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rgassum thunbergii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26초

한국산 갈조식물 지충이의 지리적 형태변이 (Geographical Variations of Sargassum thunbergii Morphology in Korea)

  • 김상일;오윤식;원남일;박상률
    • 환경생물
    • /
    • 제32권4호
    • /
    • pp.353-362
    • /
    • 2014
  • 이번 연구는 한국산 지충이 [Sargassum thunbergii (Mertens ex Roth) Kuntze]의 지리적 형태변이를 확인하고, 형태변이에 따른 품종의 구분에 대하여 분류학적 재검토를 시도하였다. 동해, 서해와 남해안에 분포하는 지충이 개체군의 지리적 형태변이를 조사하기 위해서 개체가 가장 성숙한 시기인 봄철에 채집하였다. 지충이의 관찰대상 형질은 부착기, 줄기의 길이와 직경, 체장, 중심가지의 직경, 마디간격, 측지의 길이와 직경, 잎의 길이와 폭 및 두께, 기낭의 길이와 직경, 기낭 자루와 기낭 돌기의 길이, 생식기탁의 길이와 직경, 질감이었다. 서해안의 지충이는 엽체가 짧고 가늘며, 마디간격이 넓어서 성긴 느낌이고 질감이 부드러워 다른 두 해역의 지충이와는 다른 형태적 특징을 보였다. 동해안의 지충이는 체장이 서해안의 것과 비슷하지만 중심가지와 측지가 굵어서 질감이 거칠고, 측지가 없거나 매우 짧은 것도 있으며, 잎과 기낭이 다른 해역에 비해 컸다. 남해안의 지충이는 체장과 측지가 가장 길고 잎과 기낭이 짧은 것이 특징이었다. 동해안 북부에서 채집된 개체들은 f. latifolium과 형질이 유사하였다. 그러나 다른 해역에서는 네 품종의 원기재와 정확히 일치하지 않아 품종을 구분하는 식별형질은 한국산 지충이의 형태 변이에 적용할 수 없었다. 따라서 생육지에 따라 나타나는 지충이의 다양한 형태변이는 종 이하의 분류군으로 나누는 것보다는 생육지 환경조건에 따른 변이체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된다.

갈조류 지충으로부터 분리한 3개의 Norisoprenoids 화합물 (Three Norisoprenoids from the Brown Alga Sargassum thunbergii)

  • 박기의;김유아;정현아;이희정;안종웅;이범종;서영완
    • 대한화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94-398
    • /
    • 2004
  • 우리나라 연안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 지충이로부터 3개의 norisoprenoid 화합물들인 (+)-epiloliolide (1), (-)-loliolide (2), apo-9''-fucoxanthinone (3)을 칼럼크로마토그래피와 역상 HPLC를 사용하여 분리$\cdot$정제하였다. 이들 분리한 화합물 1, 2 및 3은 갈조류인 지충이로부터 처음 분리되어 보고하는 것이다. 특히 화합물 1은 비록 육상식물에서 분리된 바 있으나, 해양생물로부터는 처음 분리되어 보고하는 것이다. 분리된 화합물의 구조는 $1^H$ COSY, NOESY, HMQC 그리고 HMBC와 같은 이차원적인 NMR 분광학적인 실험을 이용하여 문헌치와 비교하여 확인하였다.

모자반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및 지방세포 생성억제 효과 (Sargassum sp. Attenuates Oxidative Stress and Suppresses Lipid Accumulation in vitro)

  • 김정애;;안별님;권명숙;문옥주;김미향;이상현;유기환;김육용;공창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74-283
    • /
    • 2014
  • 인간 생체 내 산화스트레스는 조직적 손상을 일으켜 당뇨병, 심장혈관계질환, 비만 등의 대사성 질환의 발병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질병예방용 천연 보조제 개발의 일환으로 모자반 3종류(Sargassum hemiphyllum, Sargassum thunbergii, Sargassum honeri)의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활성 및 지방생성억제효과를 비교 검토하였다. 항산화활성은 DPPH 라디칼 소거능, 세포 내 ROS 활성 및 NO 함량의 측정을 통해 검토하였다. 지방세포생성억제활성은 3T3L1세포를 이용하여 지방세포의 축적 정도와 $PPAR{\gamma}$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각각 Oil-Red O 염색법과 RT-PCR로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 결과, 모자반의 처리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DPPH 라디칼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으며, 모자반 중에서 S. hemiphyllum 처리군에서 가장 높은 소거 효과를 볼 수 있었다. MTT assay을 통해 모자반의 에탄올 추출물들이 RAW 264.7 cell에 대한 독성을 보이지 않는 농도에서 세포내 실험을 진행하였다. 세포 내 ROS 소거능의 측정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DCF 형광도 값이 낮게 나왔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형광도 값이 일정하여 모자반의 에탄올 추출물에는 세포 내 ROS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LPS 처리에 의해 증가한 NO 값은 모자반의 추출물들의 처리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감소 정도는 S. hemiphyllum과 S. thunbergii 처리 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모자반의 추출물들을 3T3-L1지방세포에 유도물질과 함께 처리한 결과 모자반 추출물 중 S. hemiphyllum과 S. thunbergii이 세포 내 지방 축적 및 $PPAR{\gamma}$ 유전자의 발현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모자반 추출물들 중 S. hemiphyllum과 S. thunbergii이 높은 항산화 활성과 지방세포 생성억제 효능을 보유하고 있는 천연소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해조분말 첨가가 Hamburger Patty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Quality Characteristics of Hamburger Patties Added with Seaweed Powder)

  • 전순실;박정로;박종철;서재수;안창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40-144
    • /
    • 1999
  • 지충이(Sargassum thunbergii)와 우뭇가사리(Gelidium amansii) 분말을 1~5%씩 첨가하여 hambuger patty를 제조하여 물리화학적, 관능적 특성을 비교.검토하였다 L, a, b 값은 해조 분말 첨가 비율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였다(p<0.05). Patty의 수분함량은 지충이 분말첨가비율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우뭇가사리 분말첨가 patty는 대조군보다 수분함량이 다소 증가하였다. Cooking yield는 해조 분말 첨가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높게 나타났고,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 해조 분말 첨가 patty의 무기질은 Na, Ca, Mg, Fe, Zn의 순으로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우뭇가사리 분말 3% 첨가군이 색, 종합적인 맛에서 대조군과 유사한 정수를 얻었다.

  • PDF

해호미 구충성분의 검색 ( I ) (Detection of Anthelmintic Components of Sargassum thunbergii $K_{UNTZE}$ (I))

  • 이완하;민경낙
    • 생약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9-22
    • /
    • 1970
  • It was found that the extracts of Sargassum thumbergii (Sargassaceae) had an anthelmintic action on Ascaris suilla and further examinations were made on the anthelmintic compounds of the seaweed. The anthelmintic principle is soluble in water, adsorbed in aqueous extract with activated carbon and eluted from the carbon with 90% aqueous methanol solution. But it is not adsorbed on alumina and amberite IR-120 (H-type). The anthelmintic fractions were prepared by the use of these properties. The active principle of Sargassum thunbergii was pharmacologically examined and was found to decrease the tenisty, tonus, mobility and amplitude of Eisenia foetida nerve muscles. The active principle was subjected to paper partition chromatography but yellow spot to ninhydrin was not revealed.

  • PDF

광양만의 해조류에 관한 연구 1. 해조군집의 계절적 변화 (A Study on the Marine Algae in the Kwang Yang Bay 1. the Seasonal Variation of Algal Community)

  • 이인규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8권3호
    • /
    • pp.109-121
    • /
    • 1975
  • The seasonal variations of the marine algal community were detected with quadrat method during May, 1974-May, 1975 at several stations in the Kwang Yang Bay. Considering the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salinity and water current, etc., and algal vegetation, the Bay was divided into 3 sections; Section I-Myodo and the adjacent area; Section II-Eomnamuseom and the adjacent area; Section III-inlet of the Bay from Odongdo, Yeosu. The dominant species, shown by 5-grades coverage and bimonthly investigations, appear in the order of Sargassum thunbergii(Jan.)>Chondria crassicaulis (Mar.)>Ulva pertusa(May)>U. pertusa (July)>U. pertusa and Gigartina intermedia(Sept.)> Sarg. thunbergii and Gelidium pusillum (Nov.) in Section I, and Sargassum thunbergii(Jan.)>Ulva pertusa and Hizikia fusiforme (Mar.)>U. pertusa and Sarg. thunbergii(May)>Chondria crassicaulis (Sept.)>Ch. crassicaulis (Nov.) in Section II. The members such as Srgassum thunbergii, Gelidium pusillum, G. divaricatum, Hizikia fusiforme, Carpopeltis affinis, and Chondria crassicaulis show the most luxuriant period of growth in winter (Nov.-Mar.), while Ulva pertusa shows the period in May. However, considering the dry weight of total vegetation, the most luxuriant period apperas in May and the poorest one in July. The total dry weight of the vegetation in Section II is about 3.2 times more than the one in Section I.

  • PDF

지충이의 이화학적 특성 (A Study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Sargassum thunbergii)

  • 최선영;김순영;허종문;신정혜;최한길;성낙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8-13
    • /
    • 2006
  • 본 연구는 남해안에 서식하고 있는 해조류인 지충이에 대하여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활용가치를 알아보고자 이화학적 성분을 분석하고 지충이 용매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비교하고자 POV와 TBARS를 측정하였다. 지충이의 조단백질과 조지방의 함량은 각각 $15.7{\pm}0.8%$$0.9{\pm}0.4%$였다. 9종의 무기질 중 Ca이 $2,288.0{\pm}2.2mg/100g$으로 높게 검출되었고,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가 $1,071.3{\pm}1.8mg/100g$으로 가장 함량이 높았으며, 다음으로 aspartic acid ($645{\pm}1.4mg/100g$) > phenylalanine($470.1{\pm}1.4mg/100g$)의 순이었다. 유리당의 함량은 galactose가 $40.2{\pm}0.5mg/100g$으로 가장 높았고 $FeCl_2$$CuSO_4$에 대한 항산화 활성은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항산화능이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특히 chloroform 추출물에서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였다.

해조류 추출물과 페놀성화합물의 in vitro 및 in vivo 간보호활성 (Hepatoprotective Effect of Extracts and Phenolic Compound from Marine Algae in Bromobenzene-treated Rats)

  • 최재수;송상호;최명락;김광용;최종원;박종철
    • 생약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39-246
    • /
    • 1997
  • The methanol extracts of some marine algae were tested for investigating the effects on the formation of lipid peroxide and the activities of free radical generating enzyme in vitro in bromobenzene-treated rat. The extracts of Enteromorpha compressa, Capsosiphon fulvescens, Gelidium amansii, Hizikia fusiformis, Sargassum siliquastrum and Sargassum thunbergii which decreased the formation of lipid peroxide, inhibited the activity of xanthine and aldehyde oxidases by adding of each extracts. Phloroglucinol isolated from Ecklonia stolonifera reduced bromobenzene-induced hepatic lipid peroxidation. This compound administered daily over one week before intoxication with bromobenzene did not affect the activities of aminopyrine N-demethylase, aniline hydroxylase and glu tathione S-transferase. Epoxide hydrolase activity was decreased by bromobenzene, which was restored by pretreatment of phloroglucinol,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bromobenzene-induced hepatic lipid peroxidation by phloroglucinol is reduced by enhancing the activity of epoxide hydrolase.

  • PDF

Species-specific responses of temperate macroalgae with different photosynthetic strategies to ocean acidification: a mesocosm study

  • Kim, Ju-Hyoung;Kang, Eun Ju;Edwards, Matthew S.;Lee, Kitack;Jeong, Hae Jin;Kim, Kwang Young
    • ALGAE
    • /
    • 제31권3호
    • /
    • pp.243-256
    • /
    • 2016
  • Concerns about how ocean acidification will impact marine organisms have steadily increased in recent years, but there is a lack of knowledge on the responses of macroalgae. Here, we adopt an outdoor continuous-flowing mesocosm system designed for ocean acidification experiment that allows high CO2 conditions to vary with natural fluctuations in the environment. Following the establishment of the mesocosm, five species of macroalgae that are common along the coast of Korea (namely Ulva pertusa, Codium fragile, Sargassum thunbergii, S. horneri, and Prionitis cornea) were exposed to three different CO2 concentrations: ambient (×1) and elevated CO2 (2× and 4× ambient), over two-week period, and their ecophysiological traits were measured. Results indicated that both photosynthesis and growth exhibited species-specific responses to the different CO2 concentrations. Most notably, photosynthesis and growth increased in S. thunbergii when exposed to elevated CO2 conditions but decreased in P. cornea. The preference for different inorganic carbon species (CO2 and HCO3), which were estimated by gross photosynthesis i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the external carbonic anhydrase (eCA) inhibitor acetazolamide, were also found to vary among species and CO2 treatments. Specifically, the two Sargassum species exhibited decreased eCA inhibition of photosynthesis with increased growth when exposed to high CO2 conditions. In contrast, growth of U. pertusa and C. fragile were not notably affected by increased CO2.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five species of macroalgae may respond differently to changes in ocean acidity, with species-specific responses based on their differentiated photosynthetic acclimation. Understanding these physiological changes might allow us to better predict future changes in macroalgal communities in a more acidic ocean.

한국 통영 연안의 계절적 해조상 및 군집구조 변화 (Seasonal Variation in the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along the Tongyeong Coast, Korea)

  • 박미선;유현일;허진석;김영대;최한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732-739
    • /
    • 2011
  •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were examined at four sites at Tongyeong, Korea, from February to December 2009. Eighty-two algal species were identified, including 10 green, 25 brown, and 47 red algae. During the study period, the number of species was highest at the Dukpo (61 species) site followed by the Gajodo (60 species), Yepo (58 species), and Chilchundo (53 species) sites. Seaweed biomass ranged from 578.11 to 678.26 g, with the maximum and minimum at Chilchundo and Yepo, respectively. Dominant species in term of biomass were Sargassum thunbergii at Yepo, Dukpo, and Gajodo and Gelidium amansii at Chilchundo. The vertical distribution from the high to low intertidal zone was Sargassum thunbergii and Chondria crassicaulis; Sargassum thunbergii and Ulva linza; Ulva pertusa, Sargassum fulvellum, and Gelidium amansii. Two groups clearly segregated in a cluster analysis, a Yepo/Dukpo group (group A) and a Gajodo/Chilchundo (B), indicating relatively strong differences in similarity. The seaweed community structure of group A was characterized by higher biomass and higher species richness of brown algae than were observed in group B. Additionally, the biomass ratio and the species richness of green algae was lower in group A. These differences in seaweed community structure may have been resulted from the effects of cold efflu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