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rtre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16초

사르트르의 상상력 이론과 뒤프렌의 미학 이론의 접점 - 아날로공 개념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Sartre's imagination theory and Dufrenne's aesthetic theory on a Concept of 'analogon')

  • 지영래
    • 영상문화
    • /
    • 제35권
    • /
    • pp.5-33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장 폴 사르트르(Jean-Paul Sartre, 1905-1980)의 상상력 이론과 그의 '비실재 미학'에서 핵심적인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아날로공' 개념이 지닌 의의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미켈 뒤프렌(Mikel Dufrenne, 1910-1995)의 반론을 중심으로 그의 미적 지각에 대한 이론을 검토한다. 지각하는 행위와 상상하는 행위의 극단적인 이분법에 기초하고 있는 사르트르의 상상력 이론은 『상상력』(1936)과 『상상계』(1940)라는 두 권의 저작에서 구체화되고 있고, 거기서 사르트르는 아름다움이란 결코 실재에 속하는 것이 아니라 "상상적인 것에만 적용될 수 있는 가치" 이고 따라서 "예술 작품은 하나의 비실재"라고 결론내리고 있 다. 이에 대해 뒤프렌은 사르트르의 '비실재 미학'이 일반 지각이론에 적용되는 상상력 이론을 예술 작품의 감상에까지 확대 적용하고, '상상적인 것'을 '비실재'와 동일시함으로써 생긴 오류라고 본다. 뒤프렌의 관점에서 볼 때 "예술은 상상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는다". 예술 작품의 의미가 비실재인 것은 맞더라도 그것이 상상적인 것은 아니다. 미적 대상의 의미는 실재하는 것 속에서, 즉 지각된 감각물 속에서 찾아져야 하며, 이때 상상력의 역할은 실재에 의해 제공된 영역을 끊임없이 확장하고 거기에 시공간적인 깊이를 제공함으로써 실재로서의 농도와 견고성을 확보하고 무궁무진한 총체성을 지닌 하나의 세계로 통합시키는 것이다. 아날로공으로 명명되는 지각된 대상물의 지위에 대한 문제가 사르트르와 뒤프렌 사이의 미학적 입장을 가르는 근본적인 문제이다.

자유의 문제: 메를로-퐁티와 사르트르 (The Problem of Freedom: Merleau-Ponty and Sartre)

  • 심귀연
    • 철학연구
    • /
    • 제123권
    • /
    • pp.165-187
    • /
    • 2012
  • 우리에게 자유는 너무나 당연한 것으로 여겨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유롭지 못한 현실을 경험하고선 당황한다. 우리는 자유로워야 하며, 자유로울 수밖에 없는 존재인데, 왜 그렇지 않은 현실을 느끼게 되는 것일까? 본고는 이와 같은 생각이 인식론적 사유에서 기인한다고 보면서, 사르트르의 자유 또한 이와 같은 사유 위에서 잘못 평가되고 있음에 주목한다. 특히 사르트르에 대한 이와 같은 평가는 메를로-퐁티 연구자들에 의한 것으로서, 그들에 따르면 '메를로-퐁티가 사르트르를 전통적인 인식론적 사유를 기반으로 한 자유론자라고 비판'하고 있다는 것이다. 본고의 목적은 이와 같은 평가의 문제점을 밝히고 사르트르의 자유가 '메를로-퐁티가 비판하는 절대적 자유'가 아님을 보여주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메를로-퐁티가 비판하는 절대적 자유가 어떤 것인지 살펴볼 필요가 있는데, 여기서 우리는 이 '절대적 자유'를 인식론적 이원론에 따른 이성의 절대적 자유로 파악한다. 이성의 절대적 자유는 추상적이고 이념적 자유인 까닭에, 메를로-퐁티에 따르면 존재하지 않는 자유로 간주된다. 이와 같은 논점을 전제로 하여 우리가 확인하는 것은 사르트르의 절대적 자유가 인식론적이 아닌 존재론적으로 파악되어야한다는 점이다. 사르트르는 이 문제를 즉자존재와 대자존재와의 관계를 통해 밝혀 보이고 있다. 마지막 장에서 우리는 메를로-퐁티의 조건지어진 자유에 대해 논하면서, 그것이 상황의 자유이자 선택의 자유임을 보여줄 것이다. 이때 우리가 확인하게 될 것은 사르트르가 말하고자 하는 자유 또한 절대적 이성의 자유가 아니고, 상황 속에서 우리가 선택하게 되는 자유라는 점이다. 사르트르는 대자존재의 사실성이 우리를 상황 속에 처하게 하고, 이 상황이 나의 자유의 토대가 된다고 말하고 있다. 따라서 대자존재의 무는 절대적 이성의 다른 모습이 아니라, 부정의 상태로만 존재하는 대자존재의 존재방식을 드러내고 있다는 사실을 주지해야 한다.

20세기 실존주의가 형성한 블랙의 패션 이미지 (The Image of Black Color in Fashion Formed by Existentialism in the 20th Century)

  • 서승희;김영인
    • 복식
    • /
    • 제61권1호
    • /
    • pp.84-93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fashion image behind the colour black formed by existentialism in the 20th century. Human beings started to ask themselves questions about their nature and existence by undergoing two world wars in the 20th century. Existentialism was born out of these philosophical thoughts and in particular, French existentialists led the public discourse of the time and expressed their philosophical thoughts and ideas through black fashion. Therefore we revealed the existentialistic meanings of black by studying the French existentialist ideology and their black fashion. The thoughts of existentialism became popularized in France by French philosophers. Sartre especially played a big role in the popularization of existentialism in France. The black fashion worn by existentialists became popularized along with the ideology that it expressed. Sartre's thoughts on existentialism are summarized in existence Precedes Essence, self-reliance, and engagement. From these, the fashion image behind the colour black formed by existentialism was analogized to resistant image, nihilistic image and self-reliance image.

오디션 프로그램의 리얼리티 왜곡이 보여주는 미디어의 주관성과 윤리성 (A Study on the TV Audition Show's Distortion of Reality with Sartre's Existentialism which shows Media Subjectivity and Ethicality)

  • 도릉요
    • 트랜스-
    • /
    • 제11권
    • /
    • pp.1-35
    • /
    • 2021
  • 본 연구는 각 미디어의 리얼리티와 오디션 프로그램의 상품성 등 몇 가지 측면에서 실존주의를 이론 모델로 오디션 프로그램의 리얼리티가 왜곡되는 상황에 대해 살펴보고자 했다. 실존주의의 제1원리 '주관성'에 따르면 사람들은 자유의지에 따른 행동을 통해 자신의 본질을 만든 이론적 관점에서 알 수 있듯이 제작 과정에서 캐릭터 메이킹과 스토리텔링을 통해 인물의 이미지를 만들고, 방송 분량 증감을 통해 마지막으로 결성된 단체 인물의 포지션 균형을 이룬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제작진의 주관적인 개입으로 인해 비본질적인 모습을 대외적으로 드러냄으로써 본질적인 왜곡을 초래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품화 사회에서 무조건 이익만 추구하면 커뮤니케이션의 윤리성과 괴리가 생기고, 리얼리티와 이익의 균형을 어떻게 맞출 수 있느냐가 여전히 현재 오디션 프로그램의 주요 문제이다.

토니 모리슨의 『고향』: 타자를 향한 윤리적 실천 (Toni Morrison' Home: Ethical Practice toward Others)

  • 손영희
    • 영미문화
    • /
    • 제18권3호
    • /
    • pp.31-63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attitudes and practices of life demanded for authentic existence in adversity, focusing on Toni Morrison's Home which was published in 2012. Home portrays the journey of Frank Money, an African-American veteran of the Korean War who strives to extricate his sister Cee from inhumane violence. Through this work, Morrison criticizes prevalent racism in the 1950s which is regarded as a time of affluence and peace through this sibling's agony. In this paper, firstly I attempt to examine the aspects of racism which Frank and Cee face and their distorted survival strategies. Secondly I try to find the right direction of brother and sister relationship based on Frank and Cee who are compared to Hansel and Gretel. Thirdly I try to point out the importance of self-reflection required for the healing process of Frank and Cee who overcome adversity and restore their identity with the help of Samaritans. And I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ethical practice going beyond my family to strangers.

Literature as a Strange Body: Modernity, Literariness and Dislocation

  • Lee, Alex Taek-Gwang
    • 영어영문학
    • /
    • 제64권4호
    • /
    • pp.617-628
    • /
    • 2018
  • The aim of this essay is to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literature and Korean intellectual scenes. Since its first introduction to the local context, literature as a genre has served as a field in which colonial and post-colonial intellectuals have attempted to win the accreditation of Western enlightenment. Literature has been regarded as a crucial instrument of liberal arts and education in Korea. Literature has functioned as a social movement in Korea since its incepti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radical intellectuals and literary writers published essays and articles in literary journals. This status as a social movement is still a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Korean literature. From the outset, Korean literature has functioned as an enlightenment project for cultural development. As such, Korean literature retains a political meaning of "literariness," which reshuffles the hierarchy of the sensible and creates novelty against given aesthetic regimes. As a result, in the process these regimes are thereby de-purified of their status as purely aesthetic movements; their perspectives thereby come into contact with other discourses and practices outside the art world. This essay argues that as a genre, Korean literature always functions as "world literature" in Korean intellectual scenes.

파시(R. R. Parse)와 왓슨(J. Watson)의 간호이론에서의 실존적 현상학 (The existential phenomenology in Parse's and Watson's theory of nursing)

  • 공병혜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431-449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a understanding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Parse's and Watson's theory of nursing. Parse's human becoming Research Methodology, Principle and main concepts are based on existential phenomenology. And Watson's theory of human care indicate that the optimal method for studying and inquiring theory of trans-personal caring is phenomenological-existential methodology. The chief theme of this study ist to illuminate how ideas and concepts of existential phenomenology are applied to Parse's and watson's theory of nursing. Content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 1. Principles, concepts, theoretical structure of Man-Living-Health theory were investigated in Parse's theory of nursing as Human science. 2. Essential assumptions, chief concepts and methodology of human science and human care were investigated in Watson's theory of trans- personal caring. 3.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Human being" und poetic thinking of truth were described in the context of the Heidegger's fundamental ontology und existential phenomenology. 4. Meaning of existential subjectivity, freedom and choice war interpreted according to Sartre's existential philosophy 5.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perception und function of body were investigated in the context of Merleauponty's existential phenomenology. 6. Ultimately this study provided how ideas and concepts of existential phenomenology war applied to Parse's und Watson's nursing theory und methodology.

  • PDF

시선과 응시의 관계로 본 현대건축 경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ndency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through the Relation Between the Eye and the Gaze)

  • 김진모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3-11
    • /
    • 2008
  • 'The eye' and 'the gaze' organize the visual system and distinguish the subject from the others. Recent philosophical thoughts have forcefully argued against the tradition characterized by the domination of the eye that assimilates the alterity of the others to one's own, cancels their alterity, and totalizes their differences within himself. In the speculative discourse modeled on the eye, the alienation of self in its other and the reflection of the object are linked together in such a way as to form a totality in which they are reflected into one's another, leaving absolutely no remainder outside. By contrast to this totalizing tendency of the eye, Sartre and Lacan propose the gaze that becomes constitutive of vision. The modern architecture reinforced subject's eye and clearly separated the others from subject Through Descartes's visual paradigm, space became homogeneous and nature was seized by architecture. However, recently the clear boundary between subject and object is disappearing. Lacan insisted that oneself's eye and the other's gaze are mixed up in human sight This means that the boundary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ther is indistinct and also the boundary between an object and landscape is meaningless in architecture. The overthrow of gaze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appears in the form of trans-boundary, translucency and widen architectural notion and expression.

포토제니 혹은 사진 이미지의 이중성과 정신성 - 에드가 모랭의 논의를 중심으로 (Photogenie as the duality and mentality of the photographic image: a study based on the theory of Edgar Morin)

  • 김호영
    • 비교문화연구
    • /
    • 제34권
    • /
    • pp.71-92
    • /
    • 2014
  • This article presents a study on the concept of "Photogenie", which refers to the duality and mentality of the photographic image, with the viewpoint regarding the photographic image by Edgar Morin. First, we will look at the evolution of the concept of "Photogenie". From the field of photography, the term "Photogenie" means objects that produce light, enough to impress the photographic plate. But theorists of cinema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have changed the meaning of the term. For Louis Delluc, the "Photogenie" means the effect of union between the reproduction of real and artistic genius. For Jean Epstein, the "Photogenie" means mental quality, nonmaterial or inderterminable, of the photographic and cinematographic image. But Morin synthesized the arguements of Delluc and Epstein. For him, the "Photogenie" indicates both a double character of the photographic image and its mental quality. Then, based on this concept of "Photogenie," Morin said on particular aspects in the photographic image. Considering photography as a double in the anthropological sense, it puts emphasis not only the dual nature of the photographic image but also mental and spiritual quality. Combining the theory of the mage Henri Bergson and Jean-Paul Sartre, he builds his own theory of the mage that concerns both photography and cinema. In short, to Morin, the photographic image is a place where coexist absence and presence, the real and the imaginary, perception and memory, the material and mental, as well that a place of mentality which appear all our memories, hallucinations, dreams, imagination etc.

현상학적 관점에서 본 디지털 애니메이션 영화의 실재성 (Actuality of a Digital Animated Film in a Phenomenological Point of View)

  • 안세웅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13호
    • /
    • pp.133-151
    • /
    • 2008
  • 이 논문은 우리가 디지털 애니메이션 영화를 대하며 마치 실제인 것처럼 실재감을 느끼는 이유에 대한 근본적인 해답을 구해 보려는 의도로 작성되었다. 디지털 애니메이션의 세계에서는 초사실적 주체들이 존재하고 사물들이 생명을 부여받아 각자의 역할을 해내고 있다. 또한 실제 세계 그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 대상들이 등장하며 그들은 시간적 담화로 결속되어 있다. 그들의 세계는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 세계를 그대로 옮겨놓은 것 같기도 하고 그렇지 않은 것 같기도 하다. 이 연구에서는 그런 디지털 애니메이션 영화의 세계가 지니는 실재를 상상적 현실의 실재, 존재적 사물의 실재, 익명적 대상의 실재, 시간적 담화의 실재로 정의하고 그 실재성을 밝혔다. 실재성을 밝히기 위한 개념의 틀은 '사태 자체'에로 향하여 본질을 파악하려는 현상학의 철학적 진술에서 빌려왔다. 구체적으로 실재성을 규명하기 위해 빌려온 철학적 진술들은 후썰, 하이데거, 사르트르, 바슬라르, 메를로-퐁티, 리쾨르에 의해 해명된 것들이다. 방법적으로 우리 존재와 세계 인식을 현상학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이해한 원리를 디지털 애니메이션 영화의 세계에 대입하여 사례 제시와 함께 논의를 이루도록 했다. 이 연구의 의의는 디지털 애니메이션 영화의 근본적 의미를 새삼 돌이켜보고 그 가치를 가늠해보는 계기를 갖는데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