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ICE

검색결과 982건 처리시간 0.03초

3차원 전산화단층찰영 영상을 이용한 얼굴 연조직 두께 계측 (Measurement of facial soft tissues thickness using 3D computed tomographic images)

  • 정호걸;김기덕;한승호;신동원;허경석;이제범;박혁;박창서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6권1호
    • /
    • pp.49-54
    • /
    • 2006
  • Purpose : To evaluat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program to measure facial soft tissue thickness using 3D computed tomographic images by comparing with direct measurement. Materials and Methods : One cadaver was scanned with a Helical CT with 3 mm slice thickness and 3 mm/sec table speed. The acquired data was reconstructed with 1.5 mm reconstruction interval and the images were transferred to a personal computer. The facial soft tissue thickness were measured using a program developed newly in 3D image. For direct measurement, the cadaver was cut with a bone cutter and then a ruler was placed above the cut side. The procedure was followed by taking pictures of the facial soft tissues with a high-resolution digital camera. Then the measurements were done in the photographic images and repeated for ten times. A repeated measure analysis of variance was adopt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measurements resulting from the two different methods. Comparison according to the areas was analyzed by Mann-Whitney test. Results :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direct measurements and those using the 3D images (p>0.05).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measurements on 17 points but all the points except 2 points showed a mean difference of 0.5 mm or less. Conclusion : The developed software program to measure the facial soft tissue thickness using 3D images was so accurate that it allows to measure facial soft tissues thickness more easily in forensic science and anthropology.

  • PDF

의료영상을 이용한 인체장기의 분할 및 시각화 (Segmentation and Visualization of Human Anatomy using Medical Imagery)

  • 이준구;김양모;김도연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91-197
    • /
    • 2013
  • 방사선과 의사들은 CT 및 MRI 스캐너로부터 얻어진 인체의 단면 영상을 연속적으로 보고 실제 3차원적으로 인체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상상하여 병변을 구별하는데, 의학영상을 이용한 인체 장기의 3차원 시각화는 2차원 형태의 인체 단면 영상들을 복잡한 알고리즘이나 고성능의 컴퓨팅 파워를 사용하여 실제 인체와 같이 3차원으로 재구성하여 보여준다. 단면 영상의 추적, 관심영역의 표시 및 추출등과 같은 2차원 영상분석은 시간이 많이 소모되고, 주관적일 수가 있으며, 수작업인 관계로 빈번한 에러가 발생하는 단점을 가지는데, 이와 같은 2차원 의료 영상 분석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의학영상처리 기술과 접목한 3차원 의료 영상의 시각화는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명암값 임계치 방법, 영역확장(region growing) 방법, 윤곽선(contour) 추출 방법 및 변형모델(deformable model) 방법을 사용하여 인체의 각 장기를 분리하였으며, 텍스쳐분석(texture analysis)을 통하여 고안된 특징자를 이용하여 암 부분을 인식하는데 사용하였고, 원근투영(perspective projection) 및 볼륨 데이터의 표면을 렌더링하기 위해 마칭큐브(marching cube)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인체 및 분리된 장기에 대한 3차원 시각화는 방사선치료계획(radiation treatment planning), 외과 수술계획, 모의수술, 중재적(interventional)시술 및 영상유도수술(image guided surgery)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Ovarian Masses: Is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a Reliable Imaging Modality?

  • Khattak, Yasir Jamil;Hafeez, Saima;Alam, Tariq;Beg, Madiha;Awais, Mohammad;Masroor, Imran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4호
    • /
    • pp.2627-2630
    • /
    • 2013
  • Background: Ovarian cancer continues to pose a major challenge to physicians and radiologists. It is the third most common gynecologic malignancy and estimated to be fifth leading cancer cause of death in women, constituting 23% of all gynecological malignancies.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MDCT) appears to offer an excellent modality in diagnosing ovarian cancer based on combination of its availability, meticulous technique, efficacy and familiarity of radiologists and physician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ute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and diagnostic accuracy of 64-slice MDCT in classifying ovarian masses; 95% confidence intervals were reported. Materials and Methods: We prospectively designed a cross-sectional analytical study to collect data from July 2010 to August 2011 from a tertiary care hospital in Karachi, Pakistan. A sample of 105 women aged between 15-80 years referred for 64-MDCT of abdomen and pelvis with clinical suspicion of malignant ovarian cancer, irrespective of stage of disease, were enrolled by non-probability purposive sampling. All patients who were already known cases of histologically proven ovarian carcinoma and having some contraindication to radiation or iodinated contrast media were excluded. Results: Our prospective study reports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with 95%CI and accuracy were computed. Kappa was calculated to report agreement among the two radiologists. For reader A, MDCT was found to have 92% (0.83, 0.97) sensitivity and 86.7% (0.68, 0.96) specificity, while PPV and NPV were 94.5% (0.86, 0.98) and 86.7% (0.63, 0.92), respectively. Accuracy reported by reader A was 90.5%. For reader B, sensitivity, specificity, PPV and NPV were 94.6% (0.86, 0.98) 90% (0.72, 0.97) 96% (0.88, 0.99) and 87.1% (0.69, 0.95) respectively. Accuracy computed by reader B was 93.3%. Excellent agreement was found between the two radiologists with a significant kappa value of 0.887. Conclusion: Based on our study results, we conclude MDCT is a reliable imaging modality in diagnosis of ovarian masses accurately with insignificant interobserver variability.

BIM 형상정보를 이용한 증강현실기반 가시화 사례 (A Study of Augmented Reality based Visualization using Shape Information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 허경진;이석준;정순기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0권2호
    • /
    • pp.1-11
    • /
    • 2012
  • 기존의 건축계획 및 설계과정에서는 건축물 내 외부의 공간감을 확인하기 위해 건물모형을 제작하였으나 건물모형은 비교적 많은 제작 시간과 노력이 들며 건물의 내부 정보를 파악하기에 어려움이 따른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기존 설계, 계획 과정과 그에 대한 가시화 방법으로써 CAD툴을 사용하여 건물 모형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건물 내부 정보를 가시화 할 수 있었지만, 건물모형에서 확인할 수 있는 부피감을 확인하기에는 부족함이 존재한다. 기본적으로 CAD는 설계에 목적을 두고 만들어진 프로그램이며 일반적인 가시화 환경인 2차원 모니터 화면상에서 3차원 건물을 보여주게 되므로 공간에 대한 인지적 몰입감을 만족시키기에는 부족하다. 본 논문에서는 BIM 형상정보 데이터를 일련의 소프트웨어로 가공하여 증강현실 컨텐츠로 변환하는 과정을 소개한다. 이는 건축계획 및 설계과정에서 형상정보가 수정될 경우 최종 가시화까지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BIM 형상정보를 증강현실기법을 이용하여 3차원 인지공간에서 가시화함으로써 3차원 건물의 내 외부 공간정보를 분석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건물의 내 외부 정보를 증강현실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건축 요소의 제거, 슬라이스컷 등 다양한 인터랙션을 제안한다.

QCA 설계에서 디지털 논리 자동 추출 (Digital Logic Extraction from QCA Designs)

  • 오연보;김교선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6권1호
    • /
    • pp.107-116
    • /
    • 2009
  • QCA는 현재 초고집적 저전력 디지털 시스템 구현 기술의 왕좌를 차지하고 있는 CMOS의 자리를 상속받을 가장 장래성 있는 차세대 나노 전자 소자 중 하나이다. QCA 셀의 하드웨어 기본 동작은 이미 1990년대 후반에 실험을 통하여 증명되었다. 또한 회로를 설계할 수 있는 전용설계 도구와 시뮬레이터도 개발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QCA 설계 기술은 초대규모 설계에 대한 준비가 부족하다. 본 논문은 기존의 대규모 CMOS 설계에서 사용되었던 검증 방법들과 도구를 QCA 설계에서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 방법을 제시한다. 첫째로 셀 배치를 미리 정의된 구조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엄격하게 제한함으로써 항상 일관성 있는 디지털 동작을 보장하는 설계 규칙을 제안한다. 다음, QCA 설계의 게이트 및 상호연결 구조를 인식한 후 다수결 게이트의 입력 경로 균형과 잡음 증폭 방지 등을 포함하는 신호 충실도 보장 조건을 검사한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논리를 추출하여 OpenAccess 공통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면 이미 CMOS 설계에서 사용되고 있는 풍부한 검증 툴과 연결되어 그들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제안된 방식을 검증하기 위해 2-비트 가산기 및 비트-직렬 가산기, 그리고 ALU 비트 슬라이스를 설계하였다. 디지털 논리를 추출하여 Verilog 넷 리스트를 생성시킨 후 상업용 소프트웨어로 시뮬레이션 하였다.

쥐 해마에서 M1 무스카린 아세틸콜린 수용체의 활성에 의한 GluA2 세포내이입 연구 (Activation of the M1 Muscarinic Acetylcholine Receptor Induces GluA2 Internalization in the Hippocampus)

  • 류근오;석헌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0호
    • /
    • pp.1103-1109
    • /
    • 2015
  • 뇌 해마의 콜린성 신경분포는 학습과 기역에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의 작용제인 carbachol 투여 시 장기기억 저하가 유도됨이 알려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콜린성 자극에 의한 해마 신경세포의 시냅스 내 변화기작은 완전히 알려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세틸콜린 수용체의 활성에 의하여 유도되는 장기기억 저하 현상에 있어 alpha-amino-3-hydroxy-5-methylisoxazole-4-propionate (AMPA) 수용체가 후시냅스 표면으로부터 사라지는 현상과 이의 조절기작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쥐 해마의 일차세포를 추출하고 체외에서 배양한 성숙 신경세포에 carbachol 을 투여하여 장기기억 저하를 유도 하였으며, 후시냅스의 표면으로부 터 AMPA 수용체의 아단위체인 GluA2가 M1 무스카린 수용체의 길항제에 의하여 저해 되었다. 또한 콜린성 자극 에 의한 GluA2의 내재화 현상의 작용기작 연구를 위하여 쥐 해마 절편에 carbachol 투여 후 GluA2와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Glutam내재화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ate receptor-interacting protein 1 (GRIP1) 과 clathrine 단백질이 매개하는 세포내이입 작용을 하는 adaptin-α 단백질의 결합 변화를 관찰하였다. GluA2는 carbachol 자극에 의해 세포내이입 과정에서 adaptin-α 와의 결합이 증가하였으며 반대로 GRIP1과는 해리되었다. 이는 아세틸콜린의 수용체의 자극에 의하여 GluA2의 내제화 작용이 수반되며, 이의 작용기작으로 GluA2의 후시 냅스 표면 발현시에 결합하고 있는 GRIP1과 해리 되면서 장기기억 저하 현상이 유도됨을 의미한다.

64 다중채널 검출기 전산화단층촬영에서 환자고정자 재질에 대한 영상평가 (Image Evaluation for A Kind of Patient Fixing Pad in 64 Multi-Channel Detector Computed Tomograph)

  • 김기복;구은회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89-95
    • /
    • 2016
  • 본 실험의 목적은 두부 팬텀 MDCT에서 5 종류의 환자고정자 패드를 이용하여 노이즈, 신호대 잡음비, 선량에 대하여 방사선감수성이 민감한 안와 와 기저핵 부위를 기준으로 영상의 질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영상의 노이즈는 AP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신호대 잡음비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환자고정자 재료 5(UP, RP, PP SP, AP) 종류 중 신호대 잡음비가 가장 높은 것은 UP 이었지만 RP, PP와 더불어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고(p>0.05), UP, RP, PP와 SP, AP는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p<0.05). 이러한 원인은 방사선을 입사했을 때 SOML의 기준선에 따른 검출기의 흡수선량정도와 각각의 재질의 성분에 따라 방사선 흡수선량이 다르기 때문에 노이즈 차이를 발생하게 된다. 안와 기저핵의 CTDIvol(mGy)와 DLP 값은 각각 56.95, 911.50로 환자고정자 재료에 따라 선량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5 종류의 환자고정자 패드는 각각의 차이를 구별할 수 있었으며 SP, AP 보다 UP, RP, PP 사용은 임상적으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서울 시내 주요 호텔의 위생실태 조사와 ATP 결과의 상관 분석 연구 (A Correlation Study of Surveillance Data and ATP Bioluminescence Assay for Verification of Hygienic Status in Major Hotels in Seoul)

  • 김보연;송하영;박인숙;김용수;이유시;하상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77-284
    • /
    • 2009
  • 외식산업의 빠른 성장과 함께 호텔을 비롯한 일반음식점에서의 식중독의심사건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어 현장에서 신속하고 간편하게 위생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모니터링기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서울시내 5개 호텔을 대상으로 개인위생 (작업자의 손), 조리기구 (칼, 도마, 행주, 캔오프너, 식품보관용기, 슬라이스머신칼날), 시설 설비 (냉장고손잡이, 작업대, 싱크대)에 대한 위생관리 실태를 조사하였고 그에 대한 검증법인 ATP 조사법의 상관관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5개 호텔의 위생관리 실태조사 결과, 50점 만점 중 개인위생 46.6점, 조리기구 위생관리 40.2점, 시설 설비 위생관리 40.3점으로 개인위생은 비교적 관리가 잘 되고 있었으며, 조리기구와 시설 설비의 위생관리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ATP검사 결과, 작업자의 손은 $40.8{\pm}6.77\;RLU/cm^2$로 조리기구와 시설 설비에 비해 높은 값을 보였으나, 모두 1,000 RLU/$cm^2$의 기준 이하로 위생관리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생실태조사 결과 점수와 ATP 값의 상관성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각 호텔별 작업자 손, 조리기구, 시설 설비 모두에서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ATP검사법은 신속, 간편, 일관성을 바탕으로 호텔을 비롯한 외식업체에서 감시원이 수행하는 주관적인 위생실태조사를 대체 할 수 있는 객관적인 위생관리 방법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생체내 흰쥐 해마 CA1 세포에서 가바성 억제에 대한 전기생리학 특성 (ELECTRO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GABAERGIC INHIBITION IN THE HIPPOCAMPAL CA1 OF THE RAT IN VIVO)

  • 최병주;조진화;김영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14
    • /
    • 2000
  • 가바성 억제 신경세포는 해마의 정상적인 기능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해마 병변을 유발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는 in vivo 실험법을 사용하여 해마 CA1 영역에서의 전기 생리학적 반응을 측정함으로써 가바성 신경세포의 기능을 분석하고 이를 슬라이스 실험법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Fimbria-fonix 전기자극시 전형적인 population spike가 나타났고 $10{\sim}M$ bicuculline 존재하에서는 전기자극에 의해 burst 형태의 population spike가 나타났다. Population spike의 크기는 자극 강도에 비례하였으며 그 숫자도 bicuculline 전극사용시와 같이 동일한 양상을 보였다. CA1 영역의 흥분성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paired-pulse 자극을 하였는데 짧은 자극 간격에서 억제성 반응을 보였고 burst형태의 afterdischarge를 나타내었다. CA1 영역에서 in vivo실험법을 사용한 가바성 신경세포반응의 결과는 추체세포의 흥분성 조절을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으며 in vitro 실험법에 비해 기능적 평가가 더욱 이상적임을 알 수 있다.

  • PDF

반복적 경두부 자기자극이 운동학습과 뇌 운동영역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 예비연구 (Effect of rTMS on Motor Sequence Learning and Brain Activation : A Preliminary Study)

  • 박지원;김종만;김연희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7-27
    • /
    • 2003
  •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rTMS) modulates cortical excitability beyond the duration of the rTMS trains themselves. Depending on rTMS parameters, a lasting inhibition or facilitation of cortical excitability can be induced. Therefore, rTMS of high or low frequency over motor cortex may change certain aspects of motor learning performance and cortical activ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high and low frequency subthreshold rTMS applied to the motor cortex on motor learning of sequential finger movements and brain activation using functional MRI (fMRI). Three healthy right-handed subjects (mean age 23.3) were enrolled. All subjects were trained with sequences of seven-digit rapid sequential finger movements, 30 minutes per day for 5 consecutive days using their left hand. 10 Hz (high frequency) and 1 Hz (low frequency) trains of rTMS with 80% of resting motor threshold and sham stimulation were applied for each subject during the period of motor learning. rTMS was delivered on the scalp over the right primary motor cortex using a figure-eight shaped coil and a Rapid(R) stimulator with two Booster Modules (Magstim Co. Ltd, UK). Functional MRI (fMRI) was performed on a 3T ISOL Forte scanner before and after training in all subjects (35 slices per one brain volume TR/TE = 3000/30 ms, Flip angle $60^{\circ}$, FOV 220 mm, $64{\times}64$ matrix, slice thickness 4 mm). Response time (RT) and target scores (TS) of sequential finger movements were monitored during the training period and fMRl scanning. All subjects showed decreased RT and increased TS which reflecting learning effects over the training session. The subject who received high frequency rTMS showed better performance in TS and RT than those of the subjects with low frequency or sham stimulation of rTMS. In fMRI, the subject who received high frequency rTMS showed increased activation of primary motor cortex, premotor, and medial cerebellar areas after the motor sequence learning after the training, but the subject with low frequency rTMS showed decreased activation in above areas. High frequency subthreshold rTMS on the motor cortex may facilitate the excitability of motor cortex and improve the performance of motor sequence learning in normal subject.

  • PDF