 과학 교사의 학교 교육과정 편성 운영 역량의 발휘 실태를 진단하였다. 과학교사들은 교육과정 운영에서의 실질적 자율성 부족, 인프라 미비, 학생성취도로 책무성을 묻는 체제, 숙고를 위한 시간의 부족, 교육과정에 대한 주체성 인식 부족 등이 교사의 자율적 학교 교육과정 편성 운영의 장애요인이라고 지적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 부분에서는 과학교사를 비롯한 현장 교사의 교육과정 역량 발휘의 장애요인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실질적 자율화의 확대, 현장 교사의 교육정책 결정 참여 활성화, 학교평가에서 정성적 요소 강화, 교사의 직급 및 승진 경로의 다양화를 통한 교육과정 역량 강화, 교사의 학습공동체 참여 활성화 등을 제안하였다.

2009 및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화학 교과서에서 모델 관련 내용 분석: 수용액 전기 분해를 중심으로 (Analysis of Contents related to Models in the Chemistry Textbooks of the 2009 & 2015 Revised Curricula: Focusing on the Electrolysis of Aqueous Solutions)

  • 김기향;장하석;백성혜
    • 대한화학회지
    • /
    • 제63권4호
    • /
    • pp.289-306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에서 "모델의 개발과 사용"이라는 항목에서 변화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 내용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화학 I 교과서 8종, 화학 II 교과서 6종을 분석하였으며, 2009 개정 교육과정의 화학 I 교과서 4종, 화학 II 교과서 4종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범위는 수용액의 전기 분해에 관련된 내용만 선택하였다. 또한 동일한 실험을 다른 모델로 해석하는 전해질 관련 내용을 비교하기 위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과학 2 교과서 4종의 관련 단원 내용을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과학 2 교과서 9종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년과 단원에 따라 동일한 실험을 다른 모델로 설명하고 있었으며, 모든 설명은 단일 모델로 제한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모델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는 실험 결과가 나오는 전해질의 종류를 제한하는 경향이 2009 개정 교육과정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개발된 교과서에서 "모델의 개발과 사용"을 반영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