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vinia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초

Kinetic studies using a linear regression analysis for a sorption phenomenon of 17a-methyltestosterone by Salvinia cucullata in an active plant reactor

  • Adnan, Fahrizal;Thanasupsin, Sudtida Pliankarom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1권4호
    • /
    • pp.384-392
    • /
    • 2016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moval efficiency of $17{\alpha}$-methyltestosterone (MT) from aqueous solution by Salvinia cucullata Roxb. ex Bory in an active plant-based reactor with a specific focus on linear regression analysis for the sorption phenomena of MT onto the plant roots. 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method using UV detection (245 nm) was used to analyse the samples. The batch experiments of the active plant reactor (APR) were established to investigate the ability of Salvinia cucullata to remove MT from the liquid phase. The results revealed that 40% and 60% removal of MT from the liquid phase was observed at 5 min. and at 4 h, respectively. Salvinia cucullata can effectively remove MT from the aqueous solution in APRs. Kinetic studies revealed that the sorption phenomena of MT by Salvinia is best described using a linearized pseudo - second order model. Based on the kinetic parameters, it is likely that during the first 4 h of the contact (t = 0 to t = 4 h) sorption is the major driving mechanism of the disappearance of MT from aqueous solutions. However, at higher MT concentrations, diffusivity of M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migration of MT from the bulk stream to the root surface. The isotherm analysis revealed that the sorption kinetics favourably followed pseudo second-order. The results of isotherm analysis have indicated that the sorption of MT onto the root surfaces of Salvinia cucullata was favourable and almost irreversible.

수생식물에 의한 폐수의 오염물질제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moval of Pollutants from Wastewater by Aquatic Macrophytes)

  • 조해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941-946
    • /
    • 2012
  • 수생식물은 폐수정화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수생식물은 뿌리로 영양물질을 흡수해 수질개선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실에서 수생식물인 물상추, 자라풀, 생이가래를 각각의 수조와 혼합한 수조에서 영양물질 제거뿐만 아니라 유기물에 관해 관찰하였다. 단일수조에서 가장 많이 제거된 총 질소는 물상추가 86.47%이고, 생이가래와 물상추가 혼합 식재된 수조가 76.11%로 관찰되었다. 총인의 경우 단일수조에서 가장 많이 제거된 것은 물상추가 75.60%이고, 생이가래와 물상추가 식재된 수조가 71.11%로 관찰되었다. 암모니아제거의 경우도 두 개의 수조에서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물상추 식재된 단일수조가 유기물이 가장 많은 68.46%로 제거를 보였다. 반면 혼합수조에서는 유기물의 제거가 생이가래와 물상추가 식재된 수조가 가장 많은 82.73%로 나타났다.

생이가래속(Salvinia) 부유엽 모용의 분화발달 (Development of the Trichomes in Floating Leaves of Salvinia Species)

  • 서애리;김인선
    • Applied Microscopy
    • /
    • 제38권2호
    • /
    • pp.117-124
    • /
    • 2008
  • 생이가래는 수생 양치식물로 한 쌍의 부유엽은 식물체 부유 및 광합성의 기능을 하며, 수중의 침수엽은 가늘고 길게 세분되어 뿌리의 형태 및 기능을 수행한다. 많은 수생식물에서는 표피 조직에 엽침이나 모용 등의 이형세포를 형성하는데, 생이가래는 모용이 엽육 표피조직에 밀생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이가래속 Salvinia natans 및 S. molesta 2종의 부유엽 상피조직에 발달하는 모용의 분화발달 양상을 주사 및 투과전자현미경으로 연구 하고자 한다. 연구된 2종의 생이가래 부유엽 상피조직에 발달하는 모용은 매우 다른 양상을 나타낸다. S. natans의 모용은 중맥을 중심으로 엽신 양면에 일정하게 20${\sim}$25열로 발달한다. 각각의 열에는 8${\sim}$10개 세포로 구성된 $200{\sim}290{\mu}m$ 크기의 타원형 세포들이 나선 형상으로 배열된다. 이들 모용 4개가 모여 하나의 단위체를 이루 지만 정단부위가 융합되지 않는 'knuckle-crane' 형태로 발달한다. 반면, S. molesta에서는 독특한 유형의 모용으로 분화한다. 분화초기 부유엽 상피조직에서 모용들이 돌기형태로 돌출되고 8${\sim}$10개의 원통형 세포들이 $400{\sim}600{\mu}m$으로 신장한 후 이들 모용4개가 하나의 단위를 이룬다. 이들 단위체내 각 모용들의 정단부위가 융합되어 'egg-beater' 형태로 발달하기 시작한다. 이후 $300{\sim}600{\mu}m$의 다세포성 병세포들이 모용 기저부위에서 상피표면 위로 신장하여 돌출한다. 성숙한 'egg-beater' 형태의 모용은 0.6${\sim}$1.2mm로 발달하고 'knuckle-crane' 형태에 비해 3${\sim}$4배 길게 신장한다. 연구된 생이가래 2종 모용세포 내 액포는 분화초기에는 세포용적의 극히 일부를 차지하나 분화후기에는 세포용적의 대부분을 차지하여 세포질의 밀도를 매우 낮게 하는 특징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생이가래속 식물체내 모용의 구조적 특성은 생이가래가 수중에서 부유기능을 수행하는 데 있어 엽육조직 내통기조직과 함께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기주식물을 포함한 한국산 얼룩애기물명나방, Elophila turbata (나비목, 포충나방과, 물명나방아과)에 대하여 (An Aquatic Moths, Elophila turbata (Butler, 1881) (Lepidoptera, Crambidae, Nymphulinae) in Korea, with New Host Plants)

  • 진재호;안능호;배양섭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3-18
    • /
    • 2007
  • 포충나방과의 물명나방아과에 속하는 얼룩애기물명나방(Elophila turbata (Butler, 1881))에 대한 성충, 종령유충, 번데기의 형태적 특징과 암수생식기를 도해하여 재기재하였으며, 또한 이 종의 생태적 특징을 관찰하고, 기주식물로 개구리밥, 좀개구리밥(Lemna perpusilla), 생이가래(Salvinia natans)를 확인하였다.

부유부엽성 생이가래 모용의 구조적 특징 (Structural Features of Various Trichomes Developed in Salvinia natans)

  • 지상용;김인선
    • Applied Microscopy
    • /
    • 제32권4호
    • /
    • pp.319-327
    • /
    • 2002
  • 생이가래는 뿌리가 형성되지 않고 부유엽, 침수엽, 줄기로만 구성되어 있는 부유부엽성 수생식물이다. 본 연구는 축소된 생이가래 식물체에 발달하는 세 유형의 모용에 대하여 형태 구조적으로 연구하였다. 부유엽 상피에는 중맥을 중심으로 규칙적으로 배열된 $370{\sim}420{\mu}m$ 크기의 다세포성 모용이 $8{\sim}10$개씩 그룹을 이루며 분포하였다. 반면, 부유엽 하피, 줄기, 포자낭 표면에는 $4{\sim}6$개 세포로 이루어진 $430{\sim}980{\mu}m$의 모용이 발달하였는데, 이때 모용 기저세포의 측면에는 직경 $24{\sim}32{\mu}m$의 반구형의 팽창된 세포가 형성되어 부착하였다. 이와는 달리, 가늘고 길게 세분된 침수엽 표면에는 두 번째 유형과 유사하나 $10{\sim}13$ 또는 그 이상의 세포로 구성된 $2{\sim}2.5mm$ 이상의 매우 긴 모용들이 밀생하여 원주형의 침수엽 표면 전체를 하향으로 둘러싸며 발달하였다. 이들 모용세포에는 발달 초기에 일어난 액포 융합현상으로 세포용적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거대 액포가 형성되어 있어 모용세포의 세포질 밀도는 그리 높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식물체 전 표피조직에 발달하는 여러 유형의 모용은 조직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기실과 함께 축소된 생이가래 식물체의 수중 부유에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낙동강 화포습지의 식생 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Hwapo Wetland in Nakdong-gang)

  • 오경환;손성곤;이팔홍;김철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67-81
    • /
    • 2003
  • Vegetation structure was investigated in the Hwapo wetland around the Nakdong-gang, Gimhae-city, Gyeongsangnam-do, Korea from May to August, 2001. The vegetation type was classified into 18 communities based on the actual vegetation map: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Miscanthus sacchariflorus community, Salix nipponica community, Echinochloa crus-galli var. frumentacea community, Zizania latiofolia community, Cyperus amuricus community, Spirodela polyrhiza community, Trapa japonica community, Phragmites communis-Miscanthus sacchariflorus community, Salix nipponiaz-Misaznthus sacchariflorus community, Cyperus amuricus-Acorus calamus var. angustatus community, Salvinia natans community, Hydrilla verticillata-Spirodela polyrhiza community, Persiazria maackiana community, Trapa japonica-Salvinia natans community, Hydrilla verticillata community, Potamogeton crispus community, and Populus deltoides community. Among them,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was the largest (34.9 ha, 29.53%). The dominant vegetation type was Persiazria hydropiper - Persicaria maackiana community based on the phytosociological method, and it was classified into four subcommunities: Phalaris arundinacea-Salix nipponica subcommunity, Miscanthus sacchariflorus subcommunity, Phragmites communis subcommunity, and Spirodela polyrhiza subcommunity, and Acorus calamus var. angustatus group belongs to Miscanthus sacchariflorus subcommunity.

  • PDF

주남저수지와 동판저수지의 수생식물에서 분리된 내생균류의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Dominant Hydrophytes in Junam and Dongpan Wetland)

  • 유영현;박종명;한경숙;박종한;김종국
    • 한국균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92-98
    • /
    • 2015
  • 대표적인 담수습지인 경상남도 창원시 주남저수지와 동판저수지에서 우점하는 수생식물종인 자라풀 및 생이가래를 채집하였다. 주남저수지의 자생식물 뿌리에서 19균주와 동판저수지의 자생식물 뿌리에서 9균주를 순수분리 하였다. 이들 내생균류들의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영역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계통수를 작성한 결과 분리된 28균주는 주남저수지의 경우 11속, 동판저수지의 경우 5속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두 습지에서 모두 13속의 내생균류가 분리되었다. 이들 중 담수습지별로 공통적으로 분리된 균주는 Fusarium, Phoma 및Talaromyces속으로 확인되었다. 담수습지 및 식물종별 내생균류의 다양성을 분석하였을 때 각각 상이한 지수를 보였으며, 그들 중 환경생태학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생이가래가 높은 지수를 나타내었다.

식물을 이용한 납(Pb) 제거 (The Removal of Pb by Plants)

  • 조문철;이상화;박영식;서근학;안갑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69-273
    • /
    • 2001
  • Biosorption of Pb was evaluated for plants, Persicaria chinensis, Oenanthe javanica and Salvinia natnas. The adsorption equilibrium was reached in about 1hr for Pb and the highest adsorption capacity was 150mg Pb/g biomass at S.natans. Pb adsorption process showed a pseudo second order irreversible reaction. The highest initial adsorption rate was 2000mg pb/g biomass/hr at O.javanica. In spite of pH variation, Pb adsorption capacity by was selection, Pb was selectively adsorved. The selectivity of mixture solution showed the adsorption order of Pb>Cu>Cr>Cd. The Pb adsorption capacity of P. chinensis pretreated with NaOH was increased by 30% in comparison with that of no treatment.

  • PDF

수생식물을 이용한 질산염 제거에 관한연구 (Nitrate Removal From Synthetic Medium With aquatic Macrophytes)

  • 사리타 버셀;조해용;이병규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1105-1107
    • /
    • 2010
  • The removal of nitrate from aqueous solutions of a synthetic medium was examined using two different aquatic plants, such as Hydrocharis dubia and Salvinia sp. The selected macrophytes were incubated in the laboratory in the container containing a previously prepared soultion of NH4NO3. Hydrocharis dubia reduced the nitrate level to 60.4% in a synthetic medium containing 100mg/L of nitrate. The efficiency of nitrate removal was further increased 78% with initial nitrate concentration of 300mg/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