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rgassum thunbergii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19초

Effects of different algae in diet on growth and interleukin (IL)-10 production of juvenile sea cucumber Apostichopus japonicus

  • Anisuzzaman, Md;Jeong, U-Cheol;Jin, Feng;Choi, Jong-Kuk;Kamrunnahar, Kabery;Lee, Da-In;Yu, Hak Sun;Kang, Seok-Joon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0권10호
    • /
    • pp.24.1-24.8
    • /
    • 2017
  •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algae in diet on growth, survival, and interleukin-10 productions of sea cucumber. At first, a 9-week feeding trail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growth performance and survival of the sea cucumber fed one of the six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ST (Sargassum thunbergii), UL (Ulva lactuca), UP (Undaria pinnatifida), LJ (Laminaria japonica), SS (Schizochytrium sp.), and NO (Nannochloropsis oculata) in a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The result showed that survival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dietary treatments, and the specific growth rate (SGR) of sea cucumber fed the UL diet ($1.58%d^{-1}$)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sea cucumber fed the other diets (P < 0.05), except for the LJ and NO diets. Secondly, interleukin (IL)-10 gene expression was determined where mice splenocytes were stimulated with $10{\mu}g\;ml^{-1}$ of sea cucumber extracts for 2 h. The result showed that IL-10 gene expression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UL, LJ, and NO diets fed sea cucumber extracts compared to other experimental diets. The results suggest that dietary inclusion with Ulva lactuca, Laminaria japonica, and Nannochloropsis oculata algae may improve the growth of juvenile sea cucumber and could upregulate IL-10 gene expression in mice splenocytes. Such detailed information could be helpful in further development of more appropriate diets for sea cucumber culture.

한국 남서해안 함평만의 월별 해조상 및 군집구조 변화 (Monthly variations in macro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in Hampyong Bay, Southwestern Coast of Korea)

  • 오병건;최한길
    • 환경생물
    • /
    • 제39권1호
    • /
    • pp.81-87
    • /
    • 2021
  • 2008년 4월부터 2009년 3월까지 1년간 우리나라 서남해안 함평만의 도리포에서는 조간대의 해조류 식물 군집과 가입리에서는 식용 해조류 가시파래의 월별 변동성을 매월 조사하였다. 조사된 해조류는 총 22종이었으며, 녹조류 5종, 갈조류 4종 그리고 홍조류 13종이었다. 함평만 도리포 암반 조간대에서 연간 우점하는 해조류는 구멍갈파래였고, 준 우점종은 잎파래와 애기가시덤불이었다. 조간대 상부에서 하부에 이르는 수직분포는 잎파래 - 애기가시덤불 - 구멍갈파래 - 지충이었다. 가시파래의 생물량은 6월에 최대를 보였고 11월에 최소를 보였으며, 2.4-98.2 g dry wt. m-2 범위를 나타냈다. 가시파래의 생물량은 수온과 연관이 있어 보이지만 영양염류 및 빛의 강도 같은 기타 환경요인과의 관계는 추후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서해안 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 해조군집의 종조성과 생물량 (Species Composition and Biomass of Marine Algal Community in the Vicinity of Yonggwang Nuclear Power Plant on the West Coast of Korea)

  • 김영환;허성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86-194
    • /
    • 1998
  • 서해안에 위치한 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의 5개 조사지소에서 1995년 10월$\~$1996년 8월에 걸쳐 계절별로 해조류의 종조성과 생물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총 68종(남조식물 7종, 녹조식물 12종, 갈조식물 14종, 홍조식물 35종)의 해조류가 관찰되었으며, 계절별로는 가을 (28종)에 가장 적고 봄 (44종)에 가장 많이 출현하였다. 조사지소별로는 발전소에서 북쪽으로 가장 멀리 위치한 상록 해수욕장에서 44종으로 가장 많았고, 배수구로부터 약 13km 북쪽에 위치한 동호에서 15종으로 가장 적었다. 최근 10년간 부지 주변에서 조사된 해조류 종조성 자료를 검토해 볼 때 발전소의 가동 이후 감소하였던 해조류의 다양성이 최근 1호기의 가동 전후의 수준으로 회복된 것으로 판단된다. 해조류 생물량은 가을 (계절 평균 $113.3g\;dry\;wt{\cdot}m^{-2}$)과 겨울 (평균 $107.9\;g\;dry\;wt{\cdot}m^{-2}$)에 적고 봄 (평균 $189.5g\;dry\;wt{\cdot}m^{-2}$)에 가장 많았다. 지역별로는 상록 해수욕장(연 평균 $295.7\;g\;dry\;wt{\cdot}m^{-2}$)에서 가장 풍부하게 나타났고, 동호에서 연 평균 $22.0g\;dry\;wt{\cdot}m^{-2}$로 5개 조사지소 가운데 가장 적었다. 해조류 생물량의 연 평균 수치는 발전소의 건설과 가동에도 불구하고 최근 10년간 계속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조류 생물량으로 본 우점종은 작은구슬산호말(Corallina pilulifera), 지충이 (Sargassum thunbergii), 부챗살(Gymnogongus fabelliformis) 및 납작파래 (Enteromorpha compressa)의 4종이었으며, 최근 10년간 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 해역의 해조류는 우점종 구성양식에 있어서 뚜렷한 차이를 발견할 없었다. 한편 이들 종류는 서해안 각지에서도 보편적인 우점종으로 밝혀지고 있어서, 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 해역의 해조류는 그 군집의 구조적 특성이 서해안의 전형적인 양식을 따르는 것으로 해석된다.

  • PDF

Seasonal Variability of Seaweed Biomass along the Vertical Shore Gradients of Nachido and Odo Islands, the Yellow Sea, Korea

  • Kim, Bo-Yeon;Kim, Won-Sin;Choi, Han-Gil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3권4호
    • /
    • pp.324-331
    • /
    • 2010
  • Seasonal variation in seaweed biomass was examined along vertical shore gradients on the rocky shores of Nachido and Odo Islands, the Yellow Sea, Korea, from August 2007 to April 2008. The average annual biomass of seaweed was 404.07 g wet wt/$m^2$, with seasonal variation from 232.61 g in the spring to 754.90 g wet wt/$m^2$ in the summer at Nachido Island. At Odo Island, average biomass was 270.82 g wet wt/$m^2$ and ranged from 48.35 g in the winter to 451.66 g wet wt/$m^2$ in the spring. Seaweed biomass exhibited an even distribution across the shore gradient from the high intertidal zone to -5 m depth at Nachido Island, whereas seaweed biomass was concentrated from the mid intertidal zone to -1 m depth in the subtidal zone at Odo Island. Sargassum thunbergii was the most dominant species, occupying 28.24% (114.12 g wet wt/$m^2$) and 36.57% (99.05 g wet wt/$m^2$) of total biomass at Nachido and Odo Islands, respectively. Subdominant seaweed species was Gelidium amansii, comprising 15.23% (61.52 g wet wt/$m^2$) and 14.70% (39.82 g wet wt/$m^2$) of total biomass at Nachido and Odo Islands, respectively. Dominant functional group was the coarsely branched-form group, which grows under moderate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comprised 93.34% (377.15 g wet wt/$m^2$) and 66.96% (181.35-g wet wt/$m^2$) of total biomass at Nachido and Odo Islands, respectively. Percentage biomass of sheet-form seaweeds growing at relatively disturbed and polluted areas was approximately 20.83% (56.40 g wet wt/$m^2$) of total biomass along the Odo rocky shore. Based on the biomass and functional-form composition of seaweeds, we concluded that Nachido Island provides better environmental conditions than does Odo Island. In addition, the vertical distribution and dominant species of seaweeds on the two islands were very similar, but the functional-form composition of seaweeds at Nachido Island differed slightly from that at Odo Island.

해조류의 항산화 활성 및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and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ies from Seaweed Extracts)

  • 전영은;윤성복;임순성;정차권;강일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43-44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퇴행성 질환인 치매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물질 탐색으로써 여러 가지 해조류 추출물을 가지고 항산화 활성 및 AChE 저해활성을 살펴보았다. DPPH법으로 항산화 활성을 살펴본 결과, 최종농도 40 ${\mu}g$/mL에서 지충이(91.3%), 모로우붉은실(90.7%), 감태(89.9%), 큰비쑥(85.9%)이 80% 이상의 radical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AChE 저해활성에서는 최종농도 10 ${\mu}g$/mL에서 큰비쑥 추출물(30.2%)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는 김 추출물(26.6%), 쇠미역(25.3%), 참홑파래(23.4%), 감태(21.7%), 구멍쇠미역(20.4%), 지충이(19.9%) 순으로 총 7종의 해조류가 약 20% 이상의 ACh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7종의 해조류를 가지고 TLC bioassay를 통하여 살펴본 결과, 여러 compound들에 의해 AChE 저해 활성이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치매치료제 및 억제를 위한 신규의 생물 소재로 해조류가 가치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Occurrence and diet analysis of sea turtles in Korean shore

  • Kim, Jihee;Kim, Il-Hun;Kim, Min-Seop;Lee, Hae Rim;Kim, Young Jun;Park, Sangkyu;Yang, Dongwoo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5권4호
    • /
    • pp.203-217
    • /
    • 2021
  • Background: Sea turtles, which are globally endangered species, have been stranded and found as bycatch on the Korean shore recently. More studies on sea turtles in Korea are necessary to aid their conservation. To investigate the spatio-temporal occurrence patterns of sea turtles on the Korean shore, we recorded sampling locations and dates, identified species and sexes and measured sizes (maximum curved carapace length; CCL) of collected sea turtles from the year 2014 to 2020. For an analysis of diets through stomach contents, we identified the morphology of the remaining food and extracted DNA, followed by amplification, cloning, and sequencing. Results: A total of 62 stranded or bycaught sea turtl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Korean shores during the study period. There were 36 loggerhead turtles, which were the dominant species, followed by 19 green turtles, three hawksbill turtles, two olive ridley turtles, and two leatherback turtles. The highest numbers were collected in the year 2017 and during summer among the seasons. In terms of locations, most sea turtles were collected from the East Sea, especially from Pohang. Comparing the sizes of collected sea turtles according to species, the average CCL of loggerhead turtles was 79.8 cm, of green turtles was 73.5 cm, and of the relatively large leatherback turtle species was 126.2 cm. In most species, the proportion of females was higher than that of males and juveniles, and was more than 70% across all the species. Food remains were morphologically identified from 19 stomachs, mainly at class level. Seaweeds were abundant in stomachs of green turtles, and Bivalvia was the most detected food item in loggerhead turtles. Based on DNA analysis, food items from a total of 26 stomachs were identified to the species or genus level. The gulfweed, Sargassum thunbergii, and the kelp species, Saccharina japonica, were frequently detected from the stomachs of green turtles and the jellyfish, Cyanea nozakii, the swimming crab, Portunus trituberculatus, and kelps had high frequencies of occurrences in loggerhead turtles. Conclusions: Our findings support those of previous studies suggesting that sea turtles are steadily appearing in the Korean sea. In addition, we verified that fish and seaweed, which inhabit the Korean sea, are frequently detected in the stomach of sea turtles. Accordingly, there is a possibility that sea turtles use the Korean sea as feeding grounds and habitats. These results can serve as basic data for the conservation of globally endangered sea turtles.

Vibrio sp. PKA 1003의 알긴산 분해 조효소 생산 최적 조건과 조효소의 특성 (The Optimal Production and Characteristics of an Alginate-degrading Enzyme from Vibrio sp. PKA 1003)

  • 김현지;김꽃봉우리;김동현;선우찬;정슬아;정다현;정희예;임성미;안동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434-44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산업적으로 응용가능한 알긴산 올리고당을 효소적 분해를 이용하여 제조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해조류로부터 알긴산 분해 활성이 우수한 미생물을 탐색하고, 분리하여 알긴산 분해 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의 최적 생육 조건 및 그 조효소액의 알긴산 분해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갈조류인 지충이로부터 균주를 분리하였고 16S rRNA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Vibrio sp. V140으로 동정되었으며 PKA 1003으로 명명하였다. Vibrio sp. PKA 1003균주의 최적 생육 특성을 알아본 결과, pH 7, 3% NaCl, $25^{\circ}C$ 및 48시간이었으며, 6% 알긴산과 1:1 배양 시 분해 효율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Vibrio sp. PKA 1003 균주가 생산하는 조효소의 알긴산 분해 최적 조건은 pH 9, $30^{\circ}C$, 6% 알긴산 및 63시간으로 나타났으며, 배양 시간에 따라 TLC를 실시한 결과, 배양 12시간부터 서서히 분해되어 2개의 spot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조효소액에 의해 알긴산이 여러 가지 단당 또는 올리고당으로 저분자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조효소액에 trypsin을 처리하여 실험한 결과, trypsin 처리구 및 조효소액 처리구의 환원당 생성량이 각각 70.91 및 $538.62{\mu}g/mL$로써 알긴산 분해 활성이 효소에 의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Vibrio sp. PKA 1003의 최적 생육 조건 및 알긴산 분해 최적 조건에서 알긴산 분해 효소 및 알긴산 올리고당을 효율적으로 획득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 연안 해조류의 미량금속 함량 (Trace Metal Contents in Seaweeds from Korean Coastal Area)

  • 김지회;목종수;박희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1041-1051
    • /
    • 2005
  • 우리나라 연안에서 생산되는 미역, 김, 파래등 식용 해조류뿐만 아니라 비식용 해조류의 미 량금속 오염 실태를 파악하여 연안산 해조류의 식품 위생학적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수은, 카드뮴, 납, 구리, 아연, 니켈, 망간 및 크롬 등을 대상으로 그 함량을 조사하였다. 해조류 총 620건의 시료에 대한 채취지역별 미량금속 함량을 비교한 결과, 수은, 카드뮴, 니켈 및 망간 등은 충남 태안 지역에서 대체로 높게 검출되었고, 크롬은 영덕, 구리는 통영 그리고 납과 아연은 울산지역이 높게 검출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해조류의 미량금속은 아연, 망간, 리 순으로 우리 체내에서 없어서는 안될 필수성분들의 함량이 높았으며, 다음으로 크롬,니켈, 납의 농도는 비슷한 수준이었고, 카드뮴, 수은 순이었다 또한, 갈조류에서 수은과 카드뮴이 높게, 녹조류에서 크롬, 구리, 망간, 니켈, 납이 높게 그리고 홍조류에서는 아연이 대체로 높게 검출되었다. 식용 해조류의 미량금속 함량은 우리나라의 해산 어$\cdot$패류의 미량금속 잔류허용기준(생물기준, 수은 0.5ppm, 납 및 카드뮴 2.0ppm)과 비교할 때 대단히 낮은 수준이었다. 전국연안에 넓게 분포하며 해안지선에서 쉽게 채취할 수 있는 비식용 해조류인 지충이는 카드뮴과 망간의 biomonitor로, 그리고 애기마디잘룩이와 지누아리는 각각 니켈과 아연의 biomonitor로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식용으로서 이용도가 낮은 갈조류인 고리매는 크롬과 납의 biomonitor로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