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monella typhimurium

검색결과 1,220건 처리시간 0.039초

고구마 네 가지 품종의 조리방법에 따른 생리활성 변화 (Changes in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Four Sweet Potato Varieties by Cooking Condition)

  • 이영민;배지현;김정봉;김소영;정미남;박미영;고정숙;송진;김재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5권1호
    • /
    • pp.12-19
    • /
    • 2012
  • 최근에 고구마는 영양성 뿐만 아니라 기능성을 함께 갖춘 건강기능식품으로 새롭게 관심 받고 있으나, 고구마의 기능성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찌기, 굽기 등의 조리방법에 의하여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고구마인 연황미와 진홍미, 유색고구마인 주황미와 신자미 네 가지 품종에 대하여 항산화활성과 항암활성, 항균활성을 평가하고 찌기와 굽기에 의한 생리활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신자미 생 것이 73.6 mg/g으로 가장 높았고, 연황미 (3.8 mg/g)와 진홍미 (7.4 mg/g), 그리고 주황미 (7.9 mg/g)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조리유형별로는 신자미의 폴리페놀 함량이 생 것에서 가장 높았고, 그다음 찐 것 (41.0 mg/g)과 구운 것 (38.6 mg/g) 순으로 감소하여 굽기와 찌기 등의 조리에 의한 폴리페놀 함량의 감소를 보였다. 신자미는 DPPH 라디칼와 ABTS 양이온 소거능에서도 우수한 활성을 보였으며 신자미의 경우 라디칼 소거능이 찌기와 굽기에 의해서 감소하였으나, 이에 반해, 진홍미와 주황미는 찌기에 의해서 항산화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품종과는 달리, 신자미는 SOD 유사활성이 82.5%로 높은 항산화성을 보였으나, 찐 것의 경우 55.4%, 구운 것이 45.1%로 SOD 유사활성이 생 것에 비해 감소하였다. 고구마 에탄올 추출물을 유방암 세포인 MCF-7과 간암 세포인 HepG2에 처리하였을 때 세포의 성장을 저해하지 못하였고, 품종간에 또는 조리방법간에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항균 활성도 측정에서 E. coli, St. aureus, S. typhimurium 3가지 미생물에 대해 연황미, 진홍미, 주황미는 항균활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신자미는 생육을 각각 44%, 35%, 55% 저해시켰으며 찌기와 굽기에 의해서 항균 활성이 11~24%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주황색고구마인 주황미나 일반고구마 연황미, 진홍미에 비해서 진한 자색을 띄는 자색고구마 신자미는 항산화능과 항균능이 우수하였고, 이러한 신자미의 생리활성은 찌기에 의한 습열처리, 굽기에 의한 건열처리에 의해서 감소하였기에, 신자미의 생리활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생 것을 우유와 섞어 마시거나 샐러드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Icariin 함량에 따른 삼지구엽초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및 면역활성 (Antimutagenicity and Immuno Activity of Extracts from Epimedium koreanum Nakai Containing Different Icariin Quantity)

  • 박명수;김서진;페레이둔 포가니;라만;어지현;은종방;오덕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938-945
    • /
    • 2011
  • 예로부터 삼지구엽초는(Epimedium koreanum Nakai)는 한방에서 강장, 강정, 이뇨 등의 약재로 이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삼지구엽초의 주성분인 icariin의 함량에 따른 항돌연변이 및 면역활성을 탐색하여 향후 기능성 식품소재로서 활용하고자 하였다. Ames test 결과, icariin 함량에 따른 삼지구엽초 추출물은 TA98 및 TA100 균주 모두에서 집락수가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농도 변화에 따른 집락수의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으므로 돌연변이원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접변이균인 B(a)P 항돌연변이 실험에서는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이 각각 80% 그리고 90% 이상을 그리고, 직접변이균인 4NQO 항돌연변이균에서는 70% 이상으로 icariin 함량이 많은 순인 KE9412, KE9408, KE9405 순으로 항돌연변이 억제효과를 각각 나타내었다. 인간면역세포인 B와 T 세포를 이용한 면역활성 실험결과, 열수 추출물에서는 icariin 함량이 적은 KE9405가 1.8배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나,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열수 추출물과는 반대로 icariin 함량이 많은 KE9412가 1.74배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인하여, 삼지구엽초는 항돌연변이능과 면역활성 효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건강기능성 식품 소재로의 효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김치유래 exo-polysaccharide 생성능 Leuconostoc 및 Weissella균을 이용한 발효유 제조 (Yogurt Production Using Exo-polysaccharide-producing Leuconostoc and Weissella Isolates from Kimchi)

  • 민경아;정장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31-240
    • /
    • 2016
  • 김치에서 분리된 Leuconosotc종과 Weissella종의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시험과 요구르트에 접종하여 그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김치에서 분리한 균주들 대부분 85% 이상의 생존율을 보이며 산에 대한 높은 저항성을 보였다. 내담즙성 시험에서는 쓸개즙산을 0.3% 첨가한 MRS broth에 분리균주를 접종하여 측정한 결과 한 균주를 제외한 나머지 분리균주들의 생존율이 60% 이상으로 우수한 내성을 보였다. 내산성과 내담즙성 모두 우수한 Leuconostoc 6종, Weissella 3종을 E. coli와 S. Typimurium에 대한 생육억제 능력에 대한 시험을 진행하였다. 최종적으로 Leuconostoc 종인 KC. 5과 Weissella 종인 KC. 10을 최종 선발하였다. 선별된 김치분리균주 KC. 10의 덱스트란슈크레이스 활성 및 EPS 수율은 각각 15.91 DSU/mg protein 및 48.81%으로 일반 type 균주보다도 높았다. 선별 김치분리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한 요구르트를 제조한 뒤 측정한 pH는 발효 6시간 때 pH 4.5에 도달하였으며 12일 저장기간 동안에 pH의 큰 변화는 없었다. 산도는 1.2-1.3%로 1.1-1.15% 사이인 대조군에 비해 산도가 높았다. $4^{\circ}C$ 저장기간 동안, 요구르트의 점도는 펙틴을 첨가한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A12, KC. 5, KC. 10을 접종한 요구르트 중 슈크로스 함량이 4%인 첨가하고 선별된 김치 Leuconostoc 및 Wissella 접종 실험군이 12일째까지 유의적인 차이의 높은 점도를 나타내었다(p<0.05). 요구르트 저장 종료일에 시너레시스 측정값과 EPS수율 결과는 선별 김치균주를 이용한 4% 슈크로스첨가 요구르트는 대조군에 비해 시너레시스가 적은 값을 나타냈으며(p<0.05), EPS수율 또한 시료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프로바이오틱 및 요구르트 특성시험을 종합해본 결과 선별 김치균주들을 요구르트 제조 시 혼합균주로 첨가할 경우 EPS 생성으로 인해 프로바이오틱 특성과 프리바이오틱 특성을 동시에 가져 신바이오틱 발효유의 생산이 가능하였다.

유카추출물과 didecyldimethylammonium chloride를 주성분으로 하는 살균소독제 아쿠아 팜세이프의 어류병원체에 대한 살균 효과 (Biocidal effect to fish pathogens of Aqua farmsafe® composed of yucca extract and didecyldimethylammonium chloride)

  • 서정수;전은지;황지연;정승희;박명애;이성민;이은혜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11-11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4급 암모늄에 속하는 didecyldimethylammonium chloride (DDAC)와 유카추출물 (Yucca extract)의 합제인 아쿠아 팜세이프$^{(R)}$의 어류 질병 병원체에 대한 살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의 소독제 효력시험 중 세균 및 바이러스 소독제 효력시험에 따라 수행하였다. 소독제와 병원체를 증류수, 경수 그리고 유기물 조건에서 반응시킨 후, 중화액을 이용하여 중화시킨 다음, 중화된 용액을 배지 및 주화세포에서 접종시켜 세균의 성장 및 세포변성효과를 통해 소독제의 효력배수를 결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아쿠아 팜세이프$^{(R)}$는 식중독을 일으키는 공시균주 살모넬라균 (S. typhimurim)에 비하여, 어병세균이 30~40배 이상 높은 희석농도에서 소독효과를 나타내었으며, VHSV에 대하여서는 2,000~3,600배의 유효한 효력배수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향후, 야외적용시험을 통해 실제 적용에 따른 효과를 확인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전처리조건 및 건조방법에 따른 분말마늘의 품질특성 및 생리활성 (Effects of Pretreatment and Drying Methods on the Quality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Garlic Powders)

  • 장영은;김진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2호
    • /
    • pp.1680-1687
    • /
    • 2011
  • 마늘을 무처리(control), 자숙(boiling), 굽기(baking), 증자(steaming)의 처리방법과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의 방법으로 분말마늘을 제조하여 품질특성과 생리활성을 비교조사 하였다. 열처리 후 열풍건조한 분말마늘은 동결건조분말마늘보다 수분함량이 높았고, 수분활성도 역시 같은 경향을 보였다. 색차계로 분말마늘의 색도를 조사한 결과, 열풍건조구가 동결건조구에 비하여 모든 처리구에서 밝기를 나타내는 L 값은 낮았고, 적색도를 나타내는 a 값과 황색도를 나타내는 b 값은 높았으며 특히 굽기 처리를 한 경우 갈변현상이 강하게 나타났다. 분말마늘의 항산화능을 평가한 결과, 전자공여능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가열처리를 하지 않고 건조시킨 경우 유의적으로 높았고, 자숙, 굽기, 증자 등의 열처리를 한 경우는 열풍건조방법이 동결건조보다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나, 아질산염소거능은 전처리방법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았다. 혈전용해능은 가열처리과정 없이 열풍건조 방법으로 제조된 분말마늘이 가장 우수하였고, 가열처리를 한 경우는 열풍건조로 제조된 분말마늘의 혈전용해능이 동결건조분말마늘보다 2배 정도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전처리방법 중에서는 굽는 방법은 자숙처리법에 비해 비교적 높은 항산화능과 혈전용해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활성 검사 결과, 모든 열처리구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무처리구의 경우 동결건조가 열풍건조보다 높은 항균성을 나타냈으며, 균주별로는 Bacillus cereus, Salmonella Typhimurium,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 유의적으로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질풀 추출물로 염색한 면직물의 염색성과 항식중독균성 (Dyeability an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Food Poisoning Bacteria Dyed with Geranium nepalense Extracts)

  • 박윤점;김현주;박용서;조자용;장홍기;허북구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39-142
    • /
    • 2006
  • 항 식중독균성 수건 및 행주를 개발하기 위하여 이질풀 추출액 1%로 50-60에서 60분간 염색한 면직물의 염색성과 항균성을 조사하였다. 면직물의 표면색은 무매염, 명반 매염, 수산화칼슘 매염시는 그레이-옐로우로 황색계열을 나타냈으며, 황산구리 매염시는 그레이-브라운, 황산제1철 매염시는 그레이드-그린으로 나타났다. 이질풀 추출액으로 염색한 면직물의 hue 값은 20회 세탁까지는 Y계열을 나타내었으며, 30회와 40회 세탁시는 YR계열을 나타내었다. 이질풀 추출액으로 염색한 면직물은 황색포도상구균, 대장균 및 살모넬라균에 대해 무세탁시 모두 99.99%의 항균성을 보였다 세탁 30회 후의 항균성은 52.91%이상을 나타내었다.

Effects of Fermented Soybean Meal on Immune Response of Weaned Calves with Experimentally Induced Lipopolysaccharide Challenge

  • Kwon, In-Hyuk;Kim, Myung-Hoo;Yun, Cheol-Heui;Go, Jong-Yeol;Lee, Chan-Ho;Lee, Hyun-June;Phipek, Wisut;Ha, Jong-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7호
    • /
    • pp.957-964
    • /
    • 2011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fermented soybean meal (FSBM) on the level of cortisol hormone and immune-related serum proteins in weaned calves after experimentally induced lipopolysaccharide (LPS) challenge. Holstein neonatal calves (n = 21; 8 males and 13 females, BW = $42.2{\pm}6.15$ kg) were randomly allocated to one of two dietary treatments: SBM (control calf starter having soybean meal (SBM) as a main protein source) and FSBM (substitute SBM in control diet with FSBM) groups. All calves were fed milk replacer using an automatic milk-feeder according to step-down milking method and weaned at 7 weeks old. Experimental diets were given to calves ad libitum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For LPS challenge, all calves except negative control animals given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were injected subcutaneously with Salmonella typhimurium LPS on day 7 (D7) after weaning (D0).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wth performance and milk intake was observed between SBM and FSBM calves. Feeding FSBM diet resulted in significantly (p<0.05) higher LPS-specific IgG at D12 and D19 and LPS-specific IgA at D19 in peripheral blood. Calves fed with FSBM diet also had significantly (p<0.05) higher concentration of serum haptoglobin (Hp) at D8. Overall concentration of cortisol in FSBM group was considerably lower than that of SBM group. Results from current study indicate that FSBM may provide beneficial effects in alleviating weaning stress and enhance immune status of weaned calves.

급성기 반응을 활성화한 육계 병아리에서 사료중 미역 제품 수준이 단백질과 에너지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Brown Seaweed Levels on the Protein and Energy Metabolism in Broiler Chicks Activated Acute Phase Response)

  • 고태송;임진택;박인경;이혜정;최도열;최준영;이홍구;최윤재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3호
    • /
    • pp.379-390
    • /
    • 2005
  • Effects of dietary brown seaweed product levels on performance and metabolism of protein and energy were investigated in broiler chicks that were activated the acute phase response. One day old chicks were fed diets containing either 0.0(basal), 1.0, 2.0 or 4.0 % brown seaweed products for 3 weeks. The acute phase response was activated by injecting i.p. the Salmonella typhimurium lipopolysacharide(LPS) at $2^{nd}$ week of age. The acute phase response lowered nitrogen balance(NB)/ $kg^{0.75}$ (metabolic body size) and highered dietary ME values in birds fed diets containing brown seaweed product. Increase in dietary brown seaweed products levels lowered daily gain, and NB, uric acid nitrogen(UAN) excretion and ME utilization per $kg^{0.75}$ in chicks with the acute phase response. But the dietary brown seaweed product level did not affect the performance of 3 Week old broiler chicks that experienced the acute phase response. And the brown seaweed products 1.0 and 2.0 % diets lessened the feed intake reduction caused by the acute phase response in broiler chicks. The brown seaweed 2.0% diet increased NB / g diet or $kg^{0.75}$ and decreased the excretion of UAN/g diet or $kg^{0.75}$. This result indicated that the brown seaweed was able to interact with the acute phase response and increased protein retention via decreased breakdown of protein in birds fed brown seaweed 2.0% diet.

서울시 대기중 유기오염물질의 농도와 돌연변이원성에 대한 연구 (Atmospheric concentration and mutagenicity of organic pollutants of suspended particulate in Seoul)

  • 신동천;정용;문영한;노재훈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3권1호
    • /
    • pp.43-56
    • /
    • 1990
  • To evaluate the difference of concentration and mutagenicity of organic pollutants between residential and traffic area of Seoul, air samples were collected in Bulkwang (residential) and Shinchon (traffic) area. Samples were analyzed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extractable organic matters (EOM) and their subfractions and mutagenicities were tested using Salmonella typhimurium TA 98. The concentrations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were also measured by gas-chromatography and compared between two area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While the concentration of total suspended particulate (TSP) in residential area was below the environmental standard in annual average, the concentration in traffic area was above the standard and was up to its maximum $256{\mu}g/m^3$ in November. The difference of TSP concentrations in both areas of each mont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2. The concentration of fine particle in traffic area wa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 to that in residential area and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monthly difference in both areas (P<0.05). The proportion of concentration of fine particle to TSP was 55-68%. 3. Mean concentrations of EOM in residential and traffic areas were $4.3{\mu}g/m^3\;and\;5.3{\mu}g/m^3$ respectively. The proportion of amount of EOM from fine particle to EOM from TSP was 70-88%. 4. While the percentage of polar neutral organic compounds (POCN) of fine particle in Bulkwang's sample was higher compare to Shinchon's sample, the percentage of aliphatic compounds of fine particle in Shinchon's sample was higher compare to Bulkwang's sample. The percentages of PAH fraction were as low as 6-10% in both areas. 5. The mutagenic activity of nit concentration of organic matters extracted from fine particle was higher compare to that of coarse particle and was increased when metabolically activated with S9. Mutagenicities with metabolic activation calculated by unit air volum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residential and traffic area, $17\;revertants/m^3$\;and\;22\;revertants/m^3$ respectively. 6. The concentrations of benzo(a)pyrene in fine particle of traffic and residential areas were $3.10ng/m^3\;and\;2.02ng/m^3$ respectively. Sixteen PAHs were higher in samples of traffic area compare to residential area and also concentrations of PAHs in fine particle were higher compare to coarse particle.

  • PDF

Construction of Bacillus subtilis strain engineered for expression of porcine β-defensin-2/cecropin P1 fusion antimicrobial peptides and its growth-promoting effect and antimicrobial activity

  • Xu, Jian;Zhong, Fei;Zhang, Yonghong;Zhang, Jianlou;Huo, Shanshan;Lin, Hongyu;Wang, Liyue;Cui, Dan;Li, Xiuji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4호
    • /
    • pp.576-584
    • /
    • 2017
  • Objective: To generate recombinant Bacillus subtilis (B. subtilis) engineered for expression of porcine ${\beta}-defensin-2$ (pBD-2) and cecropin P1 (CP1) fusion antimicrobial peptide and investigate their anti-bacterial activity in vitro and their growth-promoting and disease resisting activity in vivo. Methods: The pBD-2 and CP1 fused gene was synthesized using the main codons of B. subtilis and inserted into plasmid pMK4 vector to construct their expression vector. The fusion peptide-expressing B. subtilis was constructed by transformation with the vector. The expressed fusion peptide was detected with Western blot.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xpressed fusion peptide and the recovered pBD-2 and CP1 by enterokinase digestion in vitro was analyzed by the bacterial growth-inhibitory activity assay. To analyze the engineered B. subtilis on growth promotion and disease resistance, the weaned piglets were fed with basic diet supplemented with the recombinant B. subtilis. Then the piglets were challenged by enteropathogenic Escherichia coli (E. coli). The weight gain and diarrhea incidence of piglets were measured after challenge. Results: The recombinant B. subtilis engineered for expression of pBD-2/CP1 fusion peptide was successfully constructed using the main codons of the B. subtilis. Both expressed pBD-2/CP1 fusion peptide and their individual peptides recovered from parental fusion peptide by enterokinase digestion possessed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to a variety of the bacteria, including gram-negative bacteria (E. coli, Salmonella typhimurium, and Haemophilus parasuis) and grampositive bacteria (Staphylococcus aureus). Supplementing the engineered B. subtilis to the pig feed could significantly promote the piglet growth and reduced diarrhea incidence of the piglets. Conclusion: The generated B. subtilis strain can efficiently express pBD-2/CP1 fusion antimicrobial peptide, the recovered pBD-2 and CP1 peptides possess potent antimicrobial activities to a variety of bacterial species in vitro. Supplementation of the engineered B. subtilis in pig feed obviously promote piglet growth and resistance to the colibacillo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