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turated fatty acid contents

검색결과 372건 처리시간 0.038초

시판 과메기의 지방산 조성, 아미노산 및 무기질 함량 (Fatty Acid Composition, Total Amino Acid and Mineral Contents of Commercial Kwamegi)

  • 윤민석;허민수;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00-108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haracterize the nutrion of commercial Kwamegi, a Korean traditional food made from semi-dried Pacific saury, Cololabis saira. The ratios of saturated and monoenoic fatty acids to polyenoic fatty acids in commercial Kwamegi ranged from 0.52-0.75 and 1.01-1.53, respectively. The major fatty acids in commercial Kwamegi were 16:0 (9.1-14.2%), 20:1n-9 (8.6-16.1%), 22:1n-9 (15.7-22.1%), and 22:6n-3 (11.0-18.0%). The total amino acid content of commercial Kwamegi ranged from 27.10-33.19 g/100 g. The major amino acids in commercial Kwamegi were aspartic acid (11.8-13.0%), glutamic acid (14.3-16.0%), leucine (7.8-8.5%), and lysine (7.5-9.0%), which accounted for more than 41% of the total amino acid content. The mineral content of commercial Kwamegi ranged from 0.7-4.3 mg/100 g for zinc, 279.6-466.3 mg/100 g for potassium, 41.7-128.3 mg/100 g for calcium, 38.8-77.8 mg/100 g for magnesium, and 224.3-348.4 mg/100 g for phosphoru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mmercial Kwamegi is a superior food in terms of nutrition and health.

임자수탕(荏子水湯) 조리법의 표준화와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and Cooking Properties of Imjasootang)

  • 김승주;조진아;조정순;조후종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97-202
    • /
    • 199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tandardized the cooking method of Imjasootang, a traditional health food in summer. By mixing chicken soup with 20 g (I$_1$), 30 g (I$_2$), 40 g (I$_3$), 50 g (I$_4$) of seasam seeds,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 and level of preference of Imjasootang were examined through the analyses of the proximate composition, fatty acid contents, color index, turbidity, brix$^{\circ}$, and sensory evaluation. 1.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Imjasootang was 90.2∼95.1% of total moisture, 0.985∼1.271% of crude protein, 0.90∼0.98% of crude fat, 1.592∼2.456% of nonfiber, 0.003∼0.004% of fiber, and 0.77∼0.97% of crude ash. Fatty acid were composed of 15.15∼17.36% of saturated fatty acid and 79.73∼82.54% of unsaturated fatty acid. Imjasootang contains high level of oleic acid and linoleic acid which were dependant on the content of seasame seeds. 2. For color index of samples, the lightness ranged 47.2∼56.9, “a”values 1.82∼2.15%, and “b”values 15.5∼16.5%. The turbidity of samples ranged 39∼61%, in which I$_4$ (chicken stock 100 g+sesame seed 50 g+water 25 g) was the most turbid. Solid content was also the highest in I$_4$, ranging 1.4∼5.1%. 3. In sensory evaluation, all sesame seed Imjasootangs had no significance differences in appearance. The higher the level of sesame seed in Imjasootangs, the more Imjasootang was preferred in terms of nutty aroma, color nutty taste. and viscosity. I$_4$ had the strongest nutty aroma. I$_2$ (chicken stock 100 g+sesame seed 30 g+water 15 g) and I$_3$ (chicken stock 100 g+sesame seed 40 g+water 20 g) were the best in the overall preference.

  • PDF

도마도과실(果實)의 저장중(貯藏中) 함유지질(含有脂質)의 변화(變化)에 관(關)하여 (Changes in Lipid Contents of the Tomato Fruits during Storage)

  • 임영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7-38
    • /
    • 1986
  • 도마도 과실의 추숙 및 저장 과정에 있어서 품질(品質) 유지 및 저장(貯藏) 효과를 높이고자, 우리나라에서 많이 생산되고 있는 도마도 품종(品種) "강력미수"를 녹열기(緣熱期)에 수확하여 각각 추숙최적온도를 $25^{\circ}C$와 저장적온도 $15^{\circ}C$, 그 중간(中間) 온도(溫度)인 $20^{\circ}C$에서 저장(貯藏)하면서 저장중의 생리화학적(生理化學的) 변화(變化)에 따른 과실체내(果實體內)의 호흡량(呼吸量)의 변화(變化)와 경도(硬度)의 변화(變化) 그리고 지질성분(脂質成分)의 변화(變化)를 조사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도마도 과실의 저장중(貯藏中) 호흡량(呼吸量)의 변화(變化)는 $25^{\circ}C$구(區)에 있어서 climacteric rise현상이 가장 빨리 나타났으며, climacteric maximum에 있어서의 호흡량(呼吸量)도 다른 저장구(貯藏區)보다 많았으며, $20^{\circ}C$구(區)와 $15^{\circ}C$구(區)의 순(順)으로 나타났다. 도마도 과실의 저장중 경도(硬度)의 변화(變化)는 $25^{\circ}C$區에 있어서, 저장 기간 전반(全般)에 걸쳐, 가장 빨리 감소(減少)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20^{\circ}C$구(區)와 $15^{\circ}C$구(區)의 순(順)으로 나타났다. 도마도 과실의 저장중 총(總) 지질(脂質) 함량(含量)의 변화(變化)는 $25^{\circ}C$구(區)에 있어서 저장중(貯藏中) 전반적(全般的)으로 큰 변화(變化)가 없었는데 비하여 $20^{\circ}C$구(區)와 $15^{\circ}C$구(區)는 저장(貯藏) 중기(中期) 및 후기(後期)에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냈으며, 증가(增加)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그중에서도 특히 $15^{\circ}C$구(區)에서는 저장 후기인 저장(貯藏) 30일경 부터 저장 말기(末期)인 저장 40일경 까지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도마도 과실의 저장중(貯藏中) 중성지질(中性脂質)의 변화(變化)는 저장기간(貯藏期間)을 통털어 전반적(全般的)으로 큰 변화(變化)가 없었다고 볼 수 있으며, 그에 비해 당지질의 변화(變化)는 일정치 않게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내었고, 인지질(燐脂質)의 변화(變化)도 비교적 안정되게 증가(增加)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도마도 과실의 각각의 지질 성분(成分)의 구성 지방산의 조성을 저장(貯藏) 기간중(期間中) 조사한 결과(結果)는, 중성지질(中性脂質) 당지질(糖脂質), 인지질(燐脂質)에 있어서 포화지방산으로는 palmitic acid의 함량(含量)이 많았고, 불포화지방산으로는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그리고 oleic acid의 함량(含量)이 많았다. 도마도 과실(果實)의 저장중(貯藏中) 포화지방산(飽和脂肪酸)에 대한 불포화지방산(不飽和脂肪酸)에 있어서는, 전반적(全般的)으로 증가(增加)하는 경향이었으며 인지질(燐脂質)에 있어서는, 거의 변화(變化)가 없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C_{16}$지방산(脂肪酸)에 대한 $C_{18}$지방산(脂肪酸)의 함량비(含量比)는 중성지질(中性脂質)에 있어서는 저장 기간 전반(全般)에 걸쳐 대체적(大體的)으로 증가(增加)하였으며, 당지질(糖脂質)에 있어서는 약간(若干) 감소(減少)하였고, 인지질(燐脂質)에 있어서는 약간(若干) 증가(增加)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유지방 획분 첨가가 코코아 버터의 지방조성과 용융거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dition of Fractionated Milk Fats on Fat Composition and Melting Behavior of Cocoa Butter)

  • 김상용;노회진;오덕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82-491
    • /
    • 1997
  • 유지방 획분의 첨가가 코코아 버터의 지방조성 및 용융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여과하여 유지부분인 무수 유지방을 얻었고 용융 결정법으로 유지방을 분획하여 고융점 획분, 중융점 획분1, 중융점 획분 2, 저융점 획분을 얻었고 이들의 융점은 각각 $33.3^{\circ}C,\;31.2^{\circ}C,\;40.6^{\circ}C,\;37.4^{\circ}C,\;33.5℃$$6.5^{\circ}C$이었다. 고급지방산$(C16{\sim}C18)$과 포화 지방산의 함량은 융점 감소 순서인 고융점 획분> 중융점 획분1> 중융점 획분2> 무수 유지방> 저융점 획분 순서로 적게 나타났다. 또한 저급지방산$(C4{\sim}C10)$ 및 중급지방산$(C12{\sim}C14)$은 중융점 획분2> 무수 유지방> 고융점 획분> 중융점 획분1> 저융점 획분 순서로 적게 나타났다. 유지방 획분을 코코아 버터에 첨가한 결과 고급 지방산 함량은 유지방 획분의 첨가량에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포화 지방산 함량은 저융점 획분을 첨가한 경우에만 감소하였다. 저융점의 유지방 획분일수록 중성지방 조성 중 고급 중성지방의 함량은 적게 나타났다. 유지방 획분이 코코아 버터에 첨가될 때 구성 중성지방 조성을 비교한 결과, 획분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고급 중성지방의 함량은 감소되었다. 여러가지 온도에서 측정된 무수 유지방과 유지방의 획분의 고체지방의 함량은 고융점 획분 > 중융점 획분 1> 중융점 획분 2> 무수 유지방> 저융점 획분 순서인 융점감소의 순서로 감소하였고, 코코아 버터에 비해 매우 완만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지방 획분을 코코아 버터에 첨가시켜 온도별로 고체지방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무수 유지방과 유지방 획분들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각 측정 온도의 고체지방의 함량은 일정한 비율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무수 유지방과 유지방 획분들이 코코아 버터에 혼합하여 사용 할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PDF

육성기의 티머시 건초 조사료 급여가 거세 한우의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Timothy Hay Roughage on the Beef Quality of Growing Period Fattening Hanwoo Steers)

  • 김병기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84-289
    • /
    • 2006
  • 본 연구는 거세한우에 대한 육성기의 티머시 건초 조사료의 급여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거세우 20두를 공시하여 대조구와 시험구의 2개처리구로 생후 5개월 부터 28개월까지 24개월간 비육시험한 후 등심부위 근육을 분석하였다. 가열 감량, 전단력은 대조구가, 다즙성, 향미는 시험구가 다소 높은 경향이었지만, 관능검사 결과 연도는 시험구(5.10점)가 대조구(4.30점)보다 통계적인 유의성이 인정되었다(p<0.05). 지방산 조성에서 포화지방산은 $42.83{\sim}40.75%$ 범위였고, 불포화지방산과 MUFA 및 PUFA은 시험구(59.25%, 55.61%, 3.40%)와 대조구(57.17%, 54.40%, 2.77%)간에는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p>0.05).

국내 유통 콩의 지방함량 및 지방산 조성변이 (Diversity in Lipid Content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Soybean Seeds Cultivated in Korea)

  • 김선림;이영호;지희연;이선주;김시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348-357
    • /
    • 2007
  • 우리나라에서 재배 생산된 콩을 지역별로 수집하여 단백질, 지방함량 및 지방산 조성의 변이를 구명하여 국내 콩 자원의 이용성을 증진하고 고품질의 국산콩 생산기반 구축 및 특산단지 조성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하면 다음과 같다. 1 황색콩의 백립중은 $24.6{\sim}36.6$ g(평균 29.0g)이었고, 검정콩은 $27.7{\sim}33.1g$(평균 31.2 g)의 변이를 보였으나 백립중 편차의 폭이 커 국내 유통 콩의 크기가 매우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 2. 검정콩 59종의 단백질 함량은 38.6%로서 황색콩 58종의 단백질 함량 37.9%보다 높았으나 지방함량은 황색콩이 18.1%로서 검정콩의 17.6%보다 높아 종피색에 따른 변이를 보였다. 3. 우리나라 지역별 수집콩 117종의 지방산의 수준은 linoleic > oleic > palmitic > linolenic > stearic > arachidic > myristic > benhenic acid 순으로 높았으며, linoleic acid가 53.75%, oleic acid가 22.08%로서 지방산조성의 약 75.83%에 해당되었다. 4. 불포화지방산 수준은 수집 지역간에 통계적 유의차가 있었으나 linoleic acid 및 oleic acid수준은 수집지역에 따른 변이가 통계적으로 유의차를 보이지 않아 불포화지방산의 지역간 수준 차이는 주로 linolenic acid의 변이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5. 황색콩의 linoleic, oleic, palmitic, linolenic acid의 조성은 각각 53.43%, 22.73%, 12.23% 및 8.24%였으나 검정콩은 54.13%, 21.48%, 12.47% 및 8.31%로 나타나 콩의 종피색에 따른 지방산 수준에 변이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6. Oleic acid의 수준은 종피색에 따른 뚜렷한 변이를 보였으며 황색콩이 검정콩에 비하여 oleic acid의 조성비가 높게 분포되어 있었다. 7. 황색콩의 경우 백립중이 무거울수록 불포화지방산의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r=-0.513, P<0.01), 검정콩의 경우에는 백립중이 증가됨에 따라 불포화지방산의 수준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r=0.154^{ns}).$

배양 조건에 따른 Spirulina platensis의 성장 및 지방산 조성 (Growth and fatty Acid Composition with Growth Conditions for Spirulina platensis platensis)

  • 주동식;조만기;레이너 부홀츠;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09-416
    • /
    • 1998
  • 판형 배양조를 이용하여 온도와 빛 강도를 변화시키면서 Spirulina platensis의 성장과 이에 따른 균체내 지질축적량 및 지방산의 조성을 분석하였다. 균체량으로부터 빛 강도에 대해서 고찰해본다면 $2695{\mu}E/m^3/sec$의 낮은 빛 강도는 적절한 배양 빛 강도가 아니었고, 온도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지만 $4235{\mu}E/m^3/sec$$6391{\mu}E/m^3/sec$ 사이의 빛 강도가 적절였다. 온도의 경우 $40^{\circ}C$에서는 빛 강도에 관계없이 균체 성장이 억제되고 결국에는 사멸이 일어나는 것으로 판단되었고, $25^{\circ}C$의 낮은 온도에서는 성장이 지연되었다. $30^{\circ}C$$35^{\circ}C$가 적절한 온도였는데, 빛 강도에 따라 온도의 선택이 달라져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지질 함량은 $30\~35{\circ}C$ 온도와 $4235-6391{\mu}E/m^3/sec$ 사이의 빛 강도에서 최대를 보여주고 있으며, 지질조성은 배양 조건에 관계없이 C16 : 0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C210 : 0, C18 : 2의 순이었고, 특정 지질성분의 생산이라는 측면에서 기대했던 C18 : 3의 함량은 몇몇 조건에서만 극히 소량으로 검출되었다.

  • PDF

Growth Performance, Meat Quality and Fatty Acid Metabolism Response of Growing Meat Rabbits to Dietary Linoleic Acid

  • Li, R.G.;Wang, X.P.;Wang, C.Y.;Ma, M.W.;Li, F.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8호
    • /
    • pp.1169-1177
    • /
    • 2012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fferent amounts of dietary linoleic acid (LA) on growth performance, serum biochemical traits, meat quality, fatty acids composition of muscle and liver, acetyl-CoA carboxylase (ACC) and carnitine palmitoyl transferase 1 (CPT 1) mRNA expression in the liver of 9 wks old to 13 wks old growing meat rabbits. One hundred and fifty 9 wks old meat rabbits were allocated to individual cages and randomly divided into five groups. Animals in each group were fed with a diet with the following LA addition concentrations: 0, 3, 6, 9 and 12 g/kg diet (as-fed basis) and LA concentrations were 0.84, 1.21, 1.34, 1.61 and 1.80% in the diet,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as follows: the dietary LA levels significantly affected muscle color of LL included $a^*$ and $b^*$ of experimental rabbits (p<0.05). The linear effect of LA on serum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was obtained (p = 0.0119). The saturated fatty acids (SFAs) and monounsaturated fatty acids (MUFAs) contents of LL decreased and the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s) content of LL increased with dietary LA increase (p<0.0001). The PUFA n-6 content and PUFA n-3 content in the LL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dietary LA levels (p<0.01, p<0.05). The MUFAs content in the liver decreased and the PUFAs contents in the liver increased with dietary LA increase (p<0.0001). The PUFA n-6 content and the PUFA n-6/n-3 ratio in the liver increased and PUFA n-3 content in the liver decreased with dietary LA increase (p<0.01). The linear effect of LA on CPT 1 mRNA expression in the liver was obtained (p = 0.0081). In summary, dietary LA addi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liver and muscle fatty acid composition (increased PUFAs) of 9 wks old to 13 wks old growing meat rabbits, but had little effects on growth performance, meat physical traits and mRNA expression of liver relative enzyme of experimental rabbits.

Physicochemical attributes, oxidative stability, and microbial profile of boneless sirloin and bone-in T-bone steaks from Hanwoo steer with reference to dry-aging

  • Ali, Mahabbat;Nam, Ki-Chang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3권5호
    • /
    • pp.1169-1181
    • /
    • 2021
  • We investigated the comparative physicochemical attributes, oxidative stability, and microbial characteristics of 28 days dry-aged meat in between boneless sirloin (gluteus medius) and bone-in T-bone steaks (infraspinatus) muscles from Korean Native Hanwoo Steer (KNHS). Results reveal that regardless of the muscles, dry-aging increased protein content and water-holding capacity (WHC) (p < 0.05). Meat from infraspinatus-aged muscle led to darker meat with higher pH values than un-aged meat (p < 0.05). However, fat content, CIE a*, and CIE b* remained unchanged in both muscles at aging. At aged meat,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values from bone-in infraspinatus muscle was 2.5-fold higher than boneless gluteus medius muscle (p < 0.05). Dry-aging led to an increase in the contents of total unsaturated fatty acids (UFAs), monounsaturated fatty acids (MUFAs), and UFA/saturated fatty acids (SFA) in both muscles (p < 0.05). Furthermore, gluteus medius aged muscle concentrated with olic acid (C18:1) compared to infraspinatus aged muscle. Irrespective of the muscles, dry-aging enhanced the total free amino acids (FAAs) as well as tasty, and bitter amino acid contents whereas decreased the tasty/bitter amino acids (p < 0.05). Aromatic amino acid, tryptophan that converted to serotonin was 2-fold higher in boneless gluteus medius muscle than bone-in infraspinatus muscle at pre and post aging processes (p < 0.05). Aged Infraspinatus muscle increased total bacteria (p < 0.05) while no salmonella spp. was detected in both muscles. Taken together, our study confirms that 28 days dry-aging profiling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oneless sirloin (gluteus medius) and bone-in T-bone steaks (infraspinatus) distinctly while gluteus medius aged steak performs better owing to oxidative stability and functional compounds than infraspinatus aged steak.

Physicochemical Profiles of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Bones as a Food Resource

  • Cho, Suengmok;Kim, Soo-Yuen;Yoon, Minseok;Kim, Seon-Bon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7권2호
    • /
    • pp.175-180
    • /
    • 2014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characteriz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ub mackerel bones (CMB) to evaluate its potential as a food resource.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CMB showed 40.4% moisture, 13.8% crude fat, 15.2% crude protein, and 28.7% ash. The major minerals in CMB were calcium (26.27 g/100 g) and phosphorus (15.88 g/100 g). The amino acids were rich in glycine, proline, glutamic acid, and alanine. The contents of total and neutral lipids, glycolipid and phospholipid were shown to be 16.05%, 95%, 2.32%, and 3.15%, respectively. The major fatty acids were C22:6, C16:0, C18:1, C20:5, C18:0, C17:0, C14:0, C20:1 in order. The fatty acid contents of total and neutral lipid were in a range of 39.25% and 44.54% for saturated and 33.61% and 34.05% for polyunsaturated, respectively. The breaking strength and hardness of intact CMB were 10.01 and $50.03kgf/cm^2$, whereas those of CMB heated for 45 min at $121^{\circ}C$ were 0.40 and $1.94kgf/cm^2$,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