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monella mutation assay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5초

목초액 (거성 Y.L.S-95)의 유전독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Genetic Toxicity of Guh Sung Y.L.S.-95)

  • 이수용;이광용;윤호권;정은정;김연수;이혜영;이병훈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07-112
    • /
    • 2006
  • Guh Sung Y.L.S-95 (GS95)는 초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목초액으로 본 연구에서는 GS95의 유전독성을 국립독성연구원의 표준작업지침서에 따라 수행하였다. Salmonella typhimurium TA1535, TA1537, TA98, TA100을 이용한 복귀돌연변이시험에서 GS95는 최고농도 $5,000{\mu}g/plate$까지 돌연변이 집락수를 유의적으로 증가시키지 않았다. Chinese hamster lung fibroblast를 이용한 염색체이상 시험에서 GS95는 1.25-5mg/mL의 농도범위까지 음성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ICR mouse를 이용한 소핵시험에서 GS95는 최고농도 5,000mg/kg까지에서 소핵을 가진 다염성적혈구의 출현율이 음성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따라 GS95는 상용량에서 유전독성을 유발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발효 탐라오가피 추출물의 유전독성 연구 (Genotoxicity Study from the Extracts of Fermented Acanthopanax koreanum)

  • 조명래;김영현;김재민;이상종;신현무;이옥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07-112
    • /
    • 2016
  • 본 연구는 발효 탐라오가피(fermented A. koreanum) 추출물의 유전독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미생물복귀돌연변이 시험, 마우스 골수세포를 이용한 소핵시험, 염색체 이상시험을 연구하였다. 미생물복귀돌연변이 연구에서 발효 탐라오가피 추출물은 Salmonella typhimurium TA98, TA100, TA1535, TA1537와 Escherichia coli WP2uvrA에 대하여 대사활성계의 존재(+S-9 Mix) 및 부재(-S-9 Mix) 하에서 돌연변이 유도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ICR 마우스를 이용한 소핵실험에서 발효 탐라오가피 추출물은 500, 1,000, 2,000 mg/kg 농도에서 MNPCE/2,000 PCE 와 PCE/200 RBC의 소핵형성을 유발하지 않았다. 한편, CHO-K1 세포를 이용한 염색체 이상실험에서 발효 탐라오가피 추출물은 대사활성계의 존재 6시간 처리군, 대사활성계 부재 6시간 처리군 및 대사활성계 부재 24시간 처리군에서 염색체 이상을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발효 탐라 오가피 추출물은 유전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에폭시화 대두유의 유전독성 연구 (Studies on Genetic Toxicity of Epoxidized Soy Bean Oil)

  • 한의식;정해관;김종원;박미선;엄미옥;강혁준;민수진;오혜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45-151
    • /
    • 2001
  • 유아 식품중의 병마개 등에 약 30%까지 함유되어 합성수지 및 고무의 가소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 유럽등지에서 식품으로의 유리가 보고되어 안전성에 대한 재평가가 요구되어지고 있는 에폭시화 대두유 (Epoxidized soy bean oil, ESBO)의 유전독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박테리아를 이용한 복귀돌연변이시험과 포유류 배양세포를 대상으로 검색하는 체외 염색체이상시험, 설치류의 조혈세포를 이용한 체내 소핵시험을 수행하였다. Salmonella typhimurium TA98, TA100, TA1535, TA1537, TA102균주를 이용한 복귀돌연변이 시험결과 직접법 및 대사활성화법에서 돌연변이 유발성을 가지지 않는 음성의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chinese hamster lung cell을 이용한 염색체이상시험을 실시한 결과, 직접법 및 대사활성화법에서 염색체이상 유발작용을 보이지 않는 음성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성별, 연령별에 따라서 마우스 골수세포를 이용한 소핵시험에서 에폭시화 대두유는 미성숙 적혈구중 유의성 있는 소핵 유발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본 시험조건 중 에폭시화 대두유는 in vitro 시험인 Salmonella 균주를 이용한 복귀돌연변이시험과 포유동물 배양세포를 이용한 염색체이상시험 및 in vivo 시험인 마우스를 이용한 소핵시험에서 유전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살충성 물질 2-carbomethoxy-4-chlorodiethyl phosphate의 유전독성 평가 (Mutagenecity evaluation of insecticidal 2-carbomethoxy-4-chlorodiethyl phosphate in short-term bioassays)

  • 이제봉;성하정;정미혜;권오경;이해근;김영구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53-58
    • /
    • 1998
  • 벼멸구에 대해 살충성이 있는 2-carbomethoxy-4-chlorodiethyl phosphate를 신농약으로 개발할 목적으로 변이원성 시험, 즉 유전자복귀돌연변이, 염색체이상 및 소핵시험을 수행하였다. Salmonella typhimurium을 이용한 복귀돌연변이원성을 TA1535, TA1537, TA98과 TA100 균주를 이용하여 시험한 결과 대사활성화물질(S-9mix)의 첨가여부에 관계없이 유전자에 이상을 미치지 않았으며, CHL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은 EMEM 배지에서 $LC_{50}$$200{\mu}g/m{\ell}$이었으므로 $200{\mu}g/m{\ell}$을 최고농도로 공비2, 농도4로 염색체이상시험을 실시한 결과 200과 $100{\mu}g/m{\ell}$에서 이상세포가 나타났으나 양성으로 판정되지는 않았다. 2-Carbomethoxy-4-chlorodiethyl phosphate가 ICR 마우스의 골수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해 실시한 소핵시험에서도 음성대조, 양성대조 및 시험물질처리 군에서 PCE 및 MNPCE의 출현율이 모두 정상범위 내에 있어서 2-carbomethoxy-4-chlorodiethyl phosphate가 ICR 마우스의 골수세포에 소핵을 형성시키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2-carbomethoxy-4-chlorodiethyl phosphate는 미생물, 배양세포 그리고 생체 내에서 유전물질에 영향을 주지 않는 물질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삼종실유의 항돌연변이 효과 (Mutagenic and Antimutagenic Effects of Hemp Seed Oil Evaluated by Ames Salmonella Testing)

  • 전정애;조희준;전희진;이지혜;가요요;조경상;김은수;이성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96-400
    • /
    • 2011
  • We examined the in vitro mutagenic and antimutagenic effects of hexane-extracted hemp (Cannabis sativa L. subsp. sativa var. sativa) seed oil (HO) with and without S9-mediated metabolic activation, using the TA98 and TA100 Salmonella Typhimurium strains. The MTT assay revealed no cytotoxicity in HepG2 cells for HO quantities $\leq400g$/mL. In the mutagenicity test, revertant colonies did not exceed spontaneous colonies in number. Colony numbers did not increase in either strain after HO treatment, with or without metabolic activation. HO showed no mutagenic effects and did not induce a mutation in either strain. In the antimutagenicity test, HO reduced the number of mutated colonies induced by 4NQO in both strains. The inhibition rates of HO (TA98, 21-91%; TA100, 21-85%) indicated a potent reduction in mutagenicity induced by 4NQO. HO showed no significant mutagenicity and may have antimutagenic effects, as assessed by Ames testing.

세균을 이용한 정제봉독의 복귀돌연변이시험 (Mutagenicity Study of Purified Bee Venom (Apis mellifera L.) by the Bacterial Reverse Mutation Assay)

  • 한상미;홍인표;우순옥;김세건;장혜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28-233
    • /
    • 2017
  • 서양종 꿀벌의 일벌의 독을 채취하여 정제한 정제봉독에 대한 세균에서의 돌연변이 유발성 검색을 위하여 S. typhimurium의 히스티딘 요구성 균주 TA100, TA1535, TA98, 그리고 TA1537의 균주와 대장균 E. coli의 트립토판 요구성 균주인 WP2 uvrA를 이용해 복귀돌연변이시험을 실시하였다. 정제봉독은 부형제로 사용한 멸균생리식염수에 용해되었으며 모든 농도군의 조제물에서 침전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정제봉독 조제물을 top agar와 혼합할 때 모든 농도군에서 혼탁이나 침전이 관찰되지 않았다. 대사활성계 적용 TA100, TA1535, TA98 균주에 대해 0, 1.5, 5, 15, 50, 150 및 500 µg/plate의 범위를 설정하고 미 적용시엔 0, 0.15, 0.5, 1.5, 5, 15 및 $500{\mu}g/plate$의 범위로 설정하였다. TA1537과 WP2 uvrA균주에 대한 농도 범위은 대사활성계 적용시엔 0, 5, 15, 50, 150, 500 및 1,500를 미 적용시엔 0, 1.5, 5, 15, 50, 150 및 500 µg/plate 범위로 설정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모든 시험균주에서 대사활성계 적용 여부에 상관없이 정제봉독 처리군의 평균 집락 수는 증가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양성판정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였다. 따라서, 정제봉독은 본 시험조건 하에 사용한 시험 균주에 복귀돌연변이를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메밀 Flavonoids의 항돌연변이원성 및 지질대사 조절기능에 관한 연구 -메밀 잎 에탄올 추출물의 항돌연변이원성 연구- (Studies on Antimutagenic and Lipotropic Action of Flavonoids of Buckwheats -Desmutagenic Activity of Buckwheat Leaf Extracts)

  • 함승시;최근표;최용순;이상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698-703
    • /
    • 1994
  • In spore rec-assay using B. subtillus H17(rec) and M 45(rec) , the ethanol extract of buckwheat leaves showed antimutagenicity in condition of low concentrations, but its did comutagenicity in condition of high concentrations. In Ames test, the ethanol extract of buckwheat leaves reduced the mtabenicity of N-methyl-N' -nitro-N-nitrosoguaidine (MNNG), benzo (a) pyrene(B($\alpha$)P), 2-amino-fluorene(2AF), and 3-amino -1, 4-dime-thyl-5-H-pyrido(4, 3-b) indol(Trp-P-1) in Salmonella typhimurium TA98 and TA100. The ethanol extract was fractionated by hexane, ethylacetate, butanol and water. Among Them hexane fraction showed the highest inhibition rate on the mutagenicity of B($\alpha$)P, and so did chloroform fraction on the mutagenicity of MNNG in S. typhimurium Ta98 and TA100. To elucidate the antimutagenic mechanism of the ethanol extract, it was mixed and co-incubated with various metagens, S9 mix, and the bacteria with different experimental orders and different reaction times. The ethanol extract did not affect reversion rate of pre-mutated. S.typhimurium. However, when the ethanol extract was added to the mutagens before their interaction with S.typhimurium , it reduced the mutation rate to 152$\pm$12-273$\pm$18 colonies/plates in case of MNNG, and 135$\pm$13-195$\pm$10 colonies/ plates in case of B($\alpha$)P), showing strong desmutagenic activity.

  • PDF

CB6F1-Tg rasH2 Mouse Carrying Human Prototype c-Ha-ras Gene As an Alternative Model For Carcinogenicity Testing For Pharmaceuticals

  • Usui, T.;Urano, K.;Suzuki, S.;Hioki, K.;Maruyama, Ch.;Tomisawa, M.;Ohnishi, Y.;Suemizu, H.;Yamamoto, S.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7권
    • /
    • pp.293-297
    • /
    • 2001
  • The international pharmaceutical and regulatory communities had been recognizing the limited utility of conventional rodent carcinogenicity study particularly on the second species, mouse, after intense investigation of carcinogenicity data base worldwide, and a new scheme for carcinogenicity testing for pharmaceuticals was proposed at the Expert Working Group on Safety in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armonization (ICH) in 1996. CB6F 1-Tg rasH2 mouse carrying human prototype c-Ha-ras gene with its own promoter/enhancer is one oj the new carcinogenicity assay model for human cancer risk assessment. Studies have been conducted since 1992 to validate the transgenic (Tg) mice for rapid carcinogenicity test-ing, short term (26 weeks) studies with genotoxic (by Salmonella), non-genotoxic carcinogens, genotoxic non-carcinogens, non-genotoxic non-carcinogens revealed relatively high concordance oj the response of the Tg mouse with classical bioassay across classes of carcinogenic agents. Mechanistic basis for carcinogensis in the model are being elucidated in terms of the role of overexpression and/or point mutation of the transgene. This report review the initial studies of validation of the model and preliminary results of on-going ILSI HESI ACT project will be presented.

  • PDF

메밀싹 에탄올 추출물의 항돌연변이원성 및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an Ethanol Extract of Buckwheat Sprout)

  • 최승필;이의용;함승시;이득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3호
    • /
    • pp.212-218
    • /
    • 2008
  • 메밀싹 에탄올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실험 결과, 직접변이원인 MNNG를 처리한 S. typhimurium AT100 균주에 대해 메밀싹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200 ${\mu}g/plate$)이 80.6%로 가장 높은 억제율을 보였으며, 4NQO를 처리한 TA98 및 TA100 두 균주 모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 다른 분획보다 높은 85% 이상의 돌연변이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Trp-P-1에서는 TA98과 TA100 두 균주 모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각각 80.9와 85.9%의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검토한 실험에서는 A549 와 Colo 205 세포에 1.0mg/ml 농도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처리 시 모두 70.3% 이상의 증식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MCF-7 과 Hep3B 세포의 경우 부탄올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1.0mg/ml)에서 80% 이상의 암세포 성장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AGS는 1.0mg/ml농도의 에틸아세테에트와 부탄올 분획물에서 90% 이상의 강한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