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UT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18초

Impact of Smut (Sporisorium scitamineum) on Sugarcane's Above-Ground Growth and the Determinants of the Disease Intensity in the Ethiopian Sugarcane Plantations

  • Samuel Tegene;Habtamu Terefe;Esayas Tena
    • 식물병연구
    • /
    • 제30권1호
    • /
    • pp.34-49
    • /
    • 2024
  •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smut management techniques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the impacts of smut on sugarcane growth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smut intensity and meteorological variables, varieties, and crop types. Thus, assessments were made with the objectives to 1) determine the effect of smut on the above-ground growth of sugarcane, and 2) quantify the association of smut with weather variables, varieties and crop types. The effect of smut on above-ground growth was assessed in six fields planted with NCo 334 (wider coverage) having 6 months of age in Fincha and Metehara fields in 2021. Data on above-ground growth were taken from 20 randomly selected smut-affected and healthy stools from each field. Besides, 6 years' data (2015 to 2021) on the numbers of smut-affected stools and smut whips of 79 fields were collected. Furthermore, 10 years' (2011 to 2021) weather data were acquired from the sugar plantations. The results demonstrated reduction in the above-ground growth of sugarcane in the range of 18.39% and 73.42% due to smut. In addition, weather variables explained about 68.48% and 66.58% of the variability in the number of smut-affected stools and whips respectively. Smut intensity increased with crop types for susceptible varieties. The tight association between the smut epidemic and crop types, varieties, and weather, implied that these parameters must be carefully considered in management decisions. Continuous monitoring of smut disease, meteorological variables, varieties, and crop types in all the sugarcane plantations could be done as a part of integrated smut management in the future.

한국, 일본 및 중국산.깜부기병균의 분포, 기주 및 발생 현황 (Distribution, Host Range and Disease Incidence of Smut Fungi in Korea, Japan, and China)

  • 이왕휴;이귀재;이용훈
    • 식물병연구
    • /
    • 제8권1호
    • /
    • pp.34-40
    • /
    • 2002
  • 깜부기병균은 지역의 기주에 따라 발생됨이 보고되었다. 한국 일본, 중국 3국의 깜부기병균의 기주, 발생현황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에서는 4과 12속 19종, 일본에서 24과 87속 191종, 중국에서는 12과 140종의 식물에서 보고되었다. 깜부기병균의 종은, 우리나라에서는 6속 29종, 일본에서 14속 140종을 재편하여 17속 114종으로 보고되었으며 그 후 여러 연구자의 보고에 의해 Schizonella 속과 Namnfldtiomyces 속이 포함되어 총 19속 122종이 되었다 중국에서 14속 109종이 보고되었으나 그 후 여러 연구자에 의해 Liroa속, Glomosporium속, Rhamphopora속, Micromotryum속이 첨가되어 총 18속 158종으로 병원균 수와 기 주식물의 수는 점차 늘어가는 추세이다. 잡부기병 발생현황을 보면 식물체 부분적 침입과 화기의 부분 또는 전체 침입을 하였다.

핵연료 피복관의 산세 공정 시 Nb 함량에 따른 SMUT 특성 (Evaluation of SMUT Properties according to Nb Content in the Pickling Process of Nuclear Fuel Cladding Tube)

  • 문종한;이영준;이진행;홍종원;이종현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9권8호
    • /
    • pp.483-490
    • /
    • 2019
  • Currently, the Korean nuclear industry uses ZIRLO as material for nuclear fuel cladding(zirconium alloy). KEPCO Nuclear Fuel i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a HANA alloy to enable domestic production of cladding. Cladding manufacture involves multistage heat treatments and pickling processes, the latter of which is vital for the removal of defects and impurities on the cladding surface. SMUT that forms on the cladding surface during such pickling process is a source of surface defects during heat treatment and post-treatment processes if not removed. This study analyzes ZIRLO, HANA-4, and HANA-6 alloy claddings to extensively study the SEM/EDS, XRD, and particle size characteristics of SMUT, which are second phase particles that are formed on the cladding surface during pickling processes. Using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observes SMUT form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Nb concentration in Zr alloys during the washing process following the pickling process. In addition, this study observes SMUT removal characteristics on cladding surfaces according to concentrations of nitric acid and hydrofluoric acid in the acid solution.

알루미늄 무질산 디스멋용액 연구

  • 고금석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7-127
    • /
    • 2016
  • 일반적인 알루미늄 표면처리 방식중 De Smut 는 질산 50~60% 용액에 상온에서 수초에서 수분 침적으로 Smut가 거의 제거가 되므로 도금공정에서 문제가 되지않았다. 단지 NOx 의 발생으로 작업공간 에서의 환경이 열악해 질 수 있다는 것이 문제 였다, 그러나 환경문제에 있어서 정부의 질소 규제 가 시작 되면서 알루미늄을 재료로 표면처리 하는 업체 에서는 질산 사용이 곤란해 해졌다. 그러나 질산이 금속과 의 친화력은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등 많은 금속에서 소지금속의 용해를 방지 하면서 산화스케일( De Smut)을 제거하는 데 유용한 산이어서 아직도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는 우선 스테인레스 강의 산세시 불산과 질산의 혼산을 사용 하는 것을 불산, 불화암모늄, 황산, 과산화 수소 혹은 불산, 염산, 과산화 수소 등으로 전환 사용 하는 것 에 착안 하여 황산, 과산화수소 시스템에서 혹은 불산, 황산, 과산화 수소, 등으로 Smut 제거가 가능 한지 알아보고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 PDF

First Report of Smut Caused by Urocystis eranthidis on Anemone flaccida in Korea

  • Diane Avalos-Ruiz;Gi-Seok Seol;Seong-Keun Lim;In-Kyu Kang;Seung-Yeol Lee;Hee-Young Jung
    • 한국균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47-53
    • /
    • 2022
  • Abnormal symptoms were observed on Anemone flaccida in Korea, indicating an infection caused by smut fungi. Morphological and molecular analyses of the strain KNUF-UB were consistent with previous reports of Urocystis eranthidis. Therefor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smut caused by U. eranthidis on A. flaccida in Korea.

Aluminum 합금소재의 알칼리에칭 공정으로 발생한 Smut 제거를 위한 무질산 혼합산용액 개발 (Development of Nitric Acid Free Desmut Solution for the Aluminum Alloy in Alkaline Etching and Acid Desmut Processes)

  • 추수태;최상교
    • 청정기술
    • /
    • 제9권2호
    • /
    • pp.57-61
    • /
    • 2003
  • 금속가공 공정에서 알루미늄 합금소재의 알칼리 에칭 후 표면에 발생한 스머트(Smut) 를 제거하기 위해 무질산 디스머트(Nitric acid-free desmut) 용액을 개발하였다. 과산화수소(2%), 불산(0.5%) 및 황산(10%)을 혼합한 산용액이 NaOH 수용액에 처리한 A16061 및 A15052 규격의 알루미늄 합금 소재에 대한 스머트 제거효과가 5% 질산수용액의 사용할 경우와 유사하게 관찰되었다. 스머트 제거를 위한 혼합 산용액 처리 전 후 소재 표면을 SEM-EPMA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 PDF

Graphene Based Electrochemical DNA Biosensor for Detection of False Smut of Rice (Ustilaginoidea virens)

  • Rana, Kritika;Mittal, Jagjiwan;Narang, Jagriti;Mishra, Annu;Pudake, Ramesh Namde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7권3호
    • /
    • pp.291-298
    • /
    • 2021
  • False smut caused by Ustilaginoidea virens is an important rice fungal disease that significantly decreases its production. In the recent past, conventional methods have been developed for its detection that is time-consuming and need high-cost equipments.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in nanotechnology have made it possible to assemble efficient recognition interfaces in biosensors. In this study, we present a simple, sensitive, and selective oxidized graphene-based geno-biosensor for the detection of rice false smut. The biosensor has been developed using a probe DNA as a biological recognition element on paper electrodes, and oxidized graphene to enhance the limit of detection and sensitivity of the sensor. Probe single-stranded DNA (ssDNA) and target ssDNA hybridization on the interface surface has been quantitatively measured with the electrochemical analysis tools namely, cyclic voltammetry, and linear sweep voltammetry. To confirm the selectivity of the device, probe hybridization with non-complementary ssDNA target has been studied. In our study, the developed sensor was able to detect up to 10 fM of target ssDNA. The paper electrodes were employed to produce an effective and cost-effective platform for the immobilization of the DNA and can be extended to design low-cost biosensors for the detection of the other plant pathogens.

율무 잎마름병과 깜부기병에 대한 종자소독 효과 (Effects of Seed Disinfectant Treatments on Leaf Blight and Smut Disease in Coix lacryma-jobi L. var. ma-yuen Stapf)

  • 장석원;김희동;전대훈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79-82
    • /
    • 2000
  • 본 연구는 율무 주산단지인 연천지역에서 율무 종자전염병인 잎마름병 및 깜부기병에 대한 종자 소독 실태와 종자소독제 처리에 의한 방제효과를 검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율무의 잎마름병 종자감염율은 연천지역 농가에서 수집한 종자를 검사한 결과 $32.7{\sim}45.7%$였으며, 율무종자 소독기간은 율무 1호가 $0{\sim}7$일, 연천 재래종이 $0{\sim}20$일이었다. 농가별 종자소독기간 분포 비율은 무소독 20%, $1{\sim}5$일 20%, $6{\sim}10$일 55% 그리고 11일 이상이 15%였다. 종자소독처리제인 후루디옥소닐종자처리액상수화제의 잎마름병에 대한 종자소독효과는 97%, 깜부기병에 대한 종자 소독효과는 93.4% 로 높은 방제가를 나타냈다.

  • PDF

맥류(麥類)에 발생(發生)하는 Ustilago nuda 및 Pyrenophora graminea에 대한 종자(種子) 소독(消毒)에 관한 연구(硏究) (Control of Seed-borne Infection of Ustilago nuda and Pyrenophora graminea on Barley)

  • 이두형
    • 한국균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89-94
    • /
    • 1980
  • 맥류(麥類)의 겉깜부기병(라흑종병(裸黑種病))과 줄무늬병(반엽병(班葉病))에 대한 종자(種子) 소독(消毒) 효과(效果)를 보기 위하여 자연이병(自然罹病)된 종자(種子)에 Baytan외(外) 13종(種)의 엽제(葉劑)를 처리(處理)한 다음 포장(圃場)에 파종(播種)하여 발병상황(發病狀況)을 조사(調査)하였다. Sisthane 및 Benlate T는 겉깜부기병과 줄무늬병에 대하여 Vitathiram과 같은 방제효과(防除效果)를 나타냈으며, Baytan U는 겉깜부기병에는 효과적(效果的)이었으나 줄무늬병에는 효과(效果)가 떨어졌다. P242는 줄무늬병에는 좋은 약효(藥效)를 나타냈으나 겉깜부기병의 발생(發生)을 막는데는 효과(效果)가 적었으며, Busan 30은 겉깜부기병과 줄무늬병에 대하여 Vitathiram에 비해서 효과(效果)가 불안정(不安定)하였다. 홍시약제(洪試藥劑)로 처리한 보리 쌀보리 및 밀을 실내(室內)서에 발아상(發芽箱)에 키웠을 때 Sisthane과 Baytan U의 고농도처리구(高濃度處理區)에서는 뿌리뒤틀림 현상으로 생육(生育)의 저해(沮害)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지역 및 품종에 따른 벼 이삭누룩병 발생과 약제방제 효과 (Incidence of Rice False Smut Caused by Ustilaginoidea virens in Different Geographic Regions and Cultivars, and Its Chemical Control)

  • 심홍식;류재당;한성숙
    • 식물병연구
    • /
    • 제7권2호
    • /
    • pp.102-106
    • /
    • 2001
  • 2000년에 전국적으로 이삭누룩병이 발생한 포장의 비율은 7.5%이었으며, 지역별로는 충북이 13.7%로 가장 높았고 전남이 1.5%로 가장 낮았다. 벼 품종별로는 남천벼가 가장 감수성이었고 흑진주벼는 1999년과 2000년에 전혀 발생이 되지 않아 가장 저항성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삭누룩병 약제방제 선발 시험결과 터부코나졸 수화제의 방제가는 83.0% 이상으로 가장 우수하였고, 훼림존 성분이 함유된 두 약제도 방제가가 60.9%∼75.9%로 나타났다. 남원 지역의 포장에서 이삭누룩병 발생이 높은 원인은 일조부족 및 강우량이 많아 발병이 조장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