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tellite SST

검색결과 169건 처리시간 0.021초

한반도 서해 연안 해역에서의 해양 부이 관측 수온과 위성 마이크로파 관측 해수면온도의 비교 (Comparison of Sea Surface Temperature from Oceanic Buoys and Satellite Microwave Measurements in the Western Coastal Region of Korean Peninsula)

  • 김희영;박경애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555-56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서해 연안에서의 실측-위성 해수면온도 차이를 규명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GCOM-W1/AMSR2 마이크로파 해수면온도 자료와 서해 연안에 위치한 덕적도, 칠발도, 외연도 해양기상 부이의 실측 수온 자료를 활용하여 2012년 7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총 6,457개의 일치점 자료를 생산하였다. 5년 이상의 덕적도, 칠발도, 외연도 해양 부이 수온 자료와 AMSR2 해수면온도를 비교하여 정확도를 제시하였다. 마이크로파 위성 해수면온도와 현장 관측 부이 해수면온도 간의 차이는 풍속과 수온 등 환경 요인에 대한 의존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낮시간 풍속이 약할 때 ($<6ms^{-1}$) AMSR2 해수면온도는 실측 해수면온도보다 높게 산출되며, 밤시간에 대해서는 풍속이 커질수록 양의 편차가 증가함을 밝혔다. 또한 AMSR2 해수면온도와 실측 해양부이 수온 간의 차이가 증가하는 경향은 낮은 온도에서 마이크로파 센서의 민감도의 저하와 육지에 의한 자료오염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측-위성 해수면온도 차이를 월별로 도시해본 결과, 마이크로파 위성 해수면온도의 편차는 강한 바람이 부는 겨울철에 가장 커진다고 알려져 있던 기존의 경향성과는 달리 덕적도, 칠발도 부이에서는 여름철 가장 큰 해수면온도 편차값이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부이의 위치에 따른 조석 혼합의 공간적 차등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인공위성 합성장에 기여도가 높은 마이크로파 위성 해수면온도를 사용할 때 한반도 서해안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과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NOAA 수온영상 재처리 기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Retreatment Techniques for NOAA Sea Surface Temperature Imagery)

  • 김상우;강용균;안지숙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31-33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동북아시아 NOAA AVHRR 위성관측 16년간(1990-2005) 해양표면 수온영상을 이용하여 에러 값 제거와 결측 자료 보완을 위하여 마르코프 계수를 결정하였고, 이 값에서 현재 수온평년 값을 더하여 구름 없는 해양표면수온 생성 기법을 제시하였다. 마르코프 연쇄 모델의 결과에 의하면, 마르코프 계수는 해류가 강한 쿠로시오 해역 등이 해류가 약한 동해 북서부의 대부분 해역과 동중국해보다 그 계수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평균 수온의 변동은 봄과 가을이 겨울과 여름에 비하여 분산이 크게 나타났고, 계절별 일간 수온 차이도 수온의 계절적 변동이 큰 봄과 가을이 여름과 겨울에 비하여 큰 지역적인 차이를 보였다. 그 지역적인 분포는 봄과 가을의 경우 전 해역의 대륙 인접부에서 대부분 크게 나타났고, 동해 극전선 남부해역과 쿠로시오해역에서는 난류에 의한 열수송으로 일간 수온의 차이가 작았다.

해수면온도의 ANOMALY에 상응하는 위성관측자료로부터 도출한 열대수증기 RESPONSE (Tropical Misture Response Derived from Satellite Observations Corresponding to Sea Surface Temperature Anomaly)

  • Hyo-Sang Chung
    • International Union of Geodesy and Geophysics Korean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 /
    • 제21권1호
    • /
    • pp.47-54
    • /
    • 1993
  • 해수면 온도의 positive anomaly가 주로 나타나는 구역은 대기중 습기 유입이 많은 구역분만 아니라 아열대 지역의 하강 운동이 일어나는 구역의 부근에서도 나타난다. 대기중 수증기의 유입은 SST anomaly에 따라 많아지기 때문에 해수면 온도의 증가는 대기를 불안정하게 하며 습윤 공기의 발달을 촉진하는 습윤 단열한 불안정상태를 초래한다. 태평양상에서 4.0K 의SST 변화는 동태평양과 중앙태평양상에서 TOVS 수증기 채널들에 의해 관측된 휘도 온도의 10.0 K 만큰의 양의 차이를 보였으며, 적도를 따라 남태평양상의 남동쪽과 남쪽으로는 휘도 온도가 7.5 K 만큼 음의 차이를 보였다. 엘니뇨와 비엘리뇨 기간을 비교하면 중대류권 고도에서 수증기 분포를 나타내는 TOVS 적외선 채널 $11(7.3{\mu}m)$$12(6.7{\mu}m)$의 휘도 온도 차이는 태평양상에서 습윤 공기와 관련한 전대류권 순환과 역학 과정에서 현저한 차이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 PDF

위성 및 현장 자료를 이용한 동해남동부 연안해역의 하계 냉수대의 단기변동 (Short-Term Variability of a Summer Cold Water Mass in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Using Satellite and Shipboard Data)

  • 김상우;고우진;장이현;임진욱;야마다게이꼬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169-171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위성관측 해양표면수온과 클로로필 영상 및 현장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동해남부 냉수대 발생 주변해역의 단기변동을 조사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2007년 8월 하계 계절풍 기간 동안의 동한난류 주변의 해양표면수온과 클로로필의 공간변동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기간에 조사한 동한난류 해역의 해양표면수온과 클로로필의 공간분포는 (1) 연안 냉수대해역, (2) 수온전선의 냉수대해역, (3) 동한난류해역, (4) 외해 냉수해역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 PDF

NOAA위성의 557자료를 이용한 시간평균유속의 추정 (Estimation of Time Mean Velocities from NOAA Satellite 557 Data)

  • 이태신;정종률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41-247
    • /
    • 1995
  • 대한해협 해역에 대한 AVHRR/SST 이용하여 표층의 시간평균 유속을 추정하였다. 자료의 시간간격은 조석주기와 근사하며 조류성분이 제거될 수 있는가를 조사하였다. 유속을 추정하는 방법은 역행렬법을 사용하였으며 추정한 결과를 조류성분을 제거한 ADCP자료 및 Odamaki(1989)의 관측결과와 비교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조류운동이 있는 해역에 대한 AVHRR/SST 자료로부터 시간평균유속을 추정하는 경우에 조류성분을 제거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위성추적장치를 이용한 구조치료 상괭이(Neophocaena asiaeorientalis)의 이동 모니터링 결과 및 표층수온과의 관계 (Results of Satellite Tag Monitoring and a Preliminary Study of the Influence of Sea Surface Temperature on a Rehabilitated Finless Porpoise Neophocaena asiaeorientalis in Korea)

  • 박겸준;;손호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456-460
    • /
    • 2018
  • Little is known about the movements of finless porpoises Neophocaena asiaeorientali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sea surface temperature (SST). A female finless porpoise that was stranded alive on the shore at Busan was rehabilitated for 16 months at the Sea Life Busan Aquarium. The porpoise was released off Geoje Island with a satellite tag on her mid-ridge and tracking data were received for 7 days. The porpoise moved directly to the southern shore of Gadeok Island, where an earlier study reported that finless porpoises were most abundant around the island. The tracking route revealed two other potential primary habitats. The porpoise moved to the middle of the ea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at Uljin, beyond the distribution boundary known from earlier studies. Satellite infrared images detected a cold water mass off the Uljin coast and the tracking route showed that the porpoise avoided this low-temperature area.

Accuracy and Error Characteristics of SMOS Sea Surface Salinity in the Seas around Korea

  • Park, Kyung-Ae;Park, Jae-Jin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56-366
    • /
    • 2020
  • The accuracy of satellite-observed sea surface salinity (SSS) was evaluated in comparison with in-situ salinity measurements from ARGO floats and buoys in the sea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the northwest Pacific, and the global ocean. Differences in satellite SSS and in-situ measurements (SSS errors) indicated characteristic dependences on geolocation, sea surface temperature (SST), and other oceanic and atmospheric conditions. Overall, the root-mean-square (rms) errors of non-averaged SMOS SSSs ranged from approximately 0.8-1.08 psu for each in-situ salinity dataset consisting of ARGO measurements and non-ARGO data from CTD and buoy measurements in both local seas and the ocean. All SMOS SSSs exhibited characteristic negative bias errors at a range of -0.50- -0.10 psu in the global ocean and the northwest Pacific, respectively. Both rms and bias errors increased to 1.07 psu and -0.17 psu, respectively, in the East Sea. An analysis of the SSS errors indicated dependence on the latitude, SST, and wind speed. The differences of SMOS-derived SSSs from in-situ salinity data tended to be amplified at high latitudes (40-60°N) and high sea water salinity. Wind speeds contributed to the underestimation of SMOS salinity with negative bias compared with in-situ salinity measurements. Continuous and extensive validation of satellite-observed salinity in the local seas around Korea should be further investigated for proper use.

DIURNAL HEATING IN THE OKHOTSK SEA UNDER ANTICYCLONIC CONDITIONS: MULTISENSOR STUDY

  • Mitnik, Leonid;Alexanin, Anatoly;Mitnik, Maia;Alexanina, Marina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I
    • /
    • pp.1027-1030
    • /
    • 2006
  • Development of diurnal warming in the open Okhotsk Sea during the daytime and calm conditions was studied using sea surface temperature (SST) fields retrieved from NOAA AVHRR, Terra and Aqua MODIS, Aqua AMSR-E and ADEOS-II AMSR data. Sea surface wind fields were estimated from AMSR-E/AMSR measurements as well as were obtained from QuikSCAT scatterometer. Weak winds and cloudless conditions were observed in the central area of anticyclone, which moved slowly on 28-30 June 2003 east off Sakhalin. The area where the amplitude of the diurnal SST signal ${\Delta}T$ was significant also shifted slowly and had or circular or elongated shape. The ${\Delta}T$ was estimated relative to the SST values in the areas surrounding the centre of anticyclone where wind speed W exceeded 5- 6 m/s. The diurnal variations of SST, day-night differences were computed using NOAA-12 and NOAA-16 AVHRRderived data. Analysis of simultaneous SST and W fields showed that the increase of W from 0 to 5-6 m/s causes the decrease of ${\Delta}T$ to zero. Maximum warming exceeded $8^{\circ}C$ and was observed in the centre of anticyclone where W = 0 m/s. So strong heating was likely due to the increased chlorophyll a concentration in the area under study that follows from analysis of satellite ocean colour data.

  • PDF

태풍에 의해 발생하는 한국근해 해황이상변동 (Abnormal Oceanic Conditions Caused by Typhoon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 서영상;구지영;황재동;이나경;김복기;장이현;강용균;이동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417-429
    • /
    • 2003
  • Abnormal oceanic conditions associated with the passage of typhoons are examined using hydrographic and satellite data 1990-2002. During the passage period of typhoons in the Korean waters, an abrupt decrease of sea surface temperature (SST) in range of 5 to $8^{\circ}C$ was observed. The areas of SST decrease were an order of 100-200 km, and the low SST lasted about 15-25 days after passage of typhoon. After passage of typhoon, the water temperatures in the surface mixed layer of 30 m show negative anomalies for quite a long period. In addition, stratification parameters were substantially decreased and chlorophyll a density was rapidly increased.

Spatial distribution of pigment concentration around the East Korean Warm Current region derived from Satellite data

  • Kim, Sang-Woo;Kim, Young-Seup;Yoon, Hong-Joo;Saitoh, Sei-ich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655-655
    • /
    • 2002
  • Spatial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pigment concentration (PPC) and sea surface temperature (SST) around the East Korean Warm Current (EKWC) was described, using both ocean color images and advanced very high resolution radiometer (AVHRR) images. Water mass in this region can b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in the horizontal profile of PPC and SST, nLw(normalized water-leaving radiance) images: (1) coastal cold water region associated with concentrations of dissolved organic material or yellow colored substances and suspended sediments, (2) cold water region of thermal frontal occurred by a combination of phytoplankton absorption and suspended materials, (3) warm water overlay region by the phytoplankton absorption than the suspended materials; (4) warm water region occurred by the low phytoplankton absorption, and (5) offshore region occurred by the high phytoplankton absorption. In particular, the highest PPC area appeared in the ocean color and SST images with a band shaped distribution of the thermal front and ocean color front region, which is located the coastal cold waters along western thermal front of the warm streamer of the EKWC.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