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mcheon Stream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2초

전주 도심구간 삼천과 전주천의 어류상 (A Study on the Fish Fauna of the Samcheon and Jeonjucheon Stream in Urban Area at Jeonju, Korea)

  • 임민영;신유신;박철우;김종욱;최윤;김은비;김재구
    • 생태와환경
    • /
    • 제57권1호
    • /
    • pp.17-27
    • /
    • 2024
  • 전주 시내를 관통하여 흐르는 전주천과 삼천의 어류상을 연구하기 위해 총 10개 정점을 선정한 뒤 족대와 투망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출현한 어류는 4목 10과 36종 2,064개체이다. 삼천에서 4목 8과 30종 1,074개체, 전주천에서 3목 8과 26종 986개체가 채집되었다. 전체 우점종은 피라미로 총 1,202개체(58.35%)가 채집되었고, 아우점종은 모래무지로 총 153개체(7.43%)가 채집되었다. 삼천의 우점종은 피라미로 총 635개체(59.12%) 채집되었고, 아우점종은 모래무지로 140개체(13.04%) 채집되었다. 전주천의 우점종은 피라미로 총 567개체(57.51%) 채집되었고 아우점종은 돌고기로 총 99개체(10.00%) 채집되었으며, 합수부를 제외하면 하천의 환경에 큰 변화가 없었다. 복원사업 전 삼천의 전주 시내 구간 어류상은 느린 유속과 모래가 깔린 하상으로 이를 선호하는 어류가 채집되었으나, 복원사업 후 여울이 발달하는 등 환경변화로 인해 어류상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전주천은 복원사업 이전과 비교했을 때 종 수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도심하천인 전주천과 삼천의 어류군집에 대해서는 좀 더 장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수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도시하천의 생태경관 보전 및 복원구역 설정에 관한 연구 - 전주시 전주천과 삼천을 중심으로 - (The Establishment of Ecological Landscap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Sections for Urban Stream - Case studies of Jeonjucheon and Samcheon in Jeonju-si -)

  • 임현정;이명우;정문선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73-92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areas for sustainable stream management by reflecting the ecological health,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the citizens' needs for stream uses. Therefore, we extended spatial ranges of stream evaluation to riparian areas in addition to stream sections. The evaluation indexes are stream naturalness, availability, biota assessment, and riparian characteristics such as land uses and legally protected areas. The grading system was unified with five classes. The spatial evaluation units for stream section are classified as right and left for laterally and 500m for longitudinally. For riparian areas, 30m and 100m of distance from the edge of stream are applied as spatial evaluation units. The six types of stream sections for management are conservation sections(priority/general) and restoration sections(priority/general) for ecological landscape and core and general sections for cultural landscape. The established system for evaluation and designating areas for stream management was applied to Jeonjucheon and Samcheon in Jeonju-si, and th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areas were designated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and non-urban areas and left and right of stream sec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detailed guidelines for designating stream sections and practical management strategies for sustainable urban stream management.

만경강 수계 농업용수의 시기별 수질변화 (Change in Agricultural Irrigation Water Quality in Mankyeong River)

  • 이경보;이덕배;이상복;김재덕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7
    • /
    • 1999
  • The water quality at Mankyeong River was surveyed 13 sites of main stream for 6 months from April to September in 1995 and 1997. The monthly average value of $NH_4-N$, $SO_4^{2-}$ and $Cl^-$ showed the highest peak in April while that of $NO_3-N$ showed the highest peak in August. The monthly average value of COD showed the highest peak in September at high temperature season. Concentrations of $NH_4-N$ and $SO_4^{2-}$ in Mankyeong River stream exceeded the standard water quality criteria in many sites. The water quality of Mankyeong River stream was not suitable for the irrigation source excepted the sites such as Hari, Gosan stream and Soyang stream. The floodgate of Mokcheon, Yocheon, Jeonju and Samcheon stream were rapidly polluted by the sewage of city, otherwise the Iksan stream was rapidly polluted by the sewage of swine. The sum of ionic concentrations in Mankyeong River stream was the highest at floodgate of Yocheon by influence of the sewage from city and industry. The order of the major anions and cations concentration in Mankyeong River stream were $SO_4^{2-}$ > $Cl^-$ > $NO_3-N$ > $SO_4^{3-}$ and $Na^+$ > $Ca^{2+}$ > $NH_4^+$ > $Mg^{2+}$ > $K^+$, respectively.

  • PDF

전주 도심 하천의 귀화식물 현황과 환경지수 분석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Index and Situation Naturalized Plants in the Stream of Downtown Jeonju)

  • 오현경;변무섭
    • 환경생물
    • /
    • 제24권3호
    • /
    • pp.248-257
    • /
    • 2006
  • 본 연구는 전주 도심 하천주변의 귀화식물 분포와 현황, 각 귀화식물의 이입시기, 생활형, 원산지 분석 및 도시화지수 등을 조사하여 차후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과 방안을 모색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조사지는 전주 도심에 흐르는 하천으로서 인위적인 훼손과 개발로 인해 자연형 하천이기 보다는 인위적 하천으로 양측제방, 둔치, 유로내부까지 콘크리트화로 기존의 수변식물들이 점차적으로 사라지고 대상식생이라 할 수 있는 귀화식물들이 하천변에 이입되어 세력을 확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주 도심 하천에서 확인된 총 귀화식물은 109종류로 박 등(2002)이 제시한 271종류(taxa)중 40.2%, 3개 하천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확인된 귀화식물은 52종류로 19.2%가 확인되었다. 또한, 도시화지수를 분석한 결과, 전주천에서 확인된 귀화식물은 75종류(27.7%), 삼천천은 86종류(31.7%), 소양천은 80종류(29.5%)가 분석되었다. 이와 같이 전주 도심 하천에는 많은 귀화식물 종수와 개체수가 확인되었으며, 특히,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인 물참새피, 도깨비가지, 돼지풀의 개체수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물참새피는 물 흐름을 막아 습지를 육화시키고 정수식물이나 수중식물을 피압 도태시키며, 도깨비가지는 제방이나 둔치부분에 이입되어 자생식물 생장에 막대한 영향을 주고 있다. 또한, 돼지풀은 자생식물 피압 뿐만 아니라 꽃가루 알레르기를 일으켜 사회적 피해를 주고 있기 때문에 차후 합리적인 모니터링으로 지속적인 관심과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인근주민과의 정보 교환이나 상호 협조, 주민 참여 등의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2에서보다 용존산소가 풍부한 DC5에서 오히려 증가하였다. 수층의 TOC와 DOC농도는 봄과 가을에 증가하였고, 하수가 유입되는 지역에서 높게 측정되었다. 조사지역이 산지하천의 상류에 위치하고 있으나 식당 및 민가에서 유입되는 생활하수는 하천의 상류를 부영양화 시켰으며, 하류로 내려오면서 유기물 및 무기 영양염의 농도가 감소하여 하천수가 자연적으로 정화되는 것이 관찰되었다.절경을 통하여 관절내의 변화를 관찰하며 돌출된 봉합 나사못을 다시 삽입하거나 제거하여야 한다. 봉합 나사못 제거에 본 수술 방법을 사용하면 용이하게 봉합 나사못 제거가 가능하리라 사료된다.완술은 적은 수술범위에서 이환된 지지대를 이완시킴으로써 유착등의 합병증 없이 환자의 재활 및 만족도를 높이는 하나의 치료 방법으로서 관혈적 방법과 고식적 관절경적 수술보다 좋은 치료라고 판단된다.해는 30명 중 28명으로 완전관해율은 93%였다. 3년 국소제어율은 87%, 전체환자의 3년 생존율은 93%, 무병생존율은 87%였다. 4명(13%)에서 국소실패를 보였고 1명(3%)에서 원격전이를 보였다. 치료 중 급성 합병증으로 11명(37%)에서 RTOG grade 1-2의 장염을 보였으며 1명은 대장의 천공이 발생하여 수술로 치유되었다. 12명(40%)에서 RTOG grade 1-2의 급성 방광염을 보였다. 3명(10%)에서 RTOG grade 1-2의 백혈구 감소증이 보였으며 1명에서 심한 백혈구 감소증(RTOG grade 4)이 나타났으나 회복되어 치료를 완료하였다. 만성 합병증으로 5명(15%)에서 RTOG grade 1-2의 만성 장염을 보였으며 별다른 치료 없이 지내고

전주천의 자연형 하천 복원에 따른 어류상 변화 및 군집분석 (Change of Ichthyofauna and Fish Community on Natural Stream Restoration In Jeonju-chon stream, Jeollabuk-do, Korea)

  • 박종영;김수환;고명훈;오민기;신진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381-391
    • /
    • 2009
  • 전라북도 전주시의 전주천에서 2000년 4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상류인 한벽교부터 삼천 합류지점까지 도심을 관통하는 7.2km의 구간에서 "자연형하천 조성사업" 이루어졌으며, 이에 대한 전주천의 자연형 하천 조성 사업 전과 후의 어류상 및 군집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조성사업 이전인 1975년부터 1999년까지 전주천에서는 12종~8종의 어류가 출현하였으나, 공사 이후인 2003년~2008년 사이에는 총 34종이 확인되어 어류의 다양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특히 도심지인 중류지점 (다가교-서신교사이)에서는 공사이전에는 5종의 적은 종이 출현하였으나 공사 이후에는 22종으로 급증하는 특징을 보였다. 이러한 어류상의 변화는 자연형 하천 공사로 인해 생활하수의 유입 차단으로 인한 전주천의 수질개선 및 직강화 되고, 평탄화 되어 있던 하천에서 여울과 소가 반복적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하상구조도 돌과 자갈, 모래, 진흙 등으로 다양화되어 어류의 서식공간이 다양화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만경강 삼천에 서식하는 점줄종개 Cobitis lutheri의 성장과 산란상태 (Growth and Spawning Ecology of Cobitis lutheri (Teleostei: Cobitidae) in the Mangyeong River, Korea)

  • 고명훈;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58-162
    • /
    • 2011
  • 만경강의 삼천에 서식하는 점줄종개 Cobitis lutheri의 성장과 산란생태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령은 산란기인 7월을 기준으로 1년생은 전장 40~60 mm, 2년생은 전장 60~80 mm, 3년생 이상은 80~110 mm로 추정되었다. 성비(수컷/암컷)는 0.78이었고, 암컷이 수컷보다 20~30 mm가 더 컸다. 이차성정 인 골질반(lamina circularis)은 만 1년이 되면서 생성되었으며, 수컷은 성숙 및 산란기인 4월부터 9월까지 반문의 성적이형을 보였다. 산란성기는 수온이 $24{\sim}26^{\circ}C$가 되는7월 초부터 중순까지로 추정되었다. 성숙한 암컷의 포란수는 $1,127{\pm}453$개, 난경은 $1.09{\pm}0.02$ mm였다.

만경강과 그 인근 시설재배지 지하수의 시기별 수질변화 (Seasonal Variation in Water Quality of Mankyeong River and Groundwater at Controlled Horticulture Region)

  • 이경보;이덕배;강종국;김재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23-231
    • /
    • 1999
  • 1. 만경강 수계 수질변화 만경강 수계의 농업용수의 수질 변화를 조사 분석하기 위해 '94, '95년, '97년도 4월에서 9월까지 13개지점을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NH_4-N$, $SO{_4}^{2-}$, $Cl^-$의 농도는 4월에 가장 높았으며 $NO_3-N$는 8월에 높았다. COD 함량은 고온기인 9월에 높게 나타났다. 만경강 주요지천중 $NH_4-N$$SO{_4}^{2-}$ 이온이 농업용수 기준을 초과하였으며, 만경강 중류(Mk-8), 고산천(Mk-9) 그리고 소양천(Mk-11)을 제외하고는 만경강 주요 지천은 농업용수로서 부적당하였다. 만경강 하류(Mk-2, Mk-3)와 전주천(Mk-12) 그리고 삼천천(Mk-13)은 도시생활하수와 산업 폐수에 의해 오염도가 높았으며, 익산천(Mk-6)은 양돈 오수에 의해 오염도가 증가되었다. 만경강의 이온들의 당량합은 산업폐수와 생활하수가 다량 유입되는 만경강 하류인 유천 갑문(Mk-3)이 가장 높았으며 음이온의 당량은 $SO{_4}^{2-}$, $Cl^-$, $NO{_3}^-$, $PO{_4}^{3-}$ 순으로 많았고 양이온은 $Na^+$, $Ca^{2+}$, $NH{_4}^+$, $Mg^{2+}$, $K^+$ 순이었다. 2. 시설원예지 지하수중 화학성분 변화 만경강유역 인근에 있는 시설원예 주산단지에서 사용하는 지하수 수질을 '94년부티 '98년까지 지하수심, 조사시기 영농형태, 경작연수별로 검토하였다. 채수수심이 깊어질수록 $NH_4-N$, NO-N함량이 낮아졌으며, $SO{_4}^{2-}$$Na^+$는 10~15m 이하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지하수중 $NH_4-N$, $NO_3-N$, $PO{_4}^{3-}$, $SO{_4}^{2-}$, $Na^+$, $Cl^-$ 함량기에 비해 갈수기에 높았다. 시설원예연작에 비해 미나리 윤환재배로 지하수중 $NH_4-N$, $NO_3-N$, $PO{_4}^{3-}$, $Na^+$, $Cl^-$함량이 낮아졌다. 완주군 용진면은 지하수중 $NO_3-N$ 함량이 농업용수 기준을 초과하였고, $SO{_4}^{2-}$ 농도는 완주군 용진면, 완주군 삼례면 지역이 타지역보다 높았고 익산시 석탄 등은 지하수중 $PO{_4}^{3-}$, $Na^+$, $Cl^-$ 함량이 타지역보다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