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lastic Aptitude Test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1초

대입수능 선택과목 점수조정을 위한 선형계획모형 개발 및 활용 (A Linear Programming Model to the Score Adjustment among the CSAT Optional Subjects)

  • 남보우
    • 경영과학
    • /
    • 제28권1호
    • /
    • pp.141-158
    • /
    • 2011
  • This study concerns with an applicability of the management science approach to the score adjustment among the College Scholastic Aptitude Test(CSAT) optional subjects. A linear programming model is developed to minimize the sum of score distortions between optional subject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377,089 CSAT(2010) applicants' performances in social science test section, this study proposes a new approach for the score equating or linking method of the educational measurement theory. This study makes up for the weak points in the previous linear programming model. First, the model utilize the standard score which we can get. Second, the model includes a goal programming concept which minimizes the gap between the adjusting goal and the result of the adjustment. Third, the objective function of the linear programing is the weighted sum of the score distortion and the number of applicants. Fourth, the model is applied to the score adjustment problem for the whole 11 optional subjects of the social science test section. The suggested linear programming model is a generalization of the multi-tests linking problem. So, the approach is consistent with the measurement theory for the two tests and can be applied to the optional three or more tests which do not have a common anchor test or a common anchor group. The college admission decision with CSAT score can be improved by using the suggested linear programming model.

조종학생의 학업성적과 조종실기성적에 대한 담당교수의 인식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cognition Level's of Flight Professor's for Curriculum Score vs Flight Practical Skill Score in Flight Educations)

  • 최일규;최연철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7-40
    • /
    • 2003
  • For the flight education, it needs a lot of money. Most of people become airline transportation pilots after completing a cours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select superior students who adapt themselves to flight for flying education. At present, students who have a good high school record and SAT(Scholastic Aptitude Test) are chosen, and educated at Hankuk aviation university, department of aeronautical science and flight operation. This research studies the professor's recogni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actical flight skills and high school record, university grades, and SAT grades.. On this analysis resul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elonging education, completion and work experience.

  • PDF

수능 응시 영역에 따른 대학 교양 수학 성취도 분석 (A Statistical Survey of the Freshmen's Math Achievement Level according to Subdivision Areas of KSAT)

  • 김영희;허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523-535
    • /
    • 2006
  • We surveyed statistically the freshmen's achievement of the first year mathematics courses in Kwangwoon University, which were opened at the first semester of academic year 2006. In doing so, we classified the freshmen according to the Mathematical Area 'ga' or 'na' and the Natural Science or Social Science Area of Korean Scholastic Aptitude Test(KSAT) which they have chosen. We found that the freshmen who have chosen the Mathematical Area 'na' and the Social Science Area have the serious problem in studying the freshmen's math courses.

  • PDF

멀티 에이전트 기반의 진학 상담 위저드 시스템 (Admission Consultation Wizard System Based on Multi-Agent)

  • 이광재;최동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5권6호
    • /
    • pp.109-119
    • /
    • 2005
  • 인터넷의 대중화와 더불어 인터넷의 활용분야가 모든 산업 분야에 파급되고 있는데, 특히 사이버 교육 분야도 인터넷 응용에 의해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그 중에 한 분야가 대학 진학 상담이다. 대학입시 업무 흐름에 있어서 수험생들은 원서 접수를 학교에 직접 방문해서 접수하는 방식과 각 지역 접수 창구와 팩스를 통하여 원서 접수를 하는 방식을 유기적으로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인터넷 원서 접수 환경이 최근 각광을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수험자들이 지능형 다중 에이전트를 이용하여 학과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추천 학과 마법사를 통하여 수능 성적과 학생부 내신 등급으로 자신의 적성과 수능점수에 적합한 학과를 추천받아서 원서 접수시 소신지원 및 안정지원을 할 수 있는 인터넷 원서 접수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

대학에서의 전공영어강의 수강 경험, 고등학교 3학년 때의 경험, 고3 때의 특성, 대학에서의 영어전용 전공강좌 수강경험, 진로결정 유형과 고용상태와의 관계 탐색 (Relationships among Students' 3rd Year High School Characteristics, College English-mediated Subject Courses, Career Decision Type, and Employment Status)

  • 박혜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442-452
    • /
    • 2014
  • 본고는 한국교육고용 패널(KEEP) 1차 및 7차 자료를 이용하여 212명의 고3 때의 특성(수능성취도 포함), 대학 재학 중 영어전용 전공강좌 수강경험, 취업 실태(7차 자료)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대학에서의 전공과목 영어 수업 수강 여부, 영어전용 수업이해도를 예측하는데 사용된 고3 변수인 직업결정여부, 영어사교육경험여부, 영어흥미, 수능영어성취도 중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는 없었다. 대학에서의 경험(해외여행, 교수멘토링, 수업태도, 영어 공부시간)은 영어전용 전공강좌 선택과 관련이 없었으나, 영어전용 전공과목 수업이해도에 있어서 남학생에 비하여 여학생인 경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영어강의 수업이해도는 영어강의 수강회수와 정적상관이 있었으며, 수업의 유용성과 수업이해도는 교수의 영어사용빈도와 정적인 관계가 있었다. 진로결정유형(취업, 대학원진학/ 유학, 기타)과 영어전용 전공과목 수강여부와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수업이해도와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영어전용 수업경험과 고용상태와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사범대학 물리교육과의 전공 교육과정에 관한 예비 교사의 의견과 요구 (Pre-service Teachers' Opinions and Needs on the Physics Education Major Curriculum in College)

  • 조광희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7권2호
    • /
    • pp.374-388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교사 양성을 위한 전공 교육과정에 관하여 물리교육과 재학생의 인식을 조사하고 개선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 사범대학의 물리교육과에 재학 중인 3학년 15명, 4학년 1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응답자 중 24명(86 %)이 고등학교에서 물리 I을 이수하였고, 22명(79%)은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물리 I과목에 응시하였다. 설문 결과에 따르면 본인에게 현재 가장 필요한 영역으로 고등학교 물리 수준의 이해(36%), 일반물리학 수준의 이해(29 %) 등이 많이 선택되었다. 또 가장 필요한 신설 강좌로 응답자의 61 %(17명)가 고등학교 물리 수준의 강좌를 지목하였다. 아울러 일반물리학에 대한 학습이 필요하다는 점에 있어 비교적 일관된 의견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재학생들은 연습 문제 풀이가 어렵고 이해가 부족하여, 일반물리학 학습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는다고 응답하였다. 일반물리학 강좌의 개선 방안으로는 핵심 개념 이해를 위한 충분한 설명을 가장 우선시하였다. 이처럼 설문에 참여한 예비 교사들은 대체로 고교 물리 및 일반물리학의 이해를 도와줄 수 있는 방향으로 대학의 전공 교육과정이 개정되기를 희망하였다. 다만 고등학교에서 물리 II를 이수한 학생과 전혀 이수하지 않은 학생 사이에 의견 차이가 있었다. 새 교육과정의 적용 및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선택 과목 축소 등에 따라 향후 고등학교에서 물리를 이수하고 물리교육과에 입학하는 학생이 더욱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학습 수요를 고려하여 전공 교육과정을 개정하는 방안을 다각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 PDF

공과대학생들의 수리 - 공간 - 언어 능력 사이의 관계 및 성별 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 among Mathematical - Spatial - Verbal Abilities and Gender Differences of Engineering Students)

  • 김연미
    • 공학교육연구
    • /
    • 제18권4호
    • /
    • pp.34-44
    • /
    • 2015
  • Mathematical, spatial, and verbal abilities are important for future engineers to succeed in the STEM disciplin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ssess engineering students' spatial abilities and analyse the relationship with mathematical achievement, verbal achievement, and gender. On the mental rotation tests, 65% of male students demonstrated a substantial level of spatial abilities. But only 30% of female students exhibited spatial skills at the same level as their male colleagues. The correlations between mathematical - spatial - verbal abilities are found to be negligible. When spatial visualization ability was plotted according to the mathematical achievement level,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mean spatial abilities score. But when mathematical achievement score was plotted according to the spatial abilities, there was a noticeable difference. Regression analysis confirmed that female students' mathematical achievement increased as spatial abilities improved. This phenomenon was not observed for male students. It's because male students' spatial ability already contributed to their mathematics achievement. So spatial ability can be regarded as one factor for the gender differences in mathematics achievement. The gender gap on spatial abilities and math achievement is large among high achieving students. For example, there was a 4.3 to 1 male - female ratio and 3.4 to 1 male - female ratio among students scoring 99th percentile in spatial visualization test and scholastic aptitude test-math.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표준점수제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n Alternative to the Standardized Scoring System in CSAT)

  • 황형태
    • 응용통계연구
    • /
    • 제18권3호
    • /
    • pp.521-532
    • /
    • 2005
  • 2005학년도 대학수학능력 시험부터는 수험생들마다 응시 과목들이 서로 다르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과목별 난이도의 차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표준점수제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200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본격적으로 표준점수제를 도입하여 운영해 본 결과, 과목선택의 조합에 따라서 과목별 표준점수의 차이가 지나치게 크게 나타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들이 노출되었으며, 이에 따라 표준점수제에 대한 전면적인 개선이 강력하게 요구되기도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현행 표준점수제의 문제점들을 좀더 심도있게 분석해 보고, 그 개선방안으로 하나의 대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 논문에서 개발한 가산점수제(Additive scoring system)에 의한 결정점수는 현행의 표준점수제가 갖고 있는 여러가지 문제점들을 원천적으로 해소하거나 크게 개선하며,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계산이 간편하다는 등의 장점들도 갖추고 있다.

제7차 지구과학I, II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Research on Ways to Improve the 7th National Earth Science I, II Curriculum)

  • 이양락;김동영;곽영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28-336
    • /
    • 2007
  • In this research we conducted a survey on the actual status of the 7th National Earth Science I & II curriculum to explore ways of revising the next Earth Science curriculum for better education. Of the 180 Earth Science teachers, 60% responded to the survey. The domains of the survey consist of (1) the necessity of Earth Science I & II curriculum revision, (2) educational goals, (3) content coverage, (4) level of difficulty and students' interest for Earth Science content, and (5) ways to overcome the crisis of Earth Science education. Majority of the respondents demanded the revision of Earth Science I, II curriculum because of overlapping and repetition of contents among 10th grade science and Earth Science I and overcrowded Earth Science II content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recommendations on how to improve Earth Science I, II curriculum and how to adjust Earth Science contents are suggested. In addition to curriculum improvement, systematic supports are required for Earth science not to be excluded and turned down by the student and the scholastic aptitude test for university admission.

상급 학년 수준 시험을 활용한 과학고 신입생들의 학업성취도 특성 연구 (Analysis of academic achievements on above-level testing of newly entering students in science specialized high schools)

  • 안태환;박경희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1호
    • /
    • pp.119-138
    • /
    • 2015
  • 본 연구는 과학고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수학, 물리, 화학, 영어 교과에서의 상급 학년 성취 수준을 평가하였다. 상급 학년 수준 시험은 천장효과를 배제한 성취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동형검사지를 개발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고 신입생들의 수학, 과학 교과 학업성취도는 응시생의 50%이상이 수능 5등급이내에 위치하고 영어교과는 19.3%미만의 학생들이 5등급이내의 성적을 나타내어 수학이나 과학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둘째, 과목 내 단원별 학업성취도가 높고 낮은 단원을 보면, 수학은 '행렬' 단원이 높고 '수열' 단원이 낮았다. 미적분과 통계 과목은 '함수의 극한과 연속성' 단원이 높고, '통계' 단원이 가장 낮았다. 물리 과목에서는 '전기와 자기' 단원이 중간 수준, '파동과 입자' 단원이 하위수준이었다. 화학 과목에서는 '생활 속의 화합물' 단원이 높고, '공기' 단원이 낮았다. 영어 교과에서는 읽기 영역의 '실용문'이 매우 높았으며, 쓰기 영역의 '문장'이 낮았다. 결론적으로 상급 학년 수준 시험은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개별화된 프로그램을 적용하는데 좋은 방안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