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izandra Chinensis

검색결과 248건 처리시간 0.026초

ICR 마우스를 이용한 오미자 종자 정유의 단회경구투여 독성시험 (Single Dose Oral Toxicity of Schisandrae Semen Essential Oil in ICR Mice)

  • 한민호;김주완;김기영;김성구;유경진;조용복;황혜진;김병우;김철민;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91-195
    • /
    • 2014
  •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Baillon., Schisandrae Semen)의 열매는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지역에서 오랫동안 전통 의약제로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다. 식물에서 분리된 정유(essential oils)는 다양한 약리효능을 지니고 있지만, 오미자 열매에서 추출한 정유의 약리학적 기전은 밝혀진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오미자 종자의 정유(Schisandrae Semen essential oil, SSeo)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단회경구투여 독성시험을 ICR 마우스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SSeo은 ICR mice에 5,000 mg/kg 농도로 경구 투여하였으며, 14일 후 희생시켰다. SSeo 투여 후 치사율, 임상 증상, 체중 및 부검 소견 상의 유의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각 장기의 무게, 혈액학적 및 혈청학적 임상 화학적 지표에도 총 bilirubin량을 제외한 유의적인 변화는 관찰할 수 없었다. 따라서 SSeo 단회 투여에 따른 치사량은 5,000 mg/kg 이상일 것으로 추정되어 급성 독성 측면에서 유해성이 없다는 의미를 지니며, 경구투여에 따른 어떤 부작용도 나타내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오미자농축액이 급성주정중독량 및 장기간 주정을 투여한 흰쥐의 혈중 알코올 분해율과 간 기능 보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Concentrate on Blood Alcohol Clearance and Hepatoprotective Function in Rats Induced by Acute Ethanol Intoxication and Chronic Ethanol Treatment)

  • 한찬규;성기승;이경원;박성선;정지윤;김성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8호
    • /
    • pp.1139-1147
    • /
    • 2014
  • 본 연구는 알코올성 간 손상을 일으킨 흰쥐에게 오미자추출물이 혈중 알코올 분해율과 간 기능 보호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단회성 급성주정중독시험과 장기 주정투여시험을 각각 수행하였다. 급성주정중독시험은 흰쥐에게 급성주정중독량과 오미자추출물을 투여한 후 60분, 90분, 150분, 240분, 300분, 360분의 혈중 에탄올 농도를 측정하여 경시적인 알코올 분해율을 측정하였다. 장기 주정투여시험은 전반기(4주)는 급성주정중독량(22,23)을 참고하여 1/2용량의 시험주정(Chivas Regal, 40%)을 투여하였고, 후반기(4주)는 시험주정과 함께 물과 오미자추출물(150 mg, 1.0 mL)을 각각 투여하였다. 급성주정중독량시험에서 주정투여 후 90분의 혈중 알코올 농도가 가장 높았고, 주정투여 후 알코올의 기준 농도 대비 360분의 혈중 알코올 분해율은 주정단독투여군(A) 81.4%, 오미자투여군(B) 96.1%, 주정+물투여군(C) 85.3%로 오미자투여군이 다른 두 주정투여군보다 평균 13% 더 높았다. 장기 주정투여시험에서 간장무게는 두 주정투여군(A, B)이 일반대조군(C)보다 통계적으로 무거웠다(P<0.05). 혈청과 간 조직의 중성지방(TG) 함량은 일반대조군이 두 주정투여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간 조직의 TG 함량은 오미자투여군(B)이 주정대조군(A)에 비해 26.5% 낮았다. 혈청 중 총 콜레스테롤(TC) 함량은 실험군 간에 차이가 없었고, 간 조직의 TC 함량은 B군이 A군보다 18.8% 낮았다. 주정과 오미자추출물을 투여한 후 측정한 ${\gamma}$-GT, AST 및 ALT 활성은 오미자추출물군(B)이 주정대조군(A)보다 각각 26%, 12%, 19% 감소하였다. 혈액학치(CBC)는 혈소판을 제외하고는 실험군 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 간세포 조직의 Steatosis score는 주정대조군이 3점인 반면 오미자추출물군과 일반대조군에서는 각각 1점이었고, 붉게 염색된 지방미세과립이 주정대조군에서는 고도 내지 중등도로 세포질내에 침윤(infiltration)된 반면 오미자추출물군에서는 경도로 침윤되었다. 본 연구에서 오미자추출물은 경시적으로 혈중 알코올 분해율을 높여주고, 간 조직의 중성지방량과 간기능치(${\gamma}$-GT, ALT)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알코올성 지방변성을 완화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오미자 가공식품의 개발과 관련한 기초 및 홍보자료로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되는 한편 인체적용시험을 통해 알코올성 간 기능 보효 효과와 관련된 보다 정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반응표면 분석을 이용한 오미자 추출조건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from Omija(Schizandra chinensis Baillon)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이원영;최시영;이보수;박주석;김미자;오상룡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52-258
    • /
    • 2006
  • 오미자를 이용하여 음료 제조를 하기 위한 오미자 추출의 최적조건을 알아보기 위하여 반응 표면 분석을 이용하였다. 각각의 반응표면분석 결과 고형분은 25배 이상의 용매비, $75^{\circ}C$이상 온도, $7{\sim}8$시간, 총산은 25배 이상의 용매비, $75^{\circ}C$의 온도, $6{\sim}7$시간, 페놀성 화합물은 25배의 용매비, $80^{\circ}C$의 온도, $6{\sim}7$시간, 환원당은 25배 이상의 용매비, $80^{\circ}C$ 이상의 온도, $6{\sim}8$시간, 비타민 C는 25배 이상의 용매비, $80^{\circ}C$의 추출 온도와 $5{\sim}6$시간의 추출조건에서 최적의 추출조건을 나타내었고, 탁도의 경우는 7시간에서 $60^{\circ}C$이상, 용매비는 25배 이상일 때 탁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시간을 6시간으로 고정하여 각각의 추출조건에 따른 특성을 알아본 결과 Fig. 3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비타민 C, 환원당, 페놀성 화합물, 그리고 가용성 고형분의 함량은 높고, 음료 제조 시에 강한 신맛을 주어 제조된 음료의 기호도에 좋지 못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총산의 양은 적은 지점을 임의적으로 정하여 최적 추출 조건으로 선정하였으며, 이 범위의 온도는 $65^{\circ}C$, 용매비는 25배로 예측한 결과 가용성 고형분은 2.2%, 비타민 C는 530 mg/g, 환원당은 479 mg/g, 페놀성 화합물은 260 mg/g, 총산의 함량은 190 mg/g, 탁도는 1.18 (O.D)로 나타났다. 결정한 최적 추출조건에서 오미자를 추출한 결과 고형분 1.9%, 비타민 C 451mg/g, 환원당 397 mg/g, 페놀성 화합물 260 mg/g, 총산의 함량 170mg/g, 탁도 1.20 (O.D)와 같은 결과를 얻었으며 반응표면분석에서 예측한 것과 다소간의 양호한 결과로 나타났다.

본태성 고혈압 수컷 흰쥐에서 복합생약제제 (KH-204)가 음경발기 및 음경해면체 조직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Herbal Formula (KH-204) on the Penile Erection and Corpus Cavernosum of Spontaneous Hypertensive Male Rats)

  • 손동완;윤병일;김성대;이은정;김희석;황성완;황성연;김두배;김현우;조용현;김세웅
    • 생약학회지
    • /
    • 제38권3호통권150호
    • /
    • pp.239-244
    • /
    • 2007
  • The herbal formulation (KH-204) mainly consisted of the fruits of Lycium chinense, Cornus officinalis, Rubus coreanus, Cuscuta chinensis and Schizandra chinensis.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is herbal formulation on the penile erection and corpus cavernosum of spontaneous hypertensive male Rats (SHR). We used male SHR aged 16 weeks as a model of hypertension. The treatment groups received once a day oral doses KH-204 100 and 300 mg/kg per day for 4 weeks. Distilled water was administered in the control group. To investigate the penile erection, intracavernosal pressure (ICP) and mean arterial pressure (MAP) were recorded in all groups. We analyzed the distribution of NOS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and the expression of nNOS, eNOS concentration in the isolated corpus cavernosum by western blotting. In the control group, ICP/MAP ratio was $14.9{\pm}1.4%$ after pelvic nerve stimulation. ICP/MAP ratio was markedly increased in the treatment group with KH-204 100, 300 mg/kg, compared with control group.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NOS showed that eNOS and nNOS was stained as brown color.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NOS activities of KH-204 100, 300 mg/kg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Also the penile expression levels of nNOS, eNOS in KH-204 100, 300 mg/kg treatment group were more increased significantly than control group by western blotting. This study showed that KH-204 enhances the penile erection and the level of eNOS and nNOS expression of penile corpus cavernosum of male SHR.

오미자 건조와 저장에 관한 연구 (Studios on Drying and Preservation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

  • 정기태;주인옥;최정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17-223
    • /
    • 1998
  • 천일건조, 열풍건조, 동결건조한 건오미자의 품질과 저장온도별 성분변화 및 생오미자의 저장수명을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다. 건오미자의 pH와 산도는 건조방법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으나 환원당은 열풍건조(11.02%)와 동결건조(10.12%)에 비해 천일건조(3.77%)에서 월등히 낮았고 조단백질함량은 동결건조ㆍ열풍건조ㆍ천일건조 순으로 나타났으며 흡광도(520nm)와 a값은 천일건조와 열풍건조에 비해 동결건조시(3.889) 2.4-2.7배와 3배가 각각 높았다. 건오미자 저장중 수분함량은 저장기간이 길어질 수록 증가하였으며 산도는 $25^{\circ}C$$^{\circ}C$ 저장에서 감소되었으나 저온 및 냉동저장에서는 변화가 적었다. 환원당은 저장온도에 관계없이 계속 증가하다 8개월 이후부터 감소하였고 흡광도와 색택(L, a, b값)은 $25^{\circ}C$$^{\circ}C$저장시 감소되었으나 저온 및 냉동저장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생오미자의 4$^{\circ}C$ 저장시 9일부터 부패가 일어나 저장가능기간은 9일로 판단되며 냉동저장시 산도와 환원당은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고 흡광도는 저장 8개월 후에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그 후 감소하였는데 -6$0^{\circ}C$ 저장구에는 초기 흡광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 PDF

생약 열수추출물의 근력향상 효능 평가 (Evaluation on the Muscular Strength Activity of Medicinal Herb Hot-Water Extracts)

  • 이창호;김영언;김인호;한대석;성기승;양동흠;송태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678-682
    • /
    • 2007
  • 생약 열수추출물의 근력 향상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근력 측정 및 혈액의 피로요소를 분석한 결과 간 글리코겐 함량은 모든 식이군들이 대조군에 비하여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특히 맥문동, 오미자, 오가피, 함초 식이군의 경우 높은 글리코겐 함량을 나타내었다. 4주간 측정한 근력 향상효능은 오가피, 함초, 홍삼 열수추출물 섭취군의 경우 다른 열수추출물 섭취군에 비하여 높은 근력 향상 효과를 보여주었다. 무기인산은 맥문동, 오미자, 오가피, 두충, 구기자, 홍삼 열수추출물 섭취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젖산 함량은 모든 생약재 열수추출물 식이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낮은 함량을 나타내어 생약 열수 추출물을 이용한 근력 향상용 기능성 식품의 개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오미자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Omija(Schizandra chinensis Bailon))

  • 김좌숙;최선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5-42
    • /
    • 2008
  • To develop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Omija extracted with water was evaluated on antioxidative activity. Omija, high acid material with pH 3.6, contain $57.5{\pm}1.03%$ of moisture, and $18.8{\pm}0.12%$ of crude fat. This material have $12.6{\pm}0.04%$ of carbohydrate and $11.1{\pm}0.07%$ of crude protein as well, but ash and crude protein contents were found less than 10%. 10 mineral contents were also found, too; K and Ca showed the highest level, then Al, Mg, Na and Mn were followed. In composition amino acid contents, glutamic acid took the largest portion, $131.7{\pm}1.3$ mg/100 g, aspartic acid $51.5{\pm}0.6%$, and other composition amino acid under 50%. In case of free sugar contents, 7 types were found. Most of them were glucose and fructose. Total phenolic compounds showed the highest level, $2,862.6{\pm}31.7$ mg/100 g. $197.8{\pm}14.6$ mg/100 g of flavonoid and $225.6{\pm}18.2$ mg/100 g were included. In terms of electron donating ability, radical scavenging ability activated as the amount of Omija extract increased. In particular, Omija extract in 1,000 ${\mu}g/m{\ell}$ demonstrated almost similar electron donating ability, $72.4{\pm}0.21%$, to BHT. It was also found that antioxidant activities of electron donating ability, SOD-like ability,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were highly promoted as Omija extract concentration increased.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y was significant when the extract belonged to strong acid region and doping concentrations increased.

전라북도 지방의 한약자원 식물에 관한 연구 (Studies on Herbal Resources Plants in Chollabuk-do Area)

  • 길봉섭;김영식;김창환;유현경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1-65
    • /
    • 2000
  • 전라북도지방 소산 한약자원 식물은 91과 305속 470종 1아종 30변종 2품종으로 총 503종류가 본 조사결과 밝혀졌다. 각 과별로 그 숫자가 많은 종류는 국화과에 속하는 식물이 45종류로 가장 빈번하게 나타났고 그 다음은 장미과 식물이 30종류 그리고 콩과는 23종류의 순서였다. 전 조사지역에 고루 다수 분포하는 종류는 오미자, 마, 승마, 촛대승마, 족도리, 천남성, 둥굴레, 꿀풀, 박새를 들 수 있으며 집중적으로 나는 상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정량조사를 실시한 결과, 예컨대, 더덕은 5m$\times$5m내에 30-50 개체가 덕유산 표고 약1300m 북서사면에서 조사되었다. 현재 심한 채취로 감소추세에 있는 식물은 둥굴레, 오미자, 더덕 등이고, 농가에서 재배중이거나 앞으로 개발 유망하며 가치가 높은 종류는 만삼, 가시오갈피, 천마, 복분자딸기, 더덕, 하수오 등이 있다. 요컨대 전라북도 지방에는 풍부하고 다양한 한약자원식물이 자연상태에 분포하고 있으며 이를 연구하고 집중적인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 PDF

Dexamethasone에 의하여 유발된 근육 위축 생쥐의 비복근 근섬유에서 apoptosis와 염증 반응에 미치는 오미자 추출물의 영향 (Effects of Schisandrae Fructus Supplementation on Apoptosis and Inflammatory Response in Gastrocnemius Muscle of Dexamethasone-Induced Muscle Atrophy Mice)

  • 최영현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63-374
    • /
    • 2017
  • Dried fruits of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Fructus Schisandrae, have been widely used for many years to prevent and treat various diseases in Asian countries including Korea and Russia. It has recently been reported that extracts of Fructus Schisandrae are effective for controlling muscle and skeletal diseas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icacy of ethanol extract of Fructus Schisandrae (EEFS) on apoptosis and inflammatory response in gastrocnemius muscle of dexamethasone-induced catabolic muscle atrophy mice as part of natural substance discovery and functional analysis for improving muscle func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EEFS supplementation attenuated body weight gains and suppressed calf thickness loss in dexamethasone-induced muscle atrophic mice. Gastrocnemius muscle immunohistochemistry showed that expression of caspase-3 and poly(ADP-ribose) polymerase, which are representative apoptotic markers, was markedly increased in dexamethasone control mice; however, their expression was effectively reduced in the EEFS-fed mice. EEFS supplementation also prevented dexamethasone-induced increases in immunoreactivity of muscle fibers for myostatin, an important negative regulator of skeletal muscle mass. In addition, EEFS significantly normalized the increased numbers of nitrotyrosine, 4-hydroxynonenal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positive muscle fibers compared to that found in dexamethasone control mi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EEFS protects dexamethasone-induced muscular atrophy by decreasing apoptosis and inflammatory responses, and EEFS is more likely to be developed as a muscle strengthening agent.

Escherichia coli에 대한 한약재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from medicinal herbs against Escherichia coli)

  • 조재용;최일;황의경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625-631
    • /
    • 2003
  • The extracts from 40 different traditional medicinal herb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Escherichia coli. Among them, the extracts from Paeonia suffruticosa (PS), Siegesbeckia orientalis (SO), Schizandra chinensis (SC), Caesalpinia sappan (CS) and Rhus javanica (RJ) exhibited high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E. coli,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 of the RJ extract against E. coli were 0.8 mg/ml. After heating treatment of these extracts,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E. coli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case of the CS extract. After alkaline or acid treatment of these extracts,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E. coli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PS extract but reduced in both SO and RJ extract. Since extracts from RJ and CS exhibited the highest antimicrobial activities, bacterial growth-inhibiting activities against E. coli by these two extracts were further examined. Optical density at 620 nm after 24 hours incubation of E. coli in the presence of 100, 300 or 500 ppm of RJ extract ranged from 0.1 to 0.2 compared to 0.35~0.65 in the absence of RJ extract, indicating that growth of E. coli was significantly inhibited within 24 hours by the addition of at least 100 ppm of RJ extract. Optical density at 620 nm after 24 hours incubation of E. coli in the presence of 300 or 500 ppm of CS extract ranged from 0.01 to 0.25 compared to 0.5~0.55 in the absence of CS extract, indicating that growth of E. coli was also significantly inhibited within 24 hours by the addition of at least 300 ppm of CS extract.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xtracts from RJ and CS may play important roles for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E. coli causing various animal dise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