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IL LEACHATE

검색결과 320건 처리시간 0.022초

사용종료 매립장 오염원의 장기 변화 및 안정성 (Long Term Trend and Stability of Contaminant Sources of Finished Landfill)

  • 장연수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1996년도 사용종료 매립지의 안정화 에 관한 국제 세미나
    • /
    • pp.1-40
    • /
    • 1996
  • In order to determine the proper treatment of the finished landfill, it is important to predict the trend and stability of the major sources of contaminant in the landfill. In this paper the fate of contaminant sources in the landfill is studied from various literatures by grouping the contaminants into waste, leachate, and landfill gas. One example site referred is Nanji landfill which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finished landfills in our country and the trend of contaminant sources in this landfill at current stage is discussed.

  • PDF

중성계 및 알칼리성 고화재를 이용한 고화하수슬러지의 복토재가 모형매립조 내 유기물 분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lidified/Stabilized Sewage Sludge using Neutral Solidifying Chemical Agent and Alkaline Agent as Landfill Cover on Decomposition of Organic Matter in Lysimeter)

  • 김혜진;박진규;송상훈;이남훈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8호
    • /
    • pp.768-774
    • /
    • 2008
  • 하수슬러지 고화물이 매립지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모형매립조 실험을 수행하였다. 모형매립조는 총 3기를 제작하였으며, 충전물질은 퇴비와 사료, 모래를 각각 10 : 10 : 80으로 혼합하여 충전하였고, 복토재는 개발한 중성계 고화제로 하수 슬러지를 고화한 G고화물(LR1), 알칼리성 고화재로 고화한 A고화물(LR2), 마사토(LR3)로 하였다. 이를 30 $\pm$ 2$^{\circ}C$의 항온실에서 약450일 동안 운전한 결과 누적발생가스발생량과 VS성분에 따른 가스발생량, CO$_2$와 CH$_4$의 누적발생량은 LR2 > LR1 > LR3순 나타났다. 그리고 LR1, LR2, LR3의 COD$_{Cr}$변화를 살펴본 결과 LR1의 COD$_{Cr}$농도는 LR3와 같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G고화물은 침출수의 COD$_{Cr}$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LR2는 250일경 재슬러리화되어 COD$_{Cr}$농도가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T-N, T-P농도에 있어서도 LR3의 농도가 높은 것으로 보아, 하수슬러지고화물 복토에 의한 침출수의 T-N, T-P에는 영향이 미미한 것으로 판단된다.

가축 사체 매몰지 침출수 처리를 위한 Fenton 산화공정의 최적조건 (Optimal Condition of Operation Parameter for Livestock Carcass Leachate using Fenton Oxidation Process)

  • 안상우;정영철;유지영;민지은;이시진;박재우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8권1호
    • /
    • pp.26-35
    • /
    • 2013
  • Outbreak of animal infectious diseases such as foot-and-mouth disease, avian influenza are becoming prevalent worldwide. For prevent the further infection, tremendous numbers of the infected or culled stocks are buried around farm. This burial method can generate a wide range of detrimental components such as leachate, nutrient, salt, and pathogenic bacteria, consequently. In this study, for the stabilization of livestock carcasses leachate, advanced oxidation processes utilizing the Fenton reaction was investigated in lab-scale experiments for the treatment for $COD_{Cr}$ of livestock carcass leachate. $COD_{Cr}$ reduction by the Fenton oxidation was investigated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using the Box-Begnken methods were applied to the experimental results. A central composite design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pH ($x_1$), dosage of $FeCl_2{\cdot}4H_2O$ ($x_2$) and dosage of $H_2O_2$ ($x_3$) on the dependent variables $COD_{Cr}$ concentration ($y_1$). A 1 M NaOH and $H_2SO_4$ was using for pH control, $FeCl_2{\cdot}4H_2O$ was used as iron catalyst and NaOH was used for Fenton reaction. The optimal conditions for Fenton oxidation process were determined: pH, dosage of $FeCl_2{\cdot}4H_2O$ and dosage of $H_2O_2$ were 3, 0.6 g (0.0151 M) and 7 mL(0.259 M), respectively. Statistical results showed the order of significance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to be pH > initial concentration of ferrous ion > initial concentration of hydrogen peroxide.

토양 Column을 이용한 벼 재배 시 바이오차 팰렛의 양분용출 특성 (Characteristics of Nutrient Release of Biochar Pellets through Soil Column during Rice Cultivation)

  • 신중두
    • 유기물자원화
    • /
    • 제26권3호
    • /
    • pp.63-70
    • /
    • 2018
  • 본 연구는 토양 칼럼에 벼를 재배하면서 바이오차 팰렛처리에 따른 침출 수 및 토양 중의 작물 양분 이동 동태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칼럼 실험을 위한 시험구 처리는 돈분퇴비처리구를 대조구, 100% 돈분퇴비 팰렛구, 바이오차 팰렛 그리고 완효성비료 처리구로 구성되어있다. 연구 결과로서, 침출수 중의 $NH_4-N$의 농도는 이양후 35일을 정점으로 점차적으로 감소하였으며, $NO_3-N$의 농도는 이양 후 63-98일 사이에 가장 높게 관측 되었다. 침출수 중의 돈분 팰렛 및 바이오차 팰렛 처리구에서 $PO_4-P$의 농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침출수 중의 K의 함량이 대조구에서 가장 높게 보인 반면, 완효성비료 처리구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토양의 깊이별 $NH_4-N$의 농도는 40-60cm사이가 가장 높게 났으며, 돈분 팰렛 처리구를 제외하고 처리구 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또한 토양 깊이가 깊을수록 $NH_4-N$의 농도가 높게 관측 되었다. 반면에 $PO_4-P$의 농도는 완효성비료 처리구를 제외하고 토양깊이가 깊을수록 낮게 나타났다. 대조구에서 $PO_4-P$의 농도가 가장 높았다. 토양중의 가리의 이동 패턴은 대조구와 돈분 퇴비 팰렛구, 그리고 바이오차 팰렛구와 완효성처리구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벼 재배 시 바이오차 팰렛을 시용함으로쎄 식물 양분 이동에 의한 손실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사료 되다.

전기로 제강 환원슬래그 혼합토의 환경적 영향 (Environmental Effect of the Reduced Slag in the Electric Furnace)

  • 나현수;윤여원;윤길림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7호
    • /
    • pp.23-29
    • /
    • 2011
  • 산화슬래그는 토목분야에 널리 활용되어 왔으나 전기로 제강 환원슬래그는 거의 활용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토목 분야에서의 재활용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환원슬래그의 성분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토목현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풍화토와 환원슬래그를 중량비 0% 내지 30%로 혼합한 후, 폐합시스템의 Lysimeter에서 1주, 2주, 4주의 주기로 환원슬래그 혼합토의 환경적 특성을 고찰하기 위한 시험을 수행하였다. 환원슬래그를 XRD, XRF를 이용하여 정성 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 calcium silicate의 일종인 $Ca_2(SiO_4)$가 주요 결정 광물로 나타났다. 그리고 ICP-OES에 의한 중금속 분석결과 철강 생산 공정에 의한 영향으로 Al, Fe, Mn이 환원슬래그에 포함된 주요 중금속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폐기물관리법에 의한 오염물질 배출허용기준과 비교한 결과 중금속에 의한 오염가능성은 거의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환원슬래그 혼합토 침출수는 0% 혼합토에서 pH 6.9로부터 30% 혼합토에서 pH 10으로 측정되어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침출수의 순환주기에 의한 pH 변화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편백(Chamaecyparis obtusa)이 편백 식재림의 하층식생에 미치는 Allelopathy 효과 (Allelopathic Effect of Chamaecyparis obtuaa on Understrory Vegetation in C. Abtusa Plantation)

  • 광승훈;길봉섭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7권1호
    • /
    • pp.11-22
    • /
    • 1994
  • 전북 완주군 상관면 죽림리에 위치한 편백 식재림의 하중식생은 식재림 외부보다 출현종수 및 개체수가 매우 적으며, 인공림내에서도 순편백림이 편백-일본잎갈나무림보다 더 적다. 빈도 10% 이상인 종은 109종류 중에서 27종 뿐이었고, 청가시덩굴과 청미래덩굴의 빈도가 가장 높았다. 식재림내의 지표면 조도와 토양을 분석한 결과, 광량의 부족과 토양의 낮은 pH, 그리고 토양 무기물의 차이가 빈약한 하충식생의 원인으로 추정되었다. 그리고 종에 따라 다르나 토양을 이용한 실험실에서의 생물정량으로 임외종의 발아와 신장 생장이 더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고, 편백 litter 추출액과 leachate에 의한 생물정량에서도 임외종의 발아와 신장생장이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litter와 leachate를 통한 편백의 allelopathy 효과가 적어도 부분적으로나마 본 식재림의 빈약한 하중식생의 한 원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고로(高爐) 슬래그 침출수(浸出水)의 특성(特性)과 환경(環境)에 미치는 영향(影響) (Characteristics of Leachate from Blast Furnace Slag and Its Impacts on Environment)

  • 최의소;권수렬;이응조;박원목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7권3호
    • /
    • pp.55-60
    • /
    • 1987
  • 도로포장용(道路鋪裝用) 골재(骨材)로 슬래그를 사용할 때에 우수(雨水)와의 접촉에 의하여 생성되는 침출수(浸出水)에 의한 지하수(地下水)와 농작물에 대한 영향과 강재(鋼材)의 부식(腐蝕)여부를 검토하였다. 슬래그만의 침출실험결과(浸出實驗結果)와 침출수(浸出水)의 토양투과(土壤透過)에 의한 정상변화를 볼 때에 슬래그는 지하수(地下水)의 pH와 $SO_4^=$, $Ca^{{+}{+}}$, $Mg^{{+}{+}}$ 등의 농도를 높여 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ot 실험(實驗)을 통하여 볼때에 알타리무우의 생육(生育)에는 나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식촉진실험결과(腐蝕促進實驗結果)에 따르면 침출수(浸出水)와 강재(鋼材)의 접촉 초기에는 부식속도(腐蝕速度)가 매우 빠르나 $50^{\circ}C$에서 약 50 일후에는 부식정도가 일반토양(一般土壤)의 경우와 유사하게 되었다.

  • PDF

매립지 침출수 현장 처리를 위한 폴리우레탄과 개질토의 특성 분석 실험에 관한 연구 (Characterization of Polyurethane and Soil Layers for In-situ Treatment of Landfill Leachate)

  • 박찬수;정영욱;박중섭;백원석;신원식;천병식;한우선;박재우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81-286
    • /
    • 2007
  • A chemical and biological permeable barrier with economic feasibility is suggested to treat landfill leachate in this study. The proposed composite layers consist of bentonite, and polyurethane (PU) foam that is mixed with powdered activated carbon (PAC) and inoculated with microorganisms from local wastewater treatment plant. Each layer is mixed with local sand, and yellow brown soil. Batch tes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orptions of nitrate on the PU foam and PAC, and nitrification/denitrification rate of each layer material. Nitrification occurred in 30 minutes with initial ammonia concentration of 100 mg/L, and the concentration of nitrate attached in the PU foam increased after 270 minutes. Results of denitrification batch tests showed 76.6%, 87.3% and 88% of nitrate removal efficiency at 10%, 20% and 30% of the volume ratio of PU foam, respectively. The pH increased from 7 to 9.42, and alkalinity increased from 980 mg/L to 1720 mg/L during the denitrification batch tests. In the column experiments using the proposed composite layers with 20% of the volume ratio of the PU foam, about 96% of BOD, 63% of COD, 58.1~79.5% of total nitrogen were removed.

제주도 토양에서 유기인계 농약의 흡착 및 용탈 (Adsorption and Leaching of Organophosphorus Pesticides in the Soil of Cheju Island)

  • 감상규;고병철;오윤근;이용두;김정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379-386
    • /
    • 1999
  • The adsorption and leaching of organophosphorus pesticides (phenthoate, diazinon, methidathion) were investigated in Namwon soli(black volcanic soil), Aewol soil(very dark brown volcanic soil) and Mureung soil(dark brown nonvolcanic soil) sampled in Cheju Island. The Freundlich constant, K value, was 52.4, 31.3 and 27.7 for phenthoate, diazinon and methidathion in Namwonsoil, respectively and decreased in the order of phenthoate, diazinon and methidathion among the pesticides. The K value of phenthoate was 52.4, 15.9 and 5.9 for Namwon, Aewol and Mureung soil, respectively and was the highest for Namwon soil with very high organic matter content and cation exchange capacity(CEC). The Freundlich constant, 1/n,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organic matter content, i.e., its value was less than unity for organic matter rich soil(Namwon soil) and greater than unity for organic matter poor soil(Mureung soil). Total recoveries of pesticides in soil and leachate with leaching in soil column, were in the range of about 74~86%. The leaching of pesticides was less for phenthate with high K values, and more for methidathion with low K values among the pesticides. It was slower for Namwon soil with high K values, and more for methidathion with low K values among the pesticides. It was slower for Namwon soil with high K values, and faster for Mureung soil with low K values among the soils.

  • PDF

오염지반의 전기비저항치와 토성과의 상관성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Electrical Resistivity and Properties of Contaminated Soils)

  • 윤길림;이영남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4권2호
    • /
    • pp.79-92
    • /
    • 1998
  • 실내모형실험으로 전기비저항치와 오염된 흙의 물리적 성질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해서 요소분석을 수행하였다. 세가지의 모래질 구에 산업폐기물매립지의 침출수를 첨가하여 모형실험에 이용했다. 혼합토의 전기비저항치는 비저항콘을 모사한 프로브를 제작하여 측정했다. 실내모형실험에서는 흙의 함수비, 간극비. 단위중량, 함수비 및 침출수의 농도를 변화시키면서 혼합토의 전기비 저항치를 계측했다. 실험결과는 흙의 종류 및 단위중량보다는 흙의 함수비, 간극수의 전도성이 전기비저항치에 큰 영향를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