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YSTEMATICS

검색결과 1,619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 담수산 지각류의 분류학적 연구 (A Systematic Study on the Freshwater Cladocera from Korea)

  • 윤성명;김훈수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권2호
    • /
    • pp.175-207
    • /
    • 1987
  • A taxonomic Study was carried out on the freshwater cladocerans from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August 1985 to May 1987. Materials consist of both the specimens deposited at Department of Zoology, College of Natural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those collected at the freshwater regions such as rivers, lakes, ponds, bogs, rice fields, etc. During the perio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peciemens collected at the 123 locations in South Korea, 31 species of 7 families were identified and classified. In this paper, the authors submit the figures of the 31 species, of which the following 13 species were descirbed as hitherto unrecorded species in Korea : Diaphanosoma Leuchtenbergianum Fisher, 1858 : Simocephalus vetulus 9O.F.Mller, 1776) ; S. esxpinosus (koch, 1841); Ceriodaphnia reticulata (Jurine, 1820) ; Scapholeberis mucronata (O.F. Mller, 1785) ; Moina weismanni Ishikawa, 1896 : Ilyocryptus agilis Kurz, 1878 ; Biapertura affinis (Leydig, 1860) : Camptocercus rectirostris Schodler, 1862 ; alona costata Sars, 1862 ; Disparalona rostrata (Koch, 1841); Pseudochydorus globosus (Barird, 1843) ; Leptodora kindtii(Focke, 1844)

  • PDF

제주도 해역의 이모류 (갑각류;십각류) (The Anomuran Crabs(including Thalassinideans) of Cheju Island and its Adjacent Waters, Korea (Crustacea : Decapoda))

  • 김훈수;김창배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권2호
    • /
    • pp.225-236
    • /
    • 1987
  • 1986년 9월 30일부터 1987년 4월 24일까지의 조사기간에 제두도의 12개 지소에서 채집한 표본들과 조사기간 이전에 추자군도를 포함한 제두도 해역에서 채집된 미동정 표본들을 동정하고 문헌상의 기록들을 종합하여 제주도 해역 집게류의 분류목록을 작성하였다. 이 분류목록에는 9과 34종이 포함되어 있다. 이 중에서 제주도 해역 미기록종은 2종이었고 Dardanus pedunculatus(Herbst)는 한국 미기록종이므로 새로이 기재하고 그림도 작성하였다. 제주도 해역의 집게류 34종은 한국기지종 58종의 58.6%에 해당되며 34종 중에서 17종(50%)은 제주도 해역에서만 기록되었다. 34종 중 7종(20.6%)이 남방형이었고, 34종 중 서식처가 밝혀진 24종주에서 사질과 암석 바닥에 서식하는 종이 18종(75%)이었다. 이와 같은 사실들은 제주도 해역의 해황과 제주도 연안의 저질과 일치한다.

  • PDF

한국산 해산 태충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6. 유낭류 (A Systematic Study on the Marine Bryozoans in Korea 6. Ascophora)

  • 서지은;노분조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5권2호
    • /
    • pp.205-223
    • /
    • 1989
  • 본 연구는 한국산 해산 태충류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1970년부터 1988년까지 남한의 삼면 연안과 ㄷ서지방에서 채집되어 이화여자대학교 생물학과에 보관되어 있던 재료와 본인들이 직접 채집한 재료들을 동정 분류한 것이다. 그 결과 12과 18속 25종의 유낭류가 밝혀졌으며 이 중에서 9종은 한국미기록종이었다.

  • PDF

한국산 짜부락고둥 과(복족 강 : 중복족 목) (Cerithiiidae (Gastropoda: Mesogastropoda) from Korean Water)

  • 최병래;박중기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9권1호
    • /
    • pp.1-11
    • /
    • 1993
  • 1965년 8워룹터 1991년 10월까지 한국 해안 12개 지점에서 채집된 짜부락고둥류의 표본들을 동정, 분류한 결과 모두 6속 7종 이었으며 이들중 Bittitum varlegatum, B. craticulatum, Ataxocerithium abnormale 등 3종은 한국 미기록종으로 밝혀져 이들에 대하여 재기재를 하였다.

  • PDF

한국산 꼬마앉은뱅이과(거미강: 앉은뱅이목)의 2신종 (Two New Species of Chthoniidae (Arachnida : Pseudoscorpiones) from Korea)

  • Tae Heung Kim;yong Hong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0권1호
    • /
    • pp.47-53
    • /
    • 1994
  • 1991년 4월부터 1992년 8월까지 월출산, 속리산, 흑산도, 지리산, 계룡산 등 전국 15개 지역에서 채집된 앉은뱅이류를 조사한 결과 Mundochthonius minusculus n. sp.(천왕꼬마앉은뱅이, 신칭)와 Mundochthonius bifurcatus n. sp.(법주꼬마앉은뱅이, 신칭)를 발견하여 이를 기재한다. 따라서 기록된 한국산 꼬마앉은뱅이는 4속 6종이 된다.

  • PDF

한국 해산 오수무척추동물의 생물계통학적 연구 - 춘도(온산만) 해초류의 분류 - (Biosystematic Studies on the Marine Fouling Invertebrates in Korea- A Systematic Study on the Ascidians from Chundo Island(Onsan Bay), Korea-)

  • 노분조;최병래;송준임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2권3호
    • /
    • pp.221-235
    • /
    • 1996
  • "한국 해산 오수무척추동물의 생물계통학적 연구"의 일환으로서 공업단지로 둘러싸 인 온산만의 춘도를 택하여 1995년 2월과 7월, 그리고 1996년 2월에 위 연구의 SCIBA Team에 의해 수심 10m 미만에서 채집된 해초류를 분류하였다. 그 결과 6과 8속 15종이 밝 혀졌으며 이들 중 2종은 한국미기록종이었다. 이들은 Ascidia sydneiensis Stimpson(꾸러기 대추멍게)와 Ascidia zara Oka(자라대추멍게)이며 이들 종에 대하여는 간단한 기재와 그림 을 그려 설명하였고 그 외 13종의 기지종에 대하여는 춘도 이외의 지역에서 보고된 기재와 차이가 나는 점을 "특기"로 하여 설명하였다.;특기"로 하여 설명하였다.명하였다.

  • PDF

한국 남해 및 동해의 침염주발갯지렁이류 및 참염주발갯지렁이류 (Syllid Polychaetes of the Genera Langerhansia and typosyllis (Annelida)from South Sea and East Sea, Korea)

  • 이종위;노분조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2권3호
    • /
    • pp.265-280
    • /
    • 1996
  • 한국의 동해 및 남해로부터 침염주발갯지렁이류(Langerhansia Czerniavsky, 1881) 2 종, 참염주발갯지렁이류(Typosyllis Langerhans, 1879) 9종의 분류목록을 작성하였다. 그 중, 4종 L. cornuta(Lathke, 1843), L. rosea(Langerhans, 1879), T. okadai(Fauvel, 1934) and T. hyalina(Grube, 1863)은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보고되는 종이며, 침염주발갯지렁이류는 우 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보고되는 속이다.

  • PDF

흰녹가루병균(Albuginales; Oomycetes)의 다양성, 진화, 계통분류학 연구의 진보 (Recent Advances of the Diversity, Evolution, and Systematics of White Blister Rusts (Albuginales; Oomycetes))

  • 최영준
    • 한국균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73-81
    • /
    • 2016
  • 흰녹가루병균류(난균류)는 인공배양이 불가능한 순활물 병원균이다. 이들은 많은 속씨식물들에서 흰녹가루병을 일으키는데, 경제적으로 중요한 기주식물로는 해바라기, 와사비, 갓, 유채, 무, 배추, 시금치 등이 있다. 최근에 분자분석 방법과 분류학적으로 유용한 형태적 특징들이 제안되면서, 흰녹가루병균류의 다양성, 진화, 계통분류에 대한 연구에 큰 진척이 있었다. 본 논문은 국내에 덜 알려진 흰녹가루병 균류를 소개하고 최근의 연구성과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한국산 히드라해파리 4종(자포동물문: 히드라충 강) (Four Hydromedusae (Cnidaria : Hydrozoa) from Korea Waters)

  • 박정희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2권1호
    • /
    • pp.67-77
    • /
    • 1996
  • 우리나라의 서해와 남해연안에서 1995년 5월 10월 사이에 채집된 히드라해파리는 2 목 4과 4종으로 동정, 분류되어 재기재와 함께 보고한다. 3종: Cladonema radiatum Dujardin, 1843: Eirene menoni Kramp, 1953 및 Gonionemus vertens A. Agassia, 1862는 한국미기록종이고 Turritopsis nutricula(McCrady, 1856)의 폴립은 한국해역에서 이미 알려 졌으나 해파리는 처음 보고된다.

  • PDF

한국산 설치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 III. 제주도산 등줄쥐 (Apodemus agrarius chejuensis Jones and Johnson)의 형태적 및 염색체 분석 (Systematic Studies of Korea Rodents : III. morphometric and Chromosomal Analyses of Striped Field Mice, Apodemus Agrarius chemuensis Jones and Johnson, from Jeju-Do)

  • 고흥선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권1호
    • /
    • pp.24-40
    • /
    • 1987
  • 한국산 설치류 중 등줄쥐(Apodemus agrarius)의 분류학적 연구를 위해서 제주도산 등줄쥐(Apodemus agrarius chejuensis)를 채집하였으며 형태적 및 염색체 분석을 한반도 내의 등줄쥐(A. agrarius coreae)와 비교 실시하였다. A. agrarius coreae와 A. agrarius chejuensis는 염색체 핵형에서는 같았으나, 형태적 형질에 있어서는 전자는 작은 형이었으며 후자는 큰 형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