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competencies

검색결과 569건 처리시간 0.029초

공학계열 대학생들의 교과목 성적과 K-CESA 핵심역량의 관계 분석 (The Relationship between Course Grades and the K-CESA Core Competencies for Engineering Students)

  • 황지원;김학진;송오성
    • 공학교육연구
    • /
    • 제19권4호
    • /
    • pp.35-46
    • /
    • 2016
  • With the emphasis on core competencies, the University of Seoul has exerted efforts to reflect the importance of core competencies in university curricula. The main assessment tool used in Korea is the Korea Collegiate Essential Skills Assessment (K-CESA), developed b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KRIVET). This study examined whether core competencies measured using K-CESA are valid as a tool for assessing educational achievements among college students, and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K-CESA scores and course grades. The analysis was performed on approximately 204 engineering students at the University of Seoul.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ore competencies and courses, MSC courses were shown to be related to the resource and through information use competency and higher order thinking competency. Through the Analysis of Variance, students in the accreditation programs and students living in urban area showed higher competency scores. In the multiple regression, it was shown that Accreditation and MSC courses grades were the important variables to predict the competency of the students. Based on these findings, we confirmed that the K-CESA tool has a certain level of correlation with academic performance and that it functions as one of several ways to evaluate the program outcomes of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Perceived Usefulness of Business Coach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Competencies and Business Success

  • IDRIS, Mohd Mahfudz bin;ABU BAKAR, Saridan bi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10호
    • /
    • pp.329-338
    • /
    • 2020
  •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erceived usefulness of business coaching as a moderator between the association of entrepreneurial competencies and business success of women micro-entrepreneurs. This study employs a stratified random sampling technique to collect data from women micro-entrepreneurs who attended business coaching sessions. In total, 261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This study has divided the moderator (i.e., perceived usefulness of business coaching) into two groups, namely, group 1 (with a low mean) and group 2 (with a high mean) for moderation analysis. By us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ath coefficient for groups 1 and 2, the path is moderated by the perceived usefulness of business coaching if the beta value for group 1 is significant, and the beta value for group 2 is non-significant. The results show that eight out of a total of sixteen hypotheses were supported, while the remaining hypotheses were rejected.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 domains of entrepreneurial competencies for women micro-entrepreneurs, including strategic, commitment, conceptual, opportunity, and relationship competencies, together with the perceived usefulness of business coaching, are vital for the business success and should remain the principal focus of future research in women entrepreneurship.

과학대중화를 위한 과학관 해설사 역량 탐색 : 국내·외 과학관 해설사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Exploring Science Communicators' Competencies for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PUS): Focusing on National and International Science Communicators' Curriculums)

  • 박영신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73-390
    • /
    • 2022
  • 이 연구는 국내·외 과학관 해설사의 역량강화를 위한 양성 및 재교육을 포함한 교육과정을 비교하면서 국내의 체계적인 과학관 해설사의 교육과정에 필요한 요소를 제시하는 것이다. 국내의 국립과학관, 자연사박물관, 및 시립과학관 총 6개의 기관에서 국외는 5개의 나라의 과학관 및 자연사박물관 등의 해설사 교육담당 실무자와 해설사들이 이 연구에 참여하여 해설사의 교육과정의 현황, 문제점, 개선점 등에 대해서 2차에 걸친 설문에 응답하였다. 이와 더불어 국내의 20년 이상의 경력을 지닌 모범 박 해설사의 수업일지, 본인 개발 해설사 운영매뉴얼, 인터뷰 등의 자료를 통해 이러한 해설사의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과정에 필요한 요소가 무엇인지를 증거자료로 추가적으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도출된 해설사 관련 결과는 공통점과 특정한 내용으로 비교 기술되었으며 또한 Falk(2006)가 제시한 학습맥락모형(contextual model of learning)으로 제시되는 3가지 맥락인 개인적 맥락, 사회문화적 맥락, 그리고 물리적 맥락에 비추어 해설사의 역량과 얼마나 연계가 있는지도 제시하였다. 국내의 경우는 이러한 학습맥락모형에 연계된 역량강화가 잘 드러나지 않는 반면에 국외 특히 미국의 경우는 이러한 3가지의 맥락에서 필요한 해설사의 역량강화를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 연구에 참여한 20년 경력의 모범 박 해설사의 경우는 이러한 3가지 맥락에서 필요한 역량을 모두 갖춘 경력해설사이기에 이러한 경력해설사로 구성된 멘토 체계로 초임해설사를 양성하고 역량강화를 하는 연수과정을 개발하여 제공한다면 국내 과학관을 방문하는 관람객들이 추구하는 과학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관람객들의 정체성을 잘 파악하여 방문하는 이들에게 최대한의 과학 학습효과를 경험시키기 위해서는 이와 상호작용하는 과학해설사의 교육과정이 운영실무자와 해설사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해설사의 의견이 충분히 반영되는 실무기반 멘토링 제도로 개발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글로벌 시대에 병원행정 관리자가 갖추어야 할 역량 (Competencies Necessary to Hospital Staffs and Managers in the Global Age)

  • 공명달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27-236
    • /
    • 2016
  •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ome basic data necessary to research, education, and policy to cultivate professional talents, by investigating what competencies needed to hospital administrative staffs and managers in performing their jobs in the global age. A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for hospital administrative staffs and managers including first-line hands-on workers who were working in 77 hospitals located in Busan, Keongnam, Ulsan areas in South Korea.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a) The analysis for the competencies needed to hospital administrative staffs and managers in order to perform successfully their jobs revealed that interpersonal competency, knowledge of management skills in healthcare field, understanding ability for healthcare, in that order of importance,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performing their jobs. (b) Regarding the analysis for the detailed competencies necessary to hospital administrative staffs and managers in order to perform successfully their jobs revealed that problem-solving ability, sense of responsibility, positive attitude, leadership, in that order of importance,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performing them. This study suggests that universities opened courses related to health care management should newly open a subject 'problem-solving ability in health care' to link with health care field and their curriculums are necessary to change over to practice-oriented curriculum system.

신체활동사업에서의 보건교육사의 역할과 능력 개발 (Role and Competencies for Health Education Specialist in Physical Activity Programs)

  • 김영복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49-59
    • /
    • 2012
  • Objectives: Physical activity provides economic benefits and contributes in improving health and quality of life. Opportunities for physical activity continue to decrease with the increasing prevalence of sedentary lifestyles. In various settings, there have been many efforts to enhance physical activity to prevent chronic disease for people of all ag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fine competencies of physical activity specialists in health promotion and compare with those of health education specialists. Methods: The study employed official data and manuals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that have been published and uploaded on public websites. Results: Competencies for physical activity in health promotion included needs assessment, analysis of data and scientific information, planning and evaluation, developing strategies and materials, management, building healthy environment, research. To compare with the competency of health education specialists, competencies of physical activity were almost similar to that except the developing individual-based physical activity program in exercise science. Conclusions: Physical activity programs for health promotion should be planned and implemented throughout various health topics and in coordination with multiple sectors. To increase efficiency of the utilization of human resources in health promotion, health education specialists needs to participate in physical activity programs and would require empowerment in exercise science.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한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Program Using Community Resources)

  • 함다정;박재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8권1호
    • /
    • pp.149-162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program using community resources in Paju an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n ESD competencies of 6th graders. The community resources used were Unjeong lake park, environmental circulation center, environmental management center, currency museum, butterfly museum, experience center for peaceful unification, Yulgok arboretum, and Jangsan observatory. The newly developed program was related to creative-experience activity and composed of 15 sessions for 6th-grade class in elementary school, including all of the environmental, economic, and social aspects of ESD. Two classes of the 6th grade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proven that ESD program using community resources did not help improving the perception and function competencies of learners except for the thinking abilities. Second, it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learners' attitude competencies, especially in self-reflective attitude and other-oriented attitude. Also, according to in-depth interview, the students were constantly developing their valu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reflecting their thoughts and behaviors in a reflective way and improving their attitude toward life.

메타리터러시 관점에서의 문헌정보학 전공 커리큘럼 진단연구 (A Diagnostic Analysis of LIS Curriculum from the Meta-literacy Perspective)

  • 유사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91-220
    • /
    • 2018
  • 정보 리터러시와 관련된 인지과정 중심 교육모형(Bloom's taxonomy), 사서 직무교육 내용, 디지털 큐레이션 등에 관한 최근 연구들을 바탕으로 메타리터러시 역량을 도출한다. 웹3.0 정보환경의 상황적 요소를 분석할 수 있는 비판적 사고 능력과 정보 신기술의 적응 능력을 중요한 역량으로 확장시킨 메타리터러시 개념을 기준으로 문헌정보학 전공 대학 커리큘럼을 분석하고 비교한다. 미래지향적 예비 사서의 전문성 배양 측면에서 강조되어야 할 전공 교과목을 진단하고 커리큘럼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공과대학 신입생의 핵심역량 인식수준을 통한 공학교육방향 연구 (The Study on Proper Way for Engineering University Education: Based on the Perception of Current Competencies and Expected Competencies of Engineering Freshmen)

  • 이경희;권혁홍;이정례;이성진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6호
    • /
    • pp.57-71
    • /
    • 2010
  • 본 연구는 대학교육을 통하여 획득해야 하는 핵심역량들을 추출하여 공과대학 신입생들이 인식하는 현재의 역량수준과 기대하는 역량수준을 조사하고 공과대학 교육의 방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핵심역량에 대한 문헌분석을 통해서, '전공능력', '교양능력', '외국어능력', '기초수학능력', '인간소통능력'의 5가지를 공학교육의 목표와 내용이 되어야 할 핵심 역량으로 추출하였다. 이를 연구도구화 한 뒤, C대학교 공과대학 신입생 584명을 대상으로 핵심역량에 대한 현재인식수준과 기대인식수준을 조사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신입생들은 모든 역량에서 현재 역량수준이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특히 '외국어 역량'에 대한 인식수준이 가장 낮았다. 기대인식수준에 대한 교육요구도 '외국어능력'이 가장 높았고, '전공능력'은 두 번째로 높았다. 둘째, 신입생들의 하위특성을 성별, 고등학교 계열별, 출신고등학교의 지역별, 대학입학전형 유형별, 수능 수리유형별로 차이검증을 실시한 결과, 하위특성별로 현재인식수준과 기대인식수준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공과대학 교육의 방향으로 외국어(영어)교육의 강화, 학습자의 하위 특성에 따른 개인차 해소를 위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설계 및 실행, 전공능력뿐 아니라 교양능력 및 인간소통능력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제고와 관련 프로그램의 강화, 교수-학습과정에 대한 피드백 자료 축적을 통한 공학 교육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수정 보완작업, 공학교육과정과 특별프로그램을 통한 진로교육의 활성화를 제언하였다.

  • PDF

데이터사서의 핵심 역량 분석 연구 (An Examination of Core Competencies for Data Librarians)

  • 박형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01-319
    • /
    • 2022
  • 최근 수십 년 동안 데이터 집약적인 연구 환경에서, 데이터 중심의 연구의 양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주요 연구 재단의 데이터 관리 정책이 변화되어 왔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연구데이터를 관리하고 공유하는 데 있어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사서는 데이터 관리 지침, 데이터 큐레이션, 데이터 시각화, 데이터 교육 및 훈련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사서는 데이터 서비스에서 전문가의 역할을 맡기 시작했다. 하지만, 데이터사서라는 새로운 전문직의 역할과 핵심 역량은 아직 명확하게 확립되지 않았다. 따라서, 데이터사서에 대한 핵심 역량을 식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데이터사서 구직에 필요한 핵심 역량을 파악하고자 2017년부터 2021년까지 등록된 95개의 온라인 구인 광고를 바탕으로 채용 정보를 분석했다. 데이터사서의 핵심 역량은 기술, 커뮤니케이션 및 대인 관계, 교육/컨설팅, 서비스, 메타데이터, 도서관 경영, 데이터 큐레이션이었다. 기술 역량은 통계 소프트웨어, 컴퓨터 프로그래밍 활용 역량이 중요했다. 본 연구는 데이터사서의 핵심 역량과 구직에 필요한 요구 사항을 파악하는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고, 현장의 요구를 반영한 교과 과정 개발 및 개정에 활용될 수 있다.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과학 교과 역량에 대한 인식 (Eighth Grade Students' Perception of the Science Core Competencies)

  • 김갑영;김재현;장낙한;김현정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4권2호
    • /
    • pp.157-166
    • /
    • 2020
  •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2학년 과학 교과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과학 교과 역량의 반영 정도와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과학 교과 역량에 대한 인식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2학년 과학 교과서에서 명시적으로 과학 교과 역량을 제시한 빈도를 분석하였으며, 충남 지역의 3개 학교 400명을 대상으로 과학 교과 역량에 대한 인식을 설문 조사를 통해 알아보았다. 설문 조사는 5단계 리커트 척도로 구성된 15개 문항과 5개의 자율 서열형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설문은 성실하게 응답한 327명의 응답을 분석하였으며, 설문 결과의 해석을 위하여 사후 면담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2학년 과학 교과서에서는 과학 교과 역량 중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탐구 능력',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비중이 크며, 학생들은 교과서에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탐구 능력', '과학적 문제 해결력'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학생들은 학교에서 이루어 지는 평가에서 '과학적 탐구 능력'과 '과학적 문제 해결력'의 비중이 높고,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과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의 비중이 매우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학생들이 인식하는 과학에서 가장 중요한 교과 역량은 '과학적 문제 해결력'이고, 과학에서 가장 얻고 싶은 역량은 '과학적 탐구 능력'이었으며, 미래사회를 살아가는 데 가장 필요한 역량은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으로 나타났다. 넷째,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의 경우 과학 소양의 중요한 요소이나 과학 교과서를 구성하는 비율이 낮고 학생들도 과학에서의 중요성이나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