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SCALE

검색결과 1,673건 처리시간 0.033초

공간규모별 치유농업단지 입지잠재력 평가 (Evaluation of Suitable Locations of Green Care Farm Complex According to Spatial Scale)

  • 임혜지;배승종;구희동;김대식
    • 농촌계획
    • /
    • 제27권3호
    • /
    • pp.93-102
    • /
    • 2021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provide a scientific basis for the problem of location selection by spatial scale for efficient promotion of projects related to green care farm complex. Location potential assessment system in local government scale consists of two major components from demand-side and supply-side consideration. The demand-side aspect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potential users, while supply-side aspect used total 18 indices over 8 divisions under 3 fields. For the location potential assessment in district scale, total 8 indices under 3 major divisions were considered based on biological, physical, social, and economic environment. The application results of the location potential evaluation system in local government scale(excluding metropolitan cities) showed high location potential in southern Gyeonggi Province and near Busan Metropolitan City. As a result of applying the district-scale location potential evaluation system to Geumsan-gun, Geumsan-eup, Chubu-myeon, and Jewon-myeon have high potential. Further studies to improve the applicability of the developed indices are recommended by enhancing assessment indices, complementing base data, and reinforcing with spatial analysis.

Vector GIS를 이용한 교통 Zone체계 알고리즘 개발 방안에 관한 연구 (A Heuristic Algorithm for Designing Traffic Analysis Zone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최기주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91-104
    • /
    • 1995
  • 교통 및 기타 공간계획 과정에 있어서 분석을 위한 공간분할은 필수적이다. 공간 분할에 있어서 두 가지의 중요한 변수는 scale과 aggregation이라고 할 수 있는바 이들 2가지의 조합에 따라서 분할된 공간상의 계획결과물은 실로 엄청난 차이를 보일 때도 있다. 본고에서는 이들 공간 zone 분항 및 재구성 체계의 과정 및 결정기법을 살펴 보는데 우선 목적이 있고, 또한 vector형 GIS의 위상관계자료를 이용한 교통 zone체계의 재설정 방법을 제시해 봄으로써 경직된 교통계획상의 zone체계 구성에의 변화를 창출해 보았다. 시범연구로서는 남한을 132개의 세부 zone으로 구분한 뒤 사회경제적 지표에 의한 동질적인 zone체계를 구축하여 교통계획에 응용하였으나 애초에 macro된 세부 zone체계를 사용한 나머지 aggregate된 zone이 concave한 문제점 또한 발견되었다.

  • PDF

시각장애인을 위한 공간 및 방향감각 보조시스템 (Spatial and Directional Sensation Prosthesis for the Blind)

  • 노세현;박우찬;신현철;김상호;김영곤;김광년;정동근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45-150
    • /
    • 2004
  • 시각장애인의 시각보조를 위하여 공간 및 방향감각 보조시스템으로 초음파거리계 및 전자나침반을 개발하였다. 초음파거리계는 40 KHz 초음파의 반사를 이용하여 장애물까지 거리 정보를 거리에 비례하는 시간간격의 가청음 자극을 제공하며, 전자나침반은 자기저항브리지를 이용하여 지구자기장을 검출하고 자북 방향 정보를 이마주위의 진동모터를 통하여 촉각자극을 제공하도록 설계하였다. 초음파저리계의 측정범위는 0.065-3.26미터이며 전자나침반의 방향 분해능은 22.5도이다. 그리고 초음파거리계와 전자나침반을 통합한 일체형 시각보조시스템을 구현하였으며 이때 거리정보는 두부에서 진동모터의 위치로 전달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목표는 시각장애인의 공간 및 방향감각을 위한 실용적인 보조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이며, 본 보조시스템을 반복 사용함에 따라 시각장애인의 공간 및 방향감각 기능이 향상될 것으로 추측된다.

자동차 평균통행속도 적용방식에 따른 대기오염 배출량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Air Pollutants Emissions according to Three Averaging Methods of Vehicular Travel Speed)

  • 조규탁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01-411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method to be able to estimate the vehicular emissions according to spatial scales-Seoul province, 25 counties and hundreds of grids $(1km{\times}1km)$. First, the emissions at each spatial scale was calculated by using the road network and the travel volume and speed of each link modeled by travel demand model (TDM). Second, the emission at each spatial scale was calculated on the basis of average speeds estimated by using three kinds of averaging method. These are called the provincial, volume-delay function (VDF) and zonal method, respectively. Third, three kinds of emissions and those by TDM are compared each other at three spatial scales. In Seoul (provincial scale), three kinds of emissions are less than those by TDM, but the differences of TDM from three speed averaging methods (SAMs) are small. The relative ratios of three SAMs to TDM are $88\~90\%\;in\;CO,\;99\~100\%\;in\;NOx,\;84\~85\%$ in VOCs. At county scale, NOx among three pollutants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between TDM and three SAMs and the zonal method among three SAMs was proven to be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TDM. NOx showed the coefficients $(R^2)$ greater than 0.9 in all three SAMs but CO and VOC showed the coefficients $(R^2)$ greater than 0.9 in only zonal method. Slopes of co..elations of all pollutants showed the values close to '1' in zonal method. In the other two SAMs, slopes of NOx showed the values close to '1', but those of CO and VOC showed the values less than 0.85. At grid scale, correlations between TDM and three SAMs were not high. CO showed $0.68\~0.77\;in\;R^2s\;and\;58\~0.68$ in slopes. NOx showed $0.90\~0.94\;in\;R^2s\;and\;0.86\~0.94$ in slopes. VOC showed $0.56\~0.70\;in\;R^2s\;and\;0.48\~0.57$ in slopes. There are not high correlations between TDM and three SAMs in grid scale.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is the most suitable method for calculating the average travel speed at each spatial scale and it is thought that the zonal method is more suitable than the VDF or provincial method.

Species Associations with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of Pinus rigida and Pyrola japonica

  • Huh, Man-Kyu;Huh, Hong-Wook;Kim, Chang-Ho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2권6호
    • /
    • pp.349-354
    • /
    • 1999
  •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allelic frequencies and ecological traits by randomization were studied in the natural population of two species (Pinus rigida and Pyrola japonica). Both specie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spatial autocorrelation as measured by Moran's I. In P. rigida, the genetic similarity was shown in individuals within up to a scale of 18 m distance and this is partly due to combination of pollen and seed dispersal by wind or men. In P. japonica, significant spatial autocorrelation was consisted of a scale of 8 m intervals. These population structure in the distribution of allelic frequencies is related to mating systems such as outcrossing and vegetative spread.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positive species associations between P. rigida and P. japonica can occur when both species select the same habitat or require the same environmental conditions.

  • PDF

공간 일정 계획의 이슈들과 접근방법 (Issues and approaches to spatial scheduling)

  • 이경전;이재규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1995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논문집; 전남대학교; 28-29 Apr. 1995
    • /
    • pp.758-759
    • /
    • 1995
  • In large-scale industry such as shipbuilding, aircraft manufacturing, and construction industry etc., it is required to consider two or three-dimensional spatial availability as one of bottlenecked resource constraints. We call this kind of scheduling a spatial scheduling, which considers the dynamic spatial layouts of objects as well as the traditional resource constraints. Since 1991, we have researched on the spatial scheduling for shipbuilding plant (Lee & Lee, 1992; Lee et al., 1994, Lee et al., 1995).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various issues of spatial scheduling for the researchers and developers attacking spatial scheduling problems.

  • PDF

고해상도 광학 위성영상을 이용한 시공간 자료 융합의 적용성 평가: KOMPSAT-3A 및 Sentinel-2 위성영상의 융합 연구 (Applicability Evaluation of Spatio-Temporal Data Fusion Using Fine-scale Optical Satellite Image: A Study on Fusion of KOMPSAT-3A and Sentinel-2 Satellite Images)

  • 김예슬;이광재;이선구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7권6_3호
    • /
    • pp.1931-1942
    • /
    • 2021
  • 최근 고해상도 광학 위성영상의 활용성이 강조되면서 이를 이용한 지표 모니터링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고해상도 위성영상은 낮은 시간 해상도에서 획득되기 때문에 그 활용성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서로 다른 시간 및 공간 해상도를 갖는 다중 위성영상을 융합해 높은 시공간 해상도의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시공간 자료 융합을 적용할 수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중저해상도의 위성영상을 대상으로 시공간 융합 모델이 개발되어 왔기 때문에 고해상도 위성영상에 대한 기개발된 융합 모델의 적용성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KOMPSAT-3A 영상과 Sentinel-2 영상을 대상으로 기개발된 시공간 융합 모델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여기에는 예측을 위해 사용하는 정보가 다른 Enhanced Spatial and Temporal Adaptive Reflectance Fusion Model (ESTARFM)과 Spatial Time-series Geostatistical Deconvolution/Fusion Model (STGDFM)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시간적으로 연속적인 반사율 값을 결합하는 STGDFM의 예측 성능이 ESTARFM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KOMPSAT 영상의 낮은 시간 해상도로 같은 시기에서 KOMPSAT 및 Sentinel-2 영상을 동시에 획득하기 어려운 경우, STGDFM의 예측 성능 향상이 더욱 크게 나타났다. 본 실험 결과를 통해 연속적인 시간 정보를 결합해 상대적으로 높은 예측 성능을 가지는 STGDFM을 이용해 낮은 재방문 주기로 인한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축척 수치지도 기반의 정밀 공간정보 활용방안 (Utilization of High-precision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Large-scale Digital Map)

  • 박홍기;박현미;박진이;김의명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49-54
    • /
    • 2014
  • 1/5,000 수치지도는 국토관리, 지자체의 도시정보 체계, 민간분야의 내비게이션 등의 다양한 업무에 활용이 되는 기초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1/5,000 수치지도는 전국을 대상으로 구축되어 기본도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나 1/,000 수치지도에 비해 도시지역에서 활용하기에는 위치정확도 및 속성정보 측면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공간정보 서비스의 패러다임이 변화되면서 행정업무와 민간 지도 서비스 분야에서는 좀 더 정확한 위치정보와 풍부한 속성정보를 필요로 하고 있다. 특히, 도시지역에서 빠르게 변화되고 있는 도시시설물의 관리와 다양한 공간분석적인 측면에서 대축척 수치지도 기반의 정밀 공간정보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1,000 수치지도를 기반으로 하는 정밀 공간정보 활용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대축척 수치지도 관련 법제도와 공간정보 관련 법제도를 분석하고 1/1,000 수치지도를 제도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공공부문의 행정업무와 민간분야에서 기존 공간정보 활용사례를 분석하고 정밀 공간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