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OPE ASPECT

검색결과 353건 처리시간 0.03초

Slope-Aspect 알고리즘을 활용한 강릉시 산불 피해지역 실표면적 산출 방법 (Calculating the Actual Surface Area for Gangneung Forest Fire Area Using Slope-Aspect Algorithm)

  • 정종철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2권1호
    • /
    • pp.95-104
    • /
    • 2022
  • 본 연구는 2019년 4월 4일 강릉시 옥계면에서 발생한 산불 피해지역의 정확한 면적을 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리나라의 산림은 경사도가 존재하고 있으므로 평면적이 아닌 경사를 고려한 표면적을 구해야 한다.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DEM과 산림청에서 제공하는 제5차 수치임상도를 사용하였다. DEM에서는 각 화소의 중심점을 생성하고 모든 점을 연결하였다. 이때 연결선의 길이는 화소의 공간해상력과 cosine값을 통해 결정되며 높이값과 함께 표면적을 구하며, 이를 Slope-Aspect 알고리즘이라 한다. 산림의 표면적과 평면적을 나무의 수종, 산림의 종류에 따라 나타냈으며 이들의 정량적인 수치 차이를 통해 본 연구의 유효성을 입증하였다.

임도시공경과년수 및 물리적 특성이 임도사면의 식생 침입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Elapsed Years and Physical Properties on Vegetation Invasion of Forest Road Slope)

  • 이준우;추갑철;최윤호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8-34
    • /
    • 200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effects of elapsed years and physical properties on invaded vegetation of forest road slope. For the study, 8 forest roads in Asan-si of Chungcheongnam-do were selected and 15 factors that might influence on vegetation invasion were analyzed. In generally, vegetation coverage of slope have increased with the elapsed years. But invasion species have decreased in the cut-slope and increased in fill-slope.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rate of vegetation coverage and elapsed years, but rate of vegetation coverage was strongly related with slope aspect. And the species of invasion vegetation affected mostly by the elapsed years and slope aspect among the physical properties.

설악산국립공원 오색-대청봉-신흥사지역의 사면방향과 해발고에 따른 산림구조 (Forest Structure in Relation to Slope Aspect and Altitude in Osaek-Taech'ongbong-Shinhungsa Area at Soraksan National Park)

  • 박인협;류석봉;최영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86-492
    • /
    • 1998
  • 설악산국립공원의 주봉인 대청봉(해발 1,708m)을 중심으로 남향사면인 오색-대청봉지역과 북향사면인 신흥사-대청봉지역을 대상으로 사면방향과 해발고에 따른 교목층의 산림군집구조를 조사분석하였다. 특수한 지형인 주능선부에 위치하는 북향사면의 상부를 제외하면, 동일 해발고일 경우 남향사면은 북향사면에 비햐여 교목상층 개체목의 크기가 작고 밀도가 높으며 교목층의 종다양도가 낮은 경향을 보였다. 해발고간 지형조건이 유사한 남향사면의 경우 해발고가 높아짐에 따라 교목상, 하층의 흉고단면적이 증가하였다. 남향사면의 해발고가 증가함에 따라 교목층에서 중요치가 감소하는 수종은 신갈나무, 쪽동백나무, 생각나무 등이었으며, 증가하는 수종은 잣나무, 사스래나무, 시닥나무, 철쭉꽃 등이었다. Cluster와 ordination분석에 의하여 산림군집을 교목상층에 의하여 구분한 결과 남향사면의 상, 중, 하부와 북향사면의 중, 하부에 위치하는 신갈나무군집, 북향사면 상부의 사스래나무군집, 정상부의 구상나무군집 등 3개 군집으로 구분되었다.

  • PDF

소나무 공간분포와 지형인자간의 상관성 분석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distribution of Pinus densiflora and topographical factors)

  • 김태민;이우균;정성은;곽한빈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6권3호
    • /
    • pp.359-372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소나무의 공간분포를 추정하고, 소나무 공간분포와 출현패턴을 효과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최적의 격자크기를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최적 격자크기에서 지형인자에 따른 소나무의 출현빈도를 분석하고, 지형인자가 소나무 분포에 미치는 영향력을 비교함으로써 소나무 공간분포를 지형학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1m 격자크기의 DEM은 방위를 동, 서, 남, 북으로 세밀하게 구분하고 소나무도 모든 방위에 분포한 한 반면, 격자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주능선에 의해 방위를 동, 서, 남 또는 동, 남과 같이 단순화시켜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소나무 또한 특정 방위에 주로 분포하는 특징을 보였다. 소나무 출현빈도 분석결과 격자크기가 100m일 때 소나무 공간분포 특징을 설명할 수 있었으며, 방위, 경사, TWI가 소나무 공간분포에 미치는 영향력 비교를 통해서는 방위의 영향력이 경사의 영향력보다 크고 경사와 TWI 사이의 영향력 차이는 크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 PDF

지형조건에 따른 제주도의 일사량 분포 추정 (Estimation of Solar Radiation Distribution Considering the Topographic Conditions at Jeju Island)

  • 박진기;박종화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5권1호
    • /
    • pp.39-48
    • /
    • 2013
  • The solar radiation is the primary energy source that drives many of the earth's physical and biological processes and climate change. Understanding its importance to the solar radiation observation is a key to understanding a broad range of natural processes, agricultural, energy and human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solar radiation using sunshine duration, and to estimate distribution of solar radiation using a topography factor considering surface slope and aspect in complex terrain.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between ratio of solar radiation and sunshine duration from 2001 to 2010 shows high $R^2$ value of 0.878.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topographic attributes including elevation, slope and aspect had significant effects on solar radiation. The variation of topographic factor with aspect and slope for the summer and winter are considered. The highest month of daily mean solar radiation at Jeju island appears in April of 20.61 $MJ{\cdot}m^{-2}{\cdot}day^{-1}$, and the lowest month appears in December of 6.90 $MJ{\cdot}m^{-2}{\cdot}day^{-1}$. These results provided useful quantitative information about the influence of topography on solar radiation in the island region.

수량화 II 류에 의한 임도절토사면의 붕괴요인 평가 (The Evaluation of Failure Factors on Cutting Slopes of Forest Road by Quantification Theory(II))

  • 차두송;지병윤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8권1호
    • /
    • pp.7-14
    • /
    • 2001
  • 본 연구는 집중호우로 인하여 절토사면의 붕괴가 발생한 임도를 대상으로 수량화이론(II)을 이용하여 붕괴요인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임도 절토사면의 붕괴발생에 미치는 요인의 영향은 절토사면길이, 겉보기 토질, 사면방위, 절토사변경사, 산지경사 등 5개 요인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특히, 절토사면길이는 8m 이상, 겉보기 토질은 토사, 사면방위는 북사면, 절토사변경사는 $60^{\circ}$이상, 산지경사는 $35{\sim}40^{\circ}$ 사이에서 사면붕괴에 기여도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 PDF

우리나라 국립공원지역의 산사태 발생특성 분석 (Analysis of Landslides Characteristics in Korean National Parks)

  • 마호섭;정원옥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6호
    • /
    • pp.611-619
    • /
    • 2007
  • 우리나라 국립공원 7개 지역을 대상으로 산사태 발생특성 및 산사태 발생면적에 영향을 미치는 산림환경 인자를 분석하였다. 국립공원내 산사태 발생 수는 총 44개소였으며, 산사태 발생 길이는 평균 152 m, 평균 폭 17m, 평균 발생면적 $2,818m^2$로 나타났다. 산사태가 비교적 많이 발생한 인자는 변성암, 혼효림, 사면경사도 $30{\sim}35^{\circ}$, 북동사면, 해발 1,000 m 이상, 종단사변형은 하강사면, 횡단사면형은 오목사면, 하천차수는 산정 곡두부위인 0차 지점으로 나타났다. 특히 단계별 회귀분석에 의한 산사태 발생면적에 많은 영향을 준 인자는 판상, 북동사면, 2차 하천, 남동사면, 사면경사도, 복합사면(횡단사면형) 순으로 도출되었다.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vegetation cover for stabilization of granite weathered soil forest road cut slopes

  • Seong-Man Kim;Sung-Min Choi;Ye Jun Choe;Yun-Jin Shim;Joon-Woo Lee
    • 농업과학연구
    • /
    • 제49권4호
    • /
    • pp.809-819
    • /
    • 202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stability of cut slopes of forest roads in granitic weathered soil areas. The study area is a national forest road (road length 28.48 km) in Pyeongchang-gun, Gangwon-do. After data collection, a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IBM SPSS (Ver. 26.0). First,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structure, slope position, soil erosion, slope, and aspect (N, S) were correlated with vegetation coverage (p < 0.05). Elapsed years, slope distance, and aspect (E, W) were found to have no correlation with vegetation coverage. (p > 0.05) Second, one-way ANOVA and Kruskal-Wallis test results showed that vegetation coverage was worse when the slope was located at the top or the middle of the slope than at the bottom of the slope. In addition, the site with sheathing and gabions showed good vegetation coverage when compared with the site without structures. In the case of soil erosion, areas with severe damage and moderate damage showed worse vegetation coverag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slope angle of the cut soil of the granitic weathered soil area from 1 : 0.5 - 1.2 to 1 : 0.8 - 1.5. In addition, structures such as sheathing and gabions should be installed on granitic weathered land.

중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기울기 개념에 관한 유형 분석 (An Analysis of the Types of Slope Concepts in Math Textbooks of Middle School)

  • 강영란;조정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351-367
    • /
    • 2019
  • 기울기는 직선의 가파른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기초적인 개념이면서 동시에 고급 수학과 연결되는 중요한 수학적 개념이다. 본 연구는 교과서에서 기울기의 개념이 어떻게 제시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교과서에서 제시한 기울기 개념 유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중학교 2학년 교과서 13종 일차함수 단원에서 기울기에 대한 도입 활동, 기울기 정의를 위한 약속, 교과서 예제에서 사용된 기울기 개념을 Stump(1999, 2001), Moore-Russo, Connor, & Rugg(2011)의 기울기 개념 유형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중학교 2학년 교과서에서 기울기를 설명하거나 기울기 문제를 제시할 때 기울기의 개념 유형이 편향되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울기에 대한 실생활 맥락이 빈약하게 제시되고 있으며, 기울기 개념의 도입시 그 유형이 시각적 측면에서 분석적 측면으로 변화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향후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기울기 개념을 제시하는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지형요소에 따른 NDVI의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nge of NDVI According to the Terrain Element)

  • 성춘자;정종철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92-100
    • /
    • 2003
  • 연구의 기본 목적은 지형단위를 분류할 수 있는 정량적 기준 마련에 두고, 본 연구에서는 사례 지역을 대상으로 고도, 사면경사, 사면방향 등 지형요소에 따른 NDVI의 차이와 변화를 분석하고 지형단위의 분류 지표로 NDVI의 활용 가능성을 진단하고자 하는 것이다. 사례지역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고도, 사면경사, 사면방향 등 분석된 지형요소와 NDVI가 선형의 관계를 나타내지는 않으며, 대체로 NDVI가 높게 나타났고, 고도와 사면경사가 증가함에 따라서 NDVI의 분산범위가 작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고도와 사면경사가 증가하면서 NDVI의 분산범위가 불연속적 변화양상을 보이는데 고도의 경우에는 대략 50m와 100m를 경계로, 사면경사의 경우에는 사면경사 $10{\sim}20^{\circ}$를 경계로 NDVI의 분산범위가 불연속적으로 감소된다. 그러나 사면방향에 따른 NDVI의 차이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